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대영중학교}}}에 대한 내용은 [[대영중학교(서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영중학교(서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영중학교(서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대영중학교: }}}[[대영중학교(서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영중학교(서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영중학교(서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 금계중학교 | 단산중학교 | 대영중학교 | 동산여자중학교 | ||
| 부석중학교 | 소수중학교 | 영광여자중학교 | 영광중학교 | ||
| 영주여자중학교 | 영주중학교 | 풍기중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141C4F><colcolor=#fff> 대영중학교 大榮中學校 Daeyoung Middle School | |
| | |
| 교명 | 대영중학교 |
| 성별 | 남자중학교[1] |
| 설립형태 | 사립 |
| 학교법인 | 대영교육재단 |
| 교장 | 백종걸[2] |
| 교훈 | 誠實(성실), 健康(건강), 勉學(면학) |
| 교목 | 소나무 |
| 교화 | 개나리 |
| 표상 | 독수리 |
| 학생 수 | 377명 (2025년 기준) |
| 교직원 수 | 36명 (2025년 기준) |
| 주소 | |
| 경상북도 영주시 구성로150번길 45 | |
| 관할청 | 경상북도영주교육지원청 |
| 홈페이지 | |
1. 개요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사립 남자중학교2. 연혁
| <colcolor=#000> 1967년 12월 20일 | 학교법인 대영교육재단 설립 추진 이사회 조직 |
| 1968년 10월 12일 | 학교법인 대영교육재단 설립 인가 (개교기념일) 초대 이사장 서광옥 선생 취임 |
| 1968년 12월 3일 | 대영중학교 설립(6학급) 인가 (영주시 휴천3동 411-1번지 소재, 현 현대대영아파트 자리) |
| 1969년 3월 1일 | 초대 교장 권인길 선생 취임 |
| 1969년 3월 15일 | 대영중학교 제1회 입학식 |
| 1972년 1월 14일 | 대영중학교 제1회 졸업식(졸업생 143명) |
| 1973년 1월 20일 | 학교신문「대영」창간호 발간 |
| 1976년 2월 14일 | 24학급으로 증설 인가 |
| 1983년 7월 9일 | 새 교사 신축 (영주시 휴천1동 1770번지 소재, 대영고 사용) |
| 1989년 3월 1일 | 제2대 교장 권영봉 선생 취임 |
| 1991년 12월 21일 | 교사 이전 (영주시 휴천1동 1770번지 소재, 현위치) |
| 1994년 3월 1일 | 제3대 교장 조동훈 선생 취임 |
| 1995년 11월 30일 | 학력관리 시범학교 운영 |
| 1996년 10월 25일 | 경상북도 교육청 지정 학력 관리 중심학교 운영 보고 및 공개 수업 |
| 1999년 3월 1일 | 제2대 이사장 서영란 선생 취임 , 제4대 교장 이제박 선생 취임 |
| 1999년 9월 1일 | 제5대 교장 하덕진 선생 취임 |
| 2002년 3월 1일 | 제6대 교장 문성식 선생 취임 |
| 2003년 2월 14일 | 교지「대영」창간호(2003) 발행 |
| 2003년 3월 1일 | 제7대 교장 남세화 선생 취임 |
| 2003년 3월 28일 | 제3대 이사장 권무탁 선생 취임 |
| 2005년 3월 1일 | 제8대 교장 정태주 선생 취임 |
| 2006년 3월 1일 | 제9대 교장 문성식 선생 취임 |
| 2010년 3월 2일 | 제10대 교장 홍승은 선생 취임 |
