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10:57:09

김주열 열사 사망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상세3. 시신 발견4. 사건 이후5. 가해자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3.15 의거에 참가했던 마산용마고등학교(구 마산상업고등학교) 1학년 김주열이 시위 중 경찰이 쏜 최루탄이 눈에 관통해 즉사한 사건.

2. 상세

1960년 3월 15일 마산에서 부정선거가 발생해 학생들과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고 이를 목격한 김주열의 이모할머니는 김주열과 김광열[1]에게 시내에 나가 보라고 했다. 김주열 형제는 시위에 합류해 구호를 외치면서 시위대와 함께 전진했지만 경찰이 최루탄을 쏘았고 김광열은 집에 돌아왔지만 김주열은 돌아오지 못하고 실종되었다. 김주열의 어머니인 권찬주는 아들이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급하게 마산으로 달려왔지만 아들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고 김주열이 살해당해 경찰이 도청 앞 저수지에 시신을 투기했다는 소문을 듣고 시민들과 저수지에서 물을 퍼냈지만 끝내 김주열을 찾지 못했고 결국 아들의 행방을 찾지 못한 채 4월 11일 고향으로 돌아갔다.

3. 시신 발견

[ (시신 포함) 사진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파일:attachment/b0007832_11042133.jpg
||
파일:attachment/b0007832_11044776.jp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EA%B9%80%EC%A3%BC%EC%97%B4%EA%B5%B0%EC%9D%98_%EC%8B%9C%EC%8B%A0.jpg
||
김주열 열사 시신이 발견된 장소[2] 당시 시신의 모습

그런데 같은 날 마산 앞바다에서 김주열의 시신이 처참하게도 눈에 최루탄이 박혀 있는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바로 김주열이 실종되었던 그날 시위 중 경찰이 최루탄을 시위대를 향해 쐈는데 경찰이 쏜 최루탄이 맨 앞에서 시위를 하던 김주열의 눈에 최루탄이 박힌 것이었다. 경찰은 몰래 시신에 돌을 메달아 마산 앞바다에 버렸지만 27일 만에 밧줄이 풀리면서 김주열의 시체가 발견되었고 이걸 본 마산 시민들이 분노하여 4.19 혁명으로 이여졌다. 김주열의 시신은 부패조차 되지 않았고 이 사건의 범인인 박종표는 체포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4. 사건 이후

김주열의 시신이 발견된 바다 앞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5. 가해자

가해자 박종표일제강점기부터 헌병보로서[3][4] 독립운동가들을 모지게 고문했던 악질 친일반민족행위자인데 8.15 광복 이후 철도청 부산공작소에서 일하다가 1949년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지만 검찰은 공민권 3년 정지라는 가벼운 형을 구형했다. 근데 그마저도 재판부는 아예 무죄를 선고하면서 풀어줬다. 당시 박종표는 재판정에선 과거를 반성하고 새로운 삶을 살겠다고 말했지만 이는 거짓말이었다.

