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7 21:10:12

대잠초계기

대잠초계헬기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Orion.usnavy.750pix.jpg
파일:external/www.krasnayazvezda.com/3.jpg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대잠초계기 P-3 오라이언 러시아 해군Tu-142 대잠초계기

1. 개요2. 역사3. 특징4. 탑재 장비5. 고정익 대잠초계기 목록6. 대잠헬기 목록
6.1. 생산 중6.2. 퇴역 중6.3. 기타
7. 대한민국 해군차기 대잠초계기 도입사업

1. 개요



maritime patrol aircraft (MPA)
(maritime helicopter, 대잠초계헬리콥터)

적의 잠수함을 탐색하고 공격하기 위해 개발된 무기체계. 초계기, 해상초계기라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대잠초계기의 등장은 제2차 세계 대전부터로, 당시에는 항속거리가 긴 폭격기나 대형 비행정, 함재기가 폭뢰나 폭탄 등으로 무장하고 수면에 부상한 잠수함을 육안이나 초기 레이더로 찾아내면 공격하는 식으로 대잠초계기의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에는 잠수함 역시 수중 항해 능력이 빈약했고 대부분 수상 항해를 하였으므로 이 정도로도 충분한 효과를 냈다.

2차대전 때는 비행기뿐만 아니라 비행선도 이 대잠초계기로 운영하였다. 비행선은 동력 비행기에 비해 체공 시간이 대단히 길고 조용해서 장시간의 비행이 필요한 대잠초계 임무에 적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레이더의 발달과 잠수함의 발전 등으로 인해 기존의 육안 관측을 통한 대잠초계 활동에는 한계가 있었고[1], 그로 인해 현대의 대잠초계기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3. 특징

호위함이나 구축함 등 전투함의 대잠 임무는 특정 지역을 집중 탐색한다. 집중 탐색과는 달리 넓은 지역을 초계할 필요가 생긴다. 이에 항공기에 대잠장비를 달아 운용되기 시작한다.

한 지역에서 오래 머물러 있을 수가 없기에 집중 탐색능력은 전투함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다. 그리고 레이더와 적외선 센서도 있어서 대잠 임무만이 아니라 해상의 함정 등의 초계나 적 함정을 공격하는 역할을 겸하기도 한다. 특히 대함미사일 운용할 때 복잡한 경로점 설정은 큰 콘솔이 필요한데, 그런 컴퓨터가 들어갈 자리가 없는 전술기보다는 크기가 큰 대잠초계기가 유리한 점도 있고. 그리고 데이터링크가 발전함에 따라 레이더 유도는 수상함이나 조기경보기, 지상 레이더에서 유도하고 초계기에서는 미사일 발사만 하는 경우도 있다.

항공기의 대잠작전은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수행이 어려워진다. 대잠장비들의 크기도 크고 긴 항속거리도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대잠초계기들은 속도가 빠르고 크기가 작은 전술기 보다는, 속도는 비교적 느리지만 크기가 크고 항속거리도 긴 민간 여객기나 군용 수송기를 개조해서 사용하고 있다.[2]

느린 항공기라고는 해도 잠수함보다는 빠르다. 위치가 발각되면 도망치기도 어렵고 잠대공 미사일은 제한적인 저항만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잠수함의 천적이라 부를만할 것이다.

헬기에다 대잠장비를 탑재한 대잠헬기도 있다. 엄밀하게는 이들도 대잠초계기지만, 비행 특성에 따른 운용 방법이 다른 관계로 사실상 다른 무기체계다. 대잠초계기는 항공모함이 없다면 육상기지에서 발진하므로 감시 루트가 정해져 있다. 또 오래 뜨고 멀리 날아가는 대신 호버링이 불가능하다.

헬기는 호위함급[3] 이상 전투함에서 수직으로 뜨고 내릴 수 있고 호버링이 가능하기에 유동성이 있지만,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속도, 탑재량, 항속거리에 한계가 있다. 대형화되어 엔진 숫자와 마력이 높아지면 단점이 줄어들지만, 대신 운용비와 가격도 천문학적으로 올라간다. 참고로 AW101 멀린은 옵션이 거의 붙지 않은 기본 기체만 400~500억 대에, 미 대통령 전용기는 600억 이상, 인도 VVIP용으로 제작된 기체는 700억 원 이상이었다. #, 대한민국의 제트 훈련기인 T-50 골든이글의 대당 가격이 300억 원대다.

