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AGT | 철제 차륜 | ||||||||||
| 부산김해경전철 | 인천 2호선 | 우이신설선 | ||||||||||
| 김포 골드라인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고무 차륜 | ||||||||||||
| 부산 4호선 | 의정부 경전철 | 신림선 | ||||||||||
| | | | ||||||||||
|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 ||||||||||||
| 대구 3호선 | ||||||||||||
| LIM | ||||||||||||
| 용인 에버라인 | ||||||||||||
| 노면전차 (트램) | ||||||||||||
| | | | ||||||||||
| | ||||||||||||
|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미개통 노선은 예타 및 민투심 통과 노선들만 기재 | }}}}}}}}} | |||||||||||
| 대전권 전철 노선 | |||||||
| 1호선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건설 중 1 | 건설 확정 2 | |||||
| 충청권 광역철도 | 2호선 | 충청권 광역급행철도 | |||||
| 1 실착공 상태 2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법적 착공 포함 | }}}}}}}}} | ||||||
| 대전 도시철도 4호선 大田 都市鐵道 四號線 Daejeon Metro Line 4 | ||||
| 노선도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도시철도 | |||
| 기점 | 덕명역(계획) | |||
| 종점 | 송촌역(계획) | |||
| 역 수 | 미정 | |||
| 구성 노선 | 대전 도시철도 4호선 | |||
| 착공일 | 미정 | |||
| 개업일 | 미정 | |||
| 소유자 | 대전광역시 | |||
| 운영자 | 대전교통공사 | |||
| 사용차량 | 경전철 | |||
| 차량기지 | 송촌차량사업소 or 덕명차량사업소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19km(계획) | |||
| 표정속도 | 미정 | |||
| 통행방향 | 미정 | |||
| 예상수요 | 약 6만 4천 명/일 | |||
1. 개요
대전광역시에 건설될 예정인 대전 도시철도의 네 번째 노선이다.2. 특징
- 1호선에 이어 두 번째 동서축을 담당[1]
- 대전역과 더불어 대전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동안 도시철도망 계획에선 소외 당하던 대전복합터미널 경유
- 덕명지구, 학하지구, 갑천지구, 도안신도시를 연결
- 대전광역시 5개구를 모두 지나는 노선
- 동서대로 전구간 경유
3. 연혁
===# 2004년 7월 안 #===| |
| 2004년 7월 안 |
- 1991년, 도시철도 건설계획 수립 당시 중전철을 기획했다.
- 2001년 9월, '제 1차 대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교통개발연구원이 연구용역에서 건설을 제안했다.
- 2001년 12월, '제 1차 지방 5대 도시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에 건설교통부가 완공목표 미정으로 포함했다.
- 2004년 7월 22일, '도시철도건설 기본계획 변경(안) 공청회'가 노선 구상을 발표했다.
- 노선 - 덕명동(한밭대학교), 학하동, 목원대학교, 내동, 오룡역, 대전복합터미널, 비래동 [2]
- 연장 - 총 8개 역, 5.6km
- 궤간 - 1,435mm 혹은 1,700mm[3]
- 지어졌다면 도시철도와 대전복합터미널의 연계가 이뤄지고 대전 서부와 동부를 가깝게 이어줬을 것이다.
- 당시 5호선으로 구상되었다.
===# 2022년 3월 안 #===
| |
| 2022년 3월 안 |
- 2022년 3월 17일, 이장우 시장 예비후보가 새로운 3, 4, 5호선 노선도를 공약했다. 4호선은 천변순환선으로, 갑천과 유등천 연안을 순환한다. 토지보상 문제가 적어 건설은 용이하겠지만 기존 선로와 막장환승이 예상된다(...). #
- 2022년 5월 13일, 허태정 시장은 다른 3, 4 그리고 2호선 지선 3개의 노선도를 제안했다. #
- 2022년 6월 1일, 이장우 시장이 당선되었다. 당선 인사로 "3, 4, 5호선 건설은 당과도 상의된 일이기 때문에 동시에 추진해 가되, 최우선적으로 교통수요가 있는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건설하는 방안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 2022년 12월 20일, 이장우 시장이 3, 4, 5호선 동시건설이 아닌 3호선 우선추진, 4-5호선 차후추진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
3.1. 2024년 4월 안
| |
| 2024년 4월 안 |
- 2024년 4월 2일, 대전광역시는 한국교통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수립한 도시철도망계획을 발표했다. 4호선은 17.9km의 동서를 관통하며 교촌동 국가산단에 인접한 것이 특징으로 계획되었다.
- 20년 전 계획과 비교했을 때 4호선과 5호선이 서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2025년 7월 21일, 차량 방식은 구상 초기 단계인 만큼 계획안은 경전철로 담았다. 시는 신규 도시철도 차량 건설 방식으로 기존 지하철은 물론 신교통수단인 무궤도 굴절차량시스템(TRT)의 적용도 검토했지만 TRT는 아직 시범사업 단계인 데다, 관련 법 제·개정 등 사전 절차가 미완성돼 있다는 점이 한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