1960년 3.15 부정선거가 터지자 마산에서 1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시위했는데 시위대에게 무차별 발포를 하도록 명령을 내린 인물이 바로 이 사람이었다. 더 나아가 김주열이 죽었다는 소식을 확인하자 시신을 지프차에 싣고 마산시 월남동 마산세관 앞 해변가에서 큰 돌을 여러 개 매달아 바다에 빠뜨렸다. 4.19 혁명 이후 혁명재판소에서 시신 유기와 최루탄 발사 혐의를 모두 인정하고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나중에 무기징역으로 감형됐으며 박정희 정권의 사면으로 최종적으로 7년으로 감형됐다. 3.15 의거사 편찬 위원장이자 지역 신문 언론인 홍중조의 증언에 따르면 출소 후 일선에서 물러난 다음 1994년까지 부산의 서면에서 식당을 운영했으며 그와 동료 지간인 마산 경찰들도 자주 왕래했다고 한다.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경찰 관련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60년대 이전
제주 삼일절 발포 사건(1947)Na P 영암사건(1947)Na 저놈 잡아라!(1948)F P 제주 4.3 사건(1948)Na P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1950)Na P 여경 소년 고문 의혹 사건(1956)P ? 김주열 열사 사망사건(1960)Na P 1.21 사태(1968)O P 이용선 피살 사건(1968)D P
1970년대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1972)I P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O P YH 사건(1979)F P
1980년대
우순경 사건(1982)D M P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1986)I P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1987)F I P 남양파출소 경관 피살사건(1988)O 화성 초등생 실종사건(1989)I 5.3 동의대학교 사태O
1990년대
대흥동 국교생 살인 누명 사건(1991)I P 김준영 순경 총기난동 사건(1991)P 온보현 사건(1994)D 잠실파출소 경관 피살사건(1996)O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0년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F I P
2001년
2002년 백선기 경사 피살 사건O ? 청주 물탱크실 주부 살인 사건D
2003년
2004년 이학만 경찰 살해 사건O
2005년
2006년
2007년 창원사태I
2008년 명박산성Na
2009년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F Na O 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0년 강남경찰서 형사 의문사 사건?
2011년 경찰 간부 모친 보험 사망 사건P
2012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D P 경찰관 업어치기 사건F P
2013년 군산 경찰관 내연녀 살인 사건P
2014년 전북대병원 로비 여중생 살인사건D P
2015년 구파발 검문소 총기사건H O 민중총궐기 과잉 진압 논란F P
2016년 관악경찰서 황산 테러 사건O 죽왕파출소 엽총 난사 사건O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O P 학교경찰관 여고생 성관계 사건P 경찰관 합의금 사건O P
2017년 부산 여중생 집단 폭행 사건D P 오산 청소년 테이저 진압사건O 옥수역 시민 폭행 사건F P 함양 테이저건 사망 사건P
2018년 광주 데이트 폭력 강압수사 사건F P 영양 경찰관 살인사건O
2019년 버닝썬 게이트I Na 서울 대림동 여경 논란D 화성동탄경찰서 성매매 단속 경찰 업소 운영 사건M 태백경찰서 집단 성희롱 사건H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이천 경찰 자살 사건O 재인산성Na 중앙경찰학교 교육생 학교폭력 폭로 사건H
2021년 제주경찰 태성시인 불법감금협박 논란P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D P 2021년 대한민국 경찰청 임기제 직원 대량해고 논란Na
2022년 경찰 실시간 해킹 도입 추진 논란Na 101경비단 실탄 분실사건? 행정안전부의 경찰 통제 강화Na 전국 경찰서장 회의Na 여수 파출소 총기 난사 사건O 이태원 참사 당시의 경찰 부실 대응 논란D P 부산 파출소 방화 미수 사건O 경찰 간부 성관계 요구 사건M P 오산 테이저건 사망 사건P 강동 중학생 경찰서 난동사건O
2023년 101경비단 실탄 분실사건 관련 인터넷 압수·수색 논란P 혼성기동대 블라인드 글 논란M 중앙경찰학교 교육생 집단괴롭힘 사건H 거창군 공무원 여경 성희롱 사건H 예비 검사 경찰 폭행 사건O 경찰 간부 공연음란행위 사건M 의정부 금오동 칼부림 오인 신고 및 경찰 과잉진압 사건F P 용산 아파트 경찰관 추락사 사건M 사건 브로커 사건M 2023년 울산 고교생 강압수사 사건F 천안 중학생 경찰서 난동사건O
2024년 아산 경찰관 자살 사건? 제주 경찰관 칼부림 사건O 초임 검사 경찰관 폭행 사건O 화성동탄경찰서 성범죄 누명 사건F 하동 순찰차 40대 여성 사망 사건D P 용인 전단지 제거 중학생 재물손괴죄 송치 사건P
}}}}}}}}} ||
D: 부실대응 및 직무유기 / F: 과잉진압 및 강압수사 / H: 경찰내 가혹행위 / I: 부실수사 및 증거 조작 / M: 경찰관 일탈행위 / Na: 국가조직 연루 및 개입 / O: 경찰관 피해 / P: 민간인 피해 / ?: 사건 경위 불명 }}}}}}}}}


[1] 김주열의 형[2] 현재는 창원시 및 김주열 기념 재단측에서 인양장소 안내비, 추모공원, 동상까지 건립하여 번듯한 추모공간이 되었다.[3] 헌병보가 된 이유는 2대 독자로서 징병, 징용을 피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4] 당시 상관은 신상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