대한민국 해군슈퍼링스를 운용했다. 천안함 피격 이후로 UH-60의 대잠형 버전인 MH-60R을 구입하려 했는데, 해당 사업 예산은 5천 5백억으로 8대를 구입하는 계획이었다. 전체 예산의 두 배 가까운 1조의 가격을 부른다. 즉 무장과 대잠장비 포함 1대당 1,000억 이상이란 뜻이다. # 기술이전이 포함되었다지만 과도한 가격으로 결국 협상이 파토난다. 결국 링스 개량형 와일드캣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2020년 12월 15일 차기 해상작전헬기 도입사업 기종이 MH-60R로 결정되었다. 총 12기 도입 예정으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대잠초계는 최대한 해수면에 가까이 날아야 할 때가 많으며 작전 시간도 길고 야간비행도 잦다. 게다가 10명 내외의 승무원들과 팀워크를 맞춰야 해서 전투기 조종과는 다른 방면으로 힘겨운 일이라고 한다.

해상작전이 주 임무인 만큼 주로 해군 항공대에서 운용하지만 나라에 따라 공군이 운용하기도 한다.

육상에서의 역할과 비교한다면 (고정익) 대잠초계기는 폭격기, 대잠헬기는 공격헬기와 대응 될 수도 있지만 당연히 운용 목적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엄연히 구분되는 기종들이다. 다만 Tu-95 폭격기를 대잠초계기로 개조한 Tu-142가 있는 것처럼 전체적인 면에서 유사성이 있기는 하다. 실제로 P-3C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전폭기나 폭격기에 쓰이는 무유도 폭탄인 Mk80 시리즈를 장착 가능하고 한국군 실제로 그렇게 운용하고 있다. 물론 대지 폭격용은 아니고 대함/대잠 공격용이다. 폭장량으로 따지자면 폭격기들보다 당연히 밀리지만 그래도 체급이 체급인지라 F-15K와 같은 대형 전폭기에 비해 많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각종 대잠헬기들도 기관총과 미사일들을 탑재하고 있기는 하기에 공격 헬기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동헬기가 갖고 있는 수준의 대지 공격은 가능하다. 링스 대잠 헬기의 파생형 중에는 육군형 기동헬기가 있는 것처럼. 물론 이 역시 마찬가지로 근본적으로 역할과 환경이 다르기에 대잠 헬기를 갖고 공격헬기라고 부르거나 공격헬기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잠수함 입장에선 이보다 더 큰 악몽이 없을지도 모른다. 잠수함의 탐지장비의 한계로 인해 물 밖에서 일어나는 일은 미지의 세계나 다름없기 때문에[4] 잠수함 입장에선 보이지 않는 미지의 적이 갑자기 자신을 공격하는거나 마찬가지다.

4. 탑재 장비

  • 디핑 소나 (Dipping Sonar) - 대잠 장비 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장비. 케이블에 매단 소나를 바닷속으로 담가(Dipping) 적을 찾는다. 대잠헬기는 저공에서 호버링을 하며 이 장비를 운용한다. 헬리콥터에 탑재되므로 함선에 탑재되는 소나에 비해 소형 경량이다.
  • MAD - 잠수함 선체가 대개 강철로 되어 있음을 이용해 지구자기장의 변화를 탐지해 내 잠수함의 위치를 알아낸다. 범위 내에서는 디핑소나에 비해서 정확하지만 범위와 심도의 제약이 심하다. 또한 지형 및 해저 조성물질의 영향도 받는다. 독일212급 잠수함처럼 스테인레스[5] 선체를 쓰거나 소련 알파급처럼 티타늄을 쓰면 MAD의 탐색 범위가 더 줄어들기도 한다. 212급은 MAD가 가장 큰 효과를 보이는 천해에서 주로 활동하는 잠수함이라 일부러 스테인레스 선체를 쓴 특례이며, 알파급은 예외적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MAD가 효과 없는 무기라고 할 수는 없다. 다른 잠수함들도 탐지 확률을 낮추려 선체의 자성을 줄이는 자기처리 작업을 정기적으로 행한다. 미국P-8이나 MH-60R 등의 차기 초계기에 MAD를 탑재하지 않는 등 신뢰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국가에선 여전히 장비되고 있다. 탐지 거리가 너무 짧기 때문에 탐색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디핑 소나 또는 수상함정의 소나가 탐지한 표적이 진짜 잠수함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한다. [6]
  • 소노부이 (sonobuoys) - 무선 음향 탐지용 부표.[7] 항공기에서 이걸 바다에 뿌린다. 항공기가 한 지역을 지속적으로 탐색할 수 없다는 단점을 조금은 상쇄시키기도 하며 여러 지역을 동시에 감시하는 일도 할 수 있다. 소모용 장비지만, 그리 싼 물건은 아닌지라[8] 훈련 등에서 이걸 바다에 투하한 후에 이걸 다시 건져서 재활용하는 일도 많다. 반대로 실전에선 적에게 넘어가서 소나 기술이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침수되어 가라앉도록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걸 투하하는 투하장비도 그리 작은 게 아닌지라 고정익기보다 작은 대잠헬기는 탑재 수가 적은 편이고 그중에서도 소형인 링스 시리즈는 아예 이걸 장비하지 못한다. 물론 디핑소나는 없이 소노부이만 탑재하는 특이한 대잠헬기도 있다. 사족으로, 군사장비로 개발되었지만 다른 곳에도 쓸모가 많은지라 어군탐지나 해저지형 탐사 등에도 많이 활용된다. 특이한 점은 일부 대형 초계기의 경우 대잠헬기나 S-3같은 중소형 대잠기에 비해 투하구의 수가 적은 경우도 있다.[9]
    만화로 보는 소노부이
  • 폭뢰 - 잠수함이 탐지되면 폭뢰를 투하한다. 고정익 대잠초계기가 주로 운용하며 수상함이 탑재하는 폭뢰보다는 소형이 대부분. 다만 어뢰가 널리 쓰이는 추세인지라 요즘 잘 쓰이질 않는다.
  • 대함 미사일 - 대잠초계기나 헬기는 수상함이 대함미사일을 발사할 적 수상함을 탐지해주는 역할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기도 하는데, 호위함 이상 크기의 함선을 상대로 하는 하푼이나 야혼트 등 덩치가 큰 미사일은 주로 고정익 대잠초계기에서 발사하고 크기가 작은 대잠헬기들은 주로 대고속정용의 시스쿠아펭귄같은 소형 대함미사일을 주로 운용한다.

