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헌충이 세운 중국의 나라 대서(大西)에 대한 내용은 서나라 문서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24절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
1. 개요
대서(大暑)는 24절기의 12번째로 태양 황경이 120도가 될 때를 말한다. 소서와 입추의 중간에 있다.양력으로는 7월 22일[1], 7월 23일경에, 음력으로는 6월에 해당한다. 점성술에서 사자자리가 시작되는 때이기도 하다.
2. 상세
한반도에서는 입추와 더불어 더위의 최고 절정 기간이다.[2][3][4]"큰 더위"라는 이름답게 장마가 끝나고 땡볕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 때문에 "대서에는 염소 뿔이 녹는다"는 말이 있다. 이때는 중복 무렵[5]일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으며,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며 불볕 찜통더위도 이때 겪게 된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르는 건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고 전해진다.[6] 또한 2021년(중부지방)처럼 최고로 더운 경우도 있다.
작물이 빨리 자라는 시기라 이때 냉해나 비가 오면 작물에 지장이 많다. "삼복(삼복)에 비가 오면 대추나무에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란 말이 여기서 나온다. 실제로 삼복 중 중복이 대서와 비슷한 때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농촌에서 논밭의 김매기, 논밭두렁의 잡초베기, 퇴비장만 같은 농작물 관리에 쉴 틈이 없을 정도이며, 참외, 수박, 채소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있어 진다고 한다. 또한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고, 가물면 과일 맛이 난다고 전해진다.
대서를 전후로 본격적으로 일출 시간이 늦어지고, 일몰 시간이 빨라져서 낮 시간이 줄고 밤 시간이 늘어난다.
2022년 대서에는 오히려 블로킹 고기압의 영향으로 잠시 선선한 날씨가 찾아왔다.
[1] 2020년까지는 윤년, 즉 4년마다 한 번 22일에 있었고 2021년부터는 윤년+1인 평년에도 나온다.[2] 단순 기온으로만 보자면 입추가 조금 높은데 체감상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더우므로 실질적인 더위는 대서~입추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입추가 지나고 8월 중순 무렵부터 조금씩 기온이 낮아진다.[3] 하지만 예외적으로 2020년에는 대서를 비롯한 7월에 이상 저온이 찾아왔다. 그리고 8월 중순까지 이어진 역대 최장 장마로 인해 입추까지 최고기온이 오르지 못했다. 장마가 끝난 말복 이후 뒤늦게 폭염이 찾아왔으며 처서 이후에 오히려 정점을 찍었다.[4] 그러나 반대로 어떤 해에는 이 시기 무렵에 그 해 극값을 찍었던 적도 있었고 최저 기온이 30°C인 초열대야 현상도 이 시기 무렵에 나타나기도 했다.[5] 7월 21~30일경[6] 장마가 늦을 경우 오히려 대서보다 소서가 더 덥기도 하다. 2014년~2015년, 2019년~2020년의 중부지방이 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