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5 10:59:23

경찰관 업어치기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상세3. 재판4. 논란과 판결 이유5. 둘러보기

1. 개요

2012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교통단속을 하던 경찰관이 교통법규를 위반한 운전자에게 업어치기를 시전해 상해를 입혀 억대의 배상 판결을 받은 사건.[1]

2. 상세

2012년 3월 15일 저녁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의 한 도로에서 핵안보정상회의로 인한 교통단속을 하던 경찰관 A씨는 끼어들기가 허용되지 않는 지점에서 끼어들기를 한 운전자 B씨의 BMW 차량을 정차시킨 뒤 B씨를 인도로 나오도록 한 다음 교차로통행법위반 혐의로 범칙금 납부통고서를 발부하기 위해 운전면허증 제시를 요청했다.

B씨는 면허증 제시를 10분간 거부하다가 뒤늦게 면허증을 A씨에게 넘겼고 A씨가 PDA에 단속정보를 기재한 뒤 납부통고서를 발부하려 하자 B씨는 이를 거부하면서 면허증을 돌려 달라며 A씨의 어깨와 제복 주머니를 붙잡았다.

그러자 A씨는 B씨의 목을 잡고 다리를 건 뒤 넘어뜨리는 이른바 업어치기를 시전하여 제압하였는데 이로 인해 B씨는 오른쪽 정강이뼈가 부러지고 오른쪽 무릎에 영구적 노동능력상실률 23.12%의 운동장애가 생기는 전치 8주의 피해를 입었다.

3. 재판

A씨는 상해 혐의로 기소되어 2013년에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다.

B씨는 국가를 상대로[2] 14억 3,100만 원 규모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였고 1심 재판부는 B씨에게 4억 3,900만을 배상하라고 판결하였다.

이후 2심에서 2억 7066만 원으로 감액되었고 2020년 6월 대법원에서 심리불속행 기각을 결정하면서 2심 판결이 확정되었다.

4. 논란과 판결 이유

[주말법률사무소 AS] '4억짜리 업어치기' 사건의 전말
일각에서는 경찰관의 정당방위가 아니냐는 의견이 제시되었는데 사건을 자세히 보면 B씨가 범칙금 납부통고서 수령을 거부한다고 해도 도로교통법 또는 경찰청 지침에 따라 즉결심판을 청구했어야 하는 것을[3] A씨가 계속해서 무리하게 납부통고서를 발부하려 강행한 점이 문제가 된다고 지적되었다.

이로 인해 B씨가 A씨의 옷과 신체를 잡은 행위는 공무집행방해죄로 인정되지 않고 무죄가 되었다.[4]

또 A씨는 180cm의 건장한 체격의 남경이었고 B씨는 158cm의 왜소한 여성 운전자였던 것을 감안하면 B씨가 A씨에게 크게 위해를 가할 상황이 아닌 데다 B씨는 혼자였고 A씨의 경우 근처에 동료 경찰이 현장을 지켜보고 있었던 점도 더해져 A씨의 행동이 정당행위나 정당방위로 볼 수 없다고 본 것이다.

배상액이 억대로 높은 것은 당시 B씨가 영어 강사로 일하면서 월 평균 1,500만 원의 수익을 벌고 사고 직전 3년간 연소득 6억원 이상을 벌던 고소득자인 데다 영구적 노동능력상실률은 23.12%로 평가되면서[5] 배상액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

A씨의 상해죄 재판에서 벌금형으로 끝난 것도 공탁금 납부와 초범인 것, 그리고 우발적 행위로 인한 점이 감안되어 재판부에서 많이 선처를 해 준 것이다.