5. 고정익 대잠초계기 목록

  • 미국
    • S-3 바이킹 - 제트엔진 대잠초계기로 항공모함에서 운용하기 위해서 도입되었다. 퇴역.
    • S-2 트래커 - 현재 퇴역. 한국 해군도 사용.
    • P-2 넵튠 - P-3 시리즈 이전의 대잠초계기. 일본의 P-2J의 원조.
    • P-3 오라이언
    • P-8 포세이돈 - 현재 대잠초계기계의 끝판왕. 다만 성능과 가격 모두 해당되기에 사용하는 국가는 미국인도밖에 없었으나 최근 호주, 영국, 노르웨이가 구매하기로 계약하였으며 대한민국 해군도 S-3 바이킹 12대를 도입하려다가 해당 기종 6대를 도입했다.
  • 러시아
    • Il-38 - 인도 해군 등에서도 굴리고 있다. 동구권의 P-3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성능이나 포지션이 비슷하다.
    • Tu-142 - 소련의 넓은 해역은 IL-38만으로는 충족이 불가능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광대한 작전반경을 자랑하는 Tu-95를 대잠초계기로 개조했다.
  • 유럽
    • 호커 시들리 님로드 - 영국의 대잠초계기. 현재는 퇴역.
    • 아틀란틱 - 프랑스의 대잠초계기. P-3만큼은 아니지만 많이 팔렸다.
    • C-295 MPA/ASW - 스페인 수송기 C-295를 초계기로 만들었다. 가격이 저렴하고 장비된 센서의 성능이 P-3 수준으로 우수하지만, 플랫폼 자체가 작은지라 작전반경이나 무장탑재량은 현저히 밀린다.
    • 소드피쉬 MPA - 스웨덴 사브가 자사의 사브 2000 터보프롭 여객기를 해상초계기로 개조한 모델. 아직 계획만 있고 실기체는 없다.
    • A319 MPA
    • ATR 72 ASW - ATR 72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레오나르도 사에서 개발한 터키군용 대잠초계기. P-72라고도 부른다
  • 일본
    • Q1W 토카이 - 구 일본 해군이 2차대전에 보유했던 쌍발 육상 대잠초계기. 기체 자체는 독일 공군의 Ju88을 기초로 설계되었다.
    • P-2J - P-2V-7 넵튠의 일본형으로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면허생산했다. 전후 최초의 자국산 제트엔진을 부스터로 붙였다. 66년도입하며 80년대부터 P-3에 대체되며 96년 전량퇴역
    • P-3 - 가와사키에서 면허생산. 미군처럼 신호수집기 등이나 전자전기 등으로 개조하기도 하며 다양하게 써먹었으며 미군 다음으로 가는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수를 운용하고 있다.
    • P-1 - 일본의 국산 대잠초계기. 미국의 P-8과 달리 MAD장비가 기본인 데다 저공 저속 초계에 신경을 썼다.