| 2013년 3월 4일 | 제11대 교장 이지흠 선생 취임 |
| 2014년 3월 3일 | 제12대 교장 신현복 선생 취임 |
| 2015년 3월 1일 | 교과교실제 선진형 학교 지정 |
| 2016년 3월 1일 | 제13대 교장 권태욱 선생 취임 |
| 2020년 2월 6일 | 제49회 졸업식 |
| 2020년 3월 1일 | 제14대 교장 장성욱 선생 취임 |
| 2021년 1월 13일 | 제50회 졸업식 |
| 2022년 1월 14일 | 제51회 졸업식 |
| 2023년 1월 6일 | 제52회 졸업식 |
| 2023년 3월 1일 | 제15대 교장 권태욱 선생 취임 |
| 2023년 9월 1일 | 제16대 교장 권기욱 선생 취임 |
| 2025년 1월 10일 | 제54회 졸업식[3] |
| 2025년 3월 1일 | 제17대 교장 백종걸 선생 취임 |
3. 학교 상징
| <colcolor=#000> 교표 및 교훈 | | 誠實(성실), 健康(건강), 勉學(면학) |
| 교목 | 소나무 | 사철 내내 푸르며 嚴冬雪寒에도 잎이 얼지 않는 소나무는 꿋꿋한 節槪, 忠節, 長壽를 상징함 |
| 교화 | 개나리 | 선구자, 개척자, 향도자의 정신을 상징, 끈기 있는 생명력의 소유자로, 노란색이 의미하는 光明은 大道光榮과 관련됨 |
| 표상 | 독수리 | 만난극복, 백절불굴의 정신 상징, 지혜롭고 총명하며 날렵하여 비상하는 大榮을 상징함 |
4. 교가
| 1절 |
| 푸른 하늘 우러러 솟은 태백에 한 빛을 다스려 터를 닦으니 배움으로 일깨운 드높은 이상 만만세 뻗어갈 대영중학교 아- 우리는 온누리 밝혀주는 횃불을 들고 새 역사 엮어 나갈 대영 건아다 |
| 2절 |
| 파란 벌판 굽이쳐 서라벌슬기 한 알의 뜻을 심어 보람 피우니 가슴으로 베풀어 가꾸는 진리 만만세 뻗어갈 대영중학교 아- 우리는 온누리 밝혀주는 횃불을 들고 새 역사 엮어 나갈 대영 건이다 |
5. 학교 특징
- 같은 재단인 대영고등학교와 같은 위치에 있다.
- 교과교실제를 시행 중이다.
- 학교가 언덕 위에 있어서 등하교 시 언덕을 오르내려야 한다. 버스 정류장도 언덕 아래 큰길에 있다.
6. 학교 시설
- 본관과 후관, 별관, 다목적 강당, 급식실이 있다.
6.1. 본관
| 4층 | 2학년 교실과 홈베이스, 2학년 지도실, 기술·가정실, Wee 클래스실, 학생 화장실이 있다. |
| 3층 | 3학년 교실과 홈베이스, 3학년 지도실,3학년 상담실과 미술실, 메이커 스페이스, 학생 화장실[5]이 있다. |
| 2층 | 1학년 교실과 홈베이스, 1학년 지도실, 교무실, 진로진학실, 교직원 화장실과 학생 화장실이 있으며 후관 소강당으로 가는 통로가 있다. |
| 1층 | 서편과 동편에 신발장이 있으며, 교직원 휴게실과 교장실, 행정실, 보건실, 컴퓨터실, 과학실, 교직원 화장실이 있다. |
- 서쪽과 중앙, 동쪽에 양쪽으로 출입문이 있다.
- 교과교실제를 시행 중이여서, 아침 자습시간과 점심시간, 종례시간을 제외하면 본인 교실에 잘 가지 않는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해 교과교실제를 실시하지 않고, 매 시간마다 과목별 교사가 각 반 교실로 들어오신다.
- 교과교실제 시행으로 각 학별 홈베이스가 있으나,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해 사용 금지 상태다. 하지만 2025년 기준으로는 홈베이스는 사용 가능한 상태이다.
- 기존에는 탈의실이 없었으나, 2020년에 각 홈베이스 마다 탈의실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탈의실은 학생들이 놀거나 장난치다가 부셔먹는 경우가 가끔 있다.
- 2022년 1학기 초반에 걸쳐 도서관 건물을 새로 지었다. 2층 건물이고, 1층은 도서관 2층은 책을 읽거나 가끔 수업을 하는 공간이다.
6.2. 후관
| 2층 | 소강당 |
| 1층 | 창의융합실, 과학준비실, 과학실 |
6.3. 별관
| 2층 | 운동부 휴게실 |
| 1층 | 음악실 |
- 중학교 운동장 동편에 있다.