다만 그럼에도 경찰관의 옷과 신체를 붙잡는 등 B씨의 행동도 옳지는 못했다는 의견이 있는데 이로 인해 경찰관의 직무행위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때문에 외국처럼 경찰관의 신체에 손대는 행위도 공격행위로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5.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경찰 관련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60년대 이전
제주 삼일절 발포 사건(1947)Na P 영암사건(1947)Na 저놈 잡아라!(1948)F P 제주 4.3 사건(1948)Na P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1950)Na P 여경 소년 고문 의혹 사건(1956)P ? 김주열 열사 사망사건(1960)Na P 1.21 사태(1968)O P 이용선 피살 사건(1968)D P
1970년대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1972)I P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O P YH 사건(1979)F P
1980년대
우순경 사건(1982)D M P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1986)I P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1987)F I P 남양파출소 경관 피살사건(1988)O 화성 초등생 실종사건(1989)I 5.3 동의대학교 사태O
1990년대
대흥동 국교생 살인 누명 사건(1991)I P 김준영 순경 총기난동 사건(1991)P 온보현 사건(1994)D 잠실파출소 경관 피살사건(1996)O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0년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F I P 무기수 김신혜 사건F I
2001년
2002년 백선기 경사 피살 사건O ? 청주 물탱크실 주부 살인 사건D
2003년
2004년 이학만 경찰 살해 사건O
2005년
2006년
2007년 창원사태I
2008년 명박산성Na
2009년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F Na O 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0년 강남경찰서 형사 의문사 사건?
2011년 경찰 간부 모친 보험 사망 사건P
2012년 수원 토막 살인 사건D P 경찰관 업어치기 사건F P
2013년 군산 경찰관 내연녀 살인 사건P
2014년 전북대병원 로비 여중생 살인사건D P
2015년 구파발 검문소 총기사건H O 민중총궐기 과잉 진압 논란F P
2016년 관악경찰서 황산 테러 사건O 죽왕파출소 엽총 난사 사건O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O P 학교경찰관 여고생 성관계 사건P 경찰관 합의금 사건O P
2017년 부산 여중생 집단 폭행 사건D P 오산 청소년 테이저 진압사건O 옥수역 시민 폭행 사건F P 함양 테이저건 사망 사건P
2018년 광주 데이트 폭력 강압수사 사건F P 영양 경찰관 살인사건O
2019년 버닝썬 게이트I Na 서울 대림동 여경 논란D 화성동탄경찰서 성매매 단속 경찰 업소 운영 사건M 태백경찰서 집단 성희롱 사건H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이천 경찰 자살 사건O 재인산성Na 중앙경찰학교 교육생 학교폭력 폭로 사건H
2021년 제주경찰 태성시인 불법감금협박 논란P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D P 2021년 대한민국 경찰청 임기제 직원 대량해고 논란Na
2022년 경찰 실시간 해킹 도입 추진 논란Na 101경비단 실탄 분실사건? 행정안전부의 경찰 통제 강화Na 전국 경찰서장 회의Na 여수 파출소 총기 난사 사건O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논란D P 부산 파출소 방화 미수 사건O 경찰 간부 성관계 요구 사건M P 오산 테이저건 사망 사건P 강동 중학생 경찰서 난동사건O
2023년 101경비단 실탄 분실사건 관련 인터넷 압수·수색 논란P 혼성기동대 블라인드 글 논란M 중앙경찰학교 교육생 집단괴롭힘 사건H 거창군 공무원 여경 성희롱 사건H 예비 검사 경찰 폭행 사건O 경찰 간부 공연음란행위 사건M 의정부 금오동 칼부림 오인 신고 및 경찰 과잉진압 사건F P 용산 아파트 경찰관 추락사 사건M 사건 브로커 사건M 2023년 울산 고교생 강압수사 사건F 천안 중학생 경찰서 난동사건O
2024년 아산 경찰관 자살 사건? 제주 경찰관 칼부림 사건O 초임 검사 경찰관 폭행 사건O 화성동탄경찰서 성범죄 누명 사건F 하동 순찰차 40대 여성 사망 사건D P 용인 전단지 제거 중학생 재물손괴죄 송치 사건P 부산 민원인 경찰서 난동 사건O
}}}}}}}}} ||
D: 부실대응 및 직무유기 / F: 과잉진압 및 강압수사 / H: 경찰내 가혹행위 / I: 부실수사 및 증거 조작 / M: 경찰관 일탈행위 / Na: 국가조직 연루 및 개입 / O: 경찰관 피해 / P: 민간인 피해 / ?: 사건 경위 불명 }}}}}}}}}


[1] 경찰관 개인이 배상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하였는데, 이 사건은 정부가 배상하였다. 경찰 관련 배상 사건은 대부분 정부가 배상하며 경찰청 또한 구상 청구에 소극적이다. 가끔 뉴스에 보도되는건 형사 책임을 감면 받기 위한 합의금 관련 사안이다.[2] 공무원의 업무 집행으로 발생한 손해는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집행한 공무원의 중과실이나 고의로 발생한 손해의 경우 공무원 개인에게도 청구할 수 있지만, 승소한다고 해도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 돈을 받는 과정이 깔끔하게 진행되기 어려운데다가, 일단 국가에게는 상황 불문하고 청구할 수 있어서 대부분 일단 국가에 소를 제기한다. 이 경우 나중에 중과실이나 고의가 있다고 판단하면 국가가 해당 금액에 대하여 공무원 개인에게 돈을 받아간다.[3] 도로교통법 제165조 (범칙금 납부통고서 받기를 거부한) 사람에 대해서는 '지체 없이' 즉결심판을 청구'하여야' 한다.[4] 판례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집행에 대항하여 폭력을 행사했다면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5] 이 정도면 평생 절뚝거리면서 걷거나 테니스, 등산과 같은 운동도 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