6. 대잠헬기 목록

6.1. 생산 중

6.2. 퇴역 중

  • Mi-14
    러시아의 대잠헬기. 서방측의 SH-3 시킹에 해당하는 포지션이다.
  • SH-3 시킹
    큰 덩치로 인하여 주로 항공모함이나 비교적 큰 함선에서 운용되었다. 지금은 상당수 국가에서 퇴역 중.
  • SH-2 시스프라이트
    SH-3 시킹의 큰 덩치로 인해 운용할 수 있는 함선의 제약이 많았던 관계로 LAMPS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함선에서 운용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과거 많은 숫자가 운용되었지만 지금은 한물 간 헬기에 가깝다.
  • 슈퍼 링스
    본토인 영국 해군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 수출된 베스트 셀러. 대한민국 해군도 사용 중.[16]
  • 알루에트 III
    대한민국 해군에서 대잠헬기로 사용. 2019년 퇴역.

6.3. 기타

  • MD 500 디펜더
    기체 특성상 적당하지 않지만, 대만 해군이 유일하게 대잠용으로 사용 중. 중국의 영향으로 제대로 된 대잠헬기를 도입하기 힘들어 부득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만도 시호크를 확충 중이기 때문에 조만간 퇴역할 가능성이 높다.
  • Mi-26
    소련 붕괴가 몇 년이라도 늦었다면, 대잠초계헬기로 실전배치되었을 정도로 덩치가 크고, C-130보다 많은 적재량을 지니고 있어서 함재 헬기로 선정되었다면, 탑재함의 격납고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거나 키로프급을 넘는 다시 부활한 전함 수준이 되었을 것이다.

7. 대한민국 해군차기 대잠초계기 도입사업

2011년 해군은 P-3의 16대 수량 부족을 인식하고 차기 초계기 도입사업을 시작했고 2018년도에 P-8 포세이돈을 도입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1] 원자력 잠수함원자로에서 생산되는 전기로 산소와 청수를 사실상 무제한 생산할 수 있어서 이론상 영원히 잠수할 수 있다. 그러나 식량 문제와 승조원들의 피로도 문제로 인해 하지 못할 뿐이다.[2] 보통 이런 경우는 P-3 오라이언과 같이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항속거리가 긴 프롭기를 사용하지만, S-3 바이킹이나 P-8 포세이돈과 같이 제트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호출 지점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3] 현대 호위함 기준. 이들의 체급은 2차대전 구축함만한 수준이다.[4] 불가능한게 아니긴 하다. 잠망경으로 관측도 가능하고, 잠수함들도 레이더와 반대로 적 레이더를 잡아내는 ESM 장비를 운용하며 아군이 무전으로 상황을 보내 줄 수도 있다. 근데 이것들을 쓰려면 잠수함이 수면에 가까이 붙어있어야 하는데, 교전 중 그럴 수가 없다.[5] 스테인리스강 역시 강철의 일종이다.[6] 수상함에서 소나로 탐지한 표적이 MAD에서 강철로 만든 것임이 확인되었다면 잠수함이 확실할 것이다.[7] 물고기를 잡겠다고 바다에 그물을 치는 걸 그물을 소노부이로, 물고기를 잠수함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게 될 거다.[8] 소나 + 발신기 + 배터리기 때문에 디핑 소나의 청음부(바닷속으로 담기는 부분)보다 오히려 비싸다. 물론 디핑 소나는 본체는 따로 있으니 시스템 전체로 따지면 디핑 소나가 더 비싸지만 말이다.[9] 소노부이는 일정 위치마다 하나씩만 투하하면 되므로 대형 기체의 경우 기내에서 직접 승무원이 소노부이를 필요할 때마다 장전시켜 투하할 수 있기 때문에 투하구가 한두 개만 있어도 딱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심지어 투하 장치의 구조도 간단하다. 반대로 기체의 크기가 제한되면 장전을 위한 승무원을 배치할 여유가 없으므로 탑재한 모든 소노부이에 자동화된 발사기를 필요로 하지만 케바케다. P-3의 소나부이 투하 장비도 미군 것은 자동화해서 채워놓고 날고 국군은 수동으로 하나씩 투하한다.[10] 작은 스노클을 탐지하기 위해 성능이 좋은 레이더가 탑재되는 편이며 긴 체공시간과 함께 장점으로 작용하여 간이 조기경계기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11] 우리나라 2차 해상작전헬기 도입 사업에서 기당 787억 원으로 추정[12] 우리나라 2차 해상작전헬기 도입 사업에서 대당 668억 원으로 추정[13] 우리나라 이곳저곳에서 많이 사용되는 Ka-32가 이 기종의 민수 버전[14] 우리나라 2차 해상작전헬기 도입 사업에서 대당 534억 원으로 추정[15] 우리나라에서는 AW159 와일드캣도 작다는 비판이 많으나, 이 기체는 더 작다. 우리나라에서는 해양경찰청에서 경비 등의 목적으로 운용 중이다.[16] 우리 해군에서는 원래 AW159 와일드캣 급으로 성능 개량하여 계속 사용하려는 계획도 있었으나, 비용 대비 효과가 적다고 판단하어 수명 주기 도래 시 도태시키기로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