- 2025년 기준으로는 별관은 철거상태이다.[8]
6.4. 독수리관(다목적강당)
| 2층 | 관람석 |
| 1층 | 체육관, 화장실, 사무실 |
6.5. 운동장
- 중학교 운동장과 고등학교 운동장을 모두 사용하며, 크기가 상당히 크다.
- 중학교 운동장은 잘 쓰지 않고 보통 고등학교 운동장을 쓴다.
- 대영고등학교 운동장의 풋살장은 잔디 풋살장이다.[9]
6.6. 전체적인 시설
건물은 조금 오래된 편이지만, 계속 보수공사를 해서 깨끗하고 좋은 편이다.7. 교복
학생들이 입학 전 교복점을 방문하여 개별적으로 구매해야 한다.전반적으로 무난한 디자인이다.
7.1. 동복
- 동복 바지가 불편하고 디자인이 좋은 편이 아니라 학생들은 동복 기간에도 하복 바지를 입기도 한다.
7.2. 하복
- 회색 반팔 셔츠와, 베이지색 생활복, 남색 반바지와 긴바지로 이루어져 있다.
7.3. 체육복
- 동복 체육복은 상의와 하의 모두 남색이며, 하의에는 포인트로 형광색 선이 있다.
- 하복 체육복은 상의는 흰색에 목 부분만 파란색이며, 하의는 파란색이다.
- 둘다 디자인이 깔끔하고 편하다.
8. 학교생활
- 매년 10월달 쯤에 정기적으로 '예술제'라는 학교 공연 행사를 독수리관에서 연다.[11]
9. 출신인물
- 김종천(1956) - 전 정치인
- 윤옥식 - 전 정치인
- 이성민 - 배우
- 장재현 - 영화 감독
- 황재선 - 정치인
- 이상훈 - 코미디언
- 홍성민(전학) - 가수, 보이그룹 FANTASY BOYS의 멤버
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대영중.고(356000128) | |
| 일반 | |
| 대영중.고앞(356000090) | |
| 일반 | |
입구에서 눈치챈 사람도 있겠지만 정류소에서 300m 정도의 언덕길을 가야 학교가 나온다.
정류소 앞에서는 택시도 있으므로 시간이 부족한 사람들은 택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걸어서 10분~15분 거리에 영주역이 있어 철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11. 여담
- 꽤 많은 교사들이 같은 대영중학교 또는 대영고등학교 출신이다.
- 아무래도 학교가 아파트 바로 근처에 있다보니, 아파트 주민 차량과 등교 차량들이 혼잡해질 우려가 있어서 차량 등교 하는 학생들을 학교 교문 바로 앞에서 내리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 상점을 많이 받은 1, 2, 3학년 학생들을 각각 몇명씩 뽑아서 스키 캠프도 보내준다.
- 모든 학년의 반장과 부반장은 1년에 한번, 리더쉽 캠프라는 것을 간다.
[1] 영주시의 읍면 지역을 제외한 시내에는 남녀 공학이 없다. 전부 남자중학교 또는 여자중학교이다. 이는 고등학교도 특성화고인 동산고등학교와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구 선영여자고등학교)를 제외하면 마찬가지다.[2] 2025년 기준[3] 제53회 졸업식은 정확한 정보가 나와있지 않다. 아마 2024년 1월6일~12일 사이인 것 같다.[4] 그러나 요즘은 영광고등학교로도 많이 진학하는 추세이다.[5] 3층 화장실은 여자 화장실도 같이 있는데, 도어락으로 잠겨있다.[6] 3층 3학년 화장실에는 기존 푸세식 변기가 하나 남아있다.[7] 2022년 기준 대영고등학교에 미술 과목이 없어서 중학교에서 사용한다.[8] 아마 다른 건물이 들어올것 같다.[9]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축구장(운동장)은 모래[10] 헬스장을 만들기 위해 중학교 축구 골대는 옆에 치워뒀다.[11] 다른 여자중학교 댄스부도 가끔 예술제에 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