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 지아비 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大,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フ, (フウ), ブ | ||||||
일본어 훈독 | おっと, おとこ, そ-れ | ||||||
- | |||||||
표준 중국어 | fū, f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夫는 '지아비 부'라는 한자로, '남편', '지아비', '선생'을 뜻한다. 성씨에도 쓰이며, 또한 주로 육체적 노동을 하는 직업의 접미사로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농부, 어부, 광부 등이 있다.2. 상세
|
혹은 하늘천자 위에 긴획이 추가된 모습으로써 "가장은 하늘보다 높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글자는 '사내'나 '남편'의 의미를 가지나, 한문에서는 대사(代詞)로서 '3인칭', '지시대명사'의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또한 발어사로서 '무릇'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또한 문장 끝에 붙어 어기조사로서도 쓰이는 데 현재 만다린의 吧와 용법이 비슷하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남편', '사내', '성인 남자'의 뜻일 때는 전청음(/p/)으로(표준중국어에서는 fū), 지시대명사, 발어사, 어기조사로 쓰일 때는 전탁음(/b/)으로 읽는다(표준 중국어에서는 fú).
일본에서는 남성 인명으로 사용된다.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미나미 하루오(三波春夫) 등 남성 인명에서 '~오'는 이 한자가 사용된다.
3. 용례
3.1. 단어
- 가독부(可毒夫)
- 고모부(姑母夫)
- 공부(工夫)
- 광부(鑛夫)
- 농부(農夫)
- 대부(大夫)
- 마부(馬夫)
- 망부석(望夫石)
- 명림답부(明臨答夫)
- 매부(妹夫)
- 배달부(配達夫)
- 범부(凡夫)
- 부군(夫君)
- 부부(夫婦)
- 부인(夫人)
- 사대부(士大夫)
- 어부(漁夫)
- 우체부(郵遞夫)
- 유부녀(有夫女)
- 이모부(姨母夫)
- 인부(人夫)
- 일부다처제(一夫多妻制)
-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
- 일처다부제(一妻多夫制)
- 잠수부(潛水夫)
- 장부(丈夫)
- 청소부(淸掃夫)
- 형부(兄夫)
3.2. 고사성어/숙어
- 夫婦有別 부부유별
- 夫婦有別長幼有序 부부유별장유유서
- 夫婦之間 부부지간
- 夫婦之道二姓之合 부부지도이성지합
- 夫婦之約 부부지약
- 夫婦之情 부부지정
- 夫爲婦綱 부위부강
- 夫爲婦綱是謂三綱 부위부강시위삼강
- 부창부수(夫唱婦隨)
- 夫和婦順 부화부순
- 夫和婦順家和之本 부화부순가화지본
- 어부지리(漁夫之利)
3.3. 인명
- 규타로(妓夫太郎)
- 김거칠부(金居柒夫)
- 명림답부(明臨答夫)
- 소레마츠 켄스케(夫松 健介)
- 위다푸(郁达夫): 중국 청말 민국초의 문학 작가이자 혁명운동가
- 즙간부(辻幹夫)
- 진노 미키오(刃野 幹夫)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 聡)
- 카타코리 스기오(形氷 杉夫)
- 흥부(興夫)
- 제주 부씨
3.4. 지명
3.5. 창작물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며느리' 이외에 '부인(婦人)'을 뜻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