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13:49:41

김민준(2000년 1월)


1 김민준 · 2 장석환 · 3 고종현 · 4 레오 · 5 한호강
VC
· 6 최영준
VC
· 7 김현 · 9 일류첸코
VC
· 10 강현묵 · 11 파울리뇨
12 권완규 파일:부상 아이콘.svg · 13 김정훈 · 14 홍원진 · 15 박우진 · 16 임현섭 · 17 이민혁 · 18 최지묵 파일:부상 아이콘.svg · 19 이건희 · 20 조윤성
21 양형모
C
· 22 김상준 · 23 이기제 · 24 이규성 · 27 손호준 · 28 이흔렬 · 29 이상민 · 30 강성진 · 31 이경준 파일:부상 아이콘.svg
32 정동윤 · 70 세라핌 · 71 김지호 · 74 브루노 실바 파일:부상 아이콘.svg · 77 김지현 · 88 김성주 · 90 황석호 · 91 박지원 · 99 김민우
VC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변성환{{{#!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20210155.png
수원 삼성 블루윙즈 No. 1
김민준
金旻雋 | Kim Min-Jun
<colbgcolor=#cc0000><colcolor=#fff> 출생 2000년 1월 9일 ([age(2000-01-09)]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7cm, 83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학력 창녕중학교 (졸업)
보인고등학교 (졸업)
소속 쇼난 벨마레 (2019~2020)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2019~2020 / 임대)
경남 FC (2021~2024)
김해시청 축구단 (2022 / 임대)
천안 시티 FC (2023 / 임대)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5~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장점3.2. 단점
4. 여담

1. 개요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골키퍼.

2. 선수 경력

2.1. 일본 무대

2018년 보인고등학교 졸업 직후 J1리그쇼난 벨마레에 입단하였으며, 곧바로 J3리그후쿠시마 유나이티드로 2시즌간 임대를 떠나 총 리그 4경기에 출전해 10실점을 기록했다.

2.2. 경남 FC

K리그2경남 FC로 이적하였다는 사실이 2021년 1월 16일에 발표되었다.

2.2.1. 2021 시즌

7월 31일 K리그2 23라운드 FC 안양 상대 홈경기에서 프로 데뷔전을 가졌다. 팀은 황일수의 멀티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2021시즌 경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포함해 1경기 출전 1실점.

2.2.2. 2022 시즌

2022시즌에는 황성민의 등번호 1번을 물려받았다.

7라운드 대전 원정에선 퇴장당한 손정현을 대신해서 들어가 포파의 PK를 막아낸걸로 안 끝나고 세컨볼까지 막아내면서 팀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켜내면서 팬들에게 눈도장을 찍었다.

하지만 4월 16일 부천 FC전에서 김민준을 제외한 골키퍼 전원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면 유일하게 골키퍼 중 코로나를 피했는데 부상을 당한 관계로 결국 이날 경기 필드플레이어 이우혁이 골키퍼로 기용되었다.

2.2.3. 김해시청 축구단 (임대)

2022시즌 후반기엔 K3리그 김해시청으로 임대갔다.

후반기 모든 경기에 나서 13경기 9실점 6클린시트라는 엄청난 활약을 선보였다.

2.2.4. 천안 시티 FC (임대)

2023시즌엔 같은 K리그2 신생팀 천안으로 임대갔다.

이적 이후로 꾸준히 선발출장했는데, 안타까운 것은 팀 수비의 도움을 받지 못하며 클린시트 게임을 한 번도 만든 적이 없었다.

FA컵 3라운드 대구 FC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순간 순간 잘 막아냈지만, 선제골을 내줬고, 팀 동료가 PK로나마 득점 지원을 해서 얻어낸 연장전에서 PK 상황에서 막아내지 못하며 패하고 말았다.

그 후 계속 실점하는 플레이를 하다가, 2023년 7월 8일 서울 이랜드와의 홈경기에서 처음으로 무실점 경기를 펼쳤다.

7월 23일 성남 FC와의 홈경기에서 2실점을 하였으나, 후반 막판 슈퍼세이브를 연이어 해내면서 추가 실점을 막았고, 이후 모따의 3번째 득점이 나오면서 팀은 리그 21경기만에 승리를 거두었다.

10월에 부상당하기 전까지 천안의 넘버원으로 활약하며 자신의 프로 첫 풀타임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2.2.5. 2024 시즌

2023시즌 종료 후 별 일이 없이 경남 FC로 임대복귀했다. 천안에서 제 몫을 해준 것을 이미 구단 차원에서 인지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손정현의 31번을 조금이라도 의식한 것인지, 13번을 새 시즌의 등번호로 부여받았다. 나름대로는 거미손 계보를 자신이 잇겠다는 마음가짐이라 볼 수 있을듯.

코리아컵 2라운드 파주시민축구단 원정경기에서 선발로 풀타임 출전하며 경남 복귀전을 치렀고, 팀의 시즌 첫 클린시트 승에 수비와 함께 기여했다.

그러다 7라운드 충북 청주 FC 홈경기에서 고동민의 부상으로 인해 교체출전했으며 팀의 든든한 수문장 역할을 감당하며 1:1 무승부 상황을 유지해 그대로 경기를 마감했다.

9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경기에서 1실점 하였으나 선방쇼를 펼치며 1대1 무승부를 만들었다. Man of the Match로 선정됐다.

이후 서울 이랜드전까지 출전했으나 6월 월드컵 예선 휴식기 때 나간 전훈에서 손가락 부상을 당해 결장할 예정이다. 메디컬리포트

26라운드 김포 FC 원정경기에서 벤치 명단에 들어 부상에서 복귀했음이 확인되었다.

27라운드 충북 청주 FC 홈경기에서 2달만에 선발로 출전해 4번의 선방을 기록하며 팀의 무실점을 이끌었다. Man of the Match에 선정됐다.

시즌이 끝나고 수원 삼성 이적썰이 들리고 있다. 경남에서도 오퍼로 인해 선수를 잡을 형편이 되지 않아 계약 만료로 풀어주었다.

2024시즌 경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코리아컵을 합쳐 23경기 25실점 3클린시트
김민준 2024년 K리그 성적
경기 실점 도움 클린시트 클리어링 키패스 패스 성공률 경고(퇴장)
20 25 0 3 14 2 70.9% 2(0)

2.3.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5년 1월 6일, 같은 K리그2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 구단은 김민준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2.3.1. 2025 시즌

등번호는 안산 그리너스 FC로 이적한 조성훈의 번호였던 1번.

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양형모의 부상 공백으로 인해 수원 이적 후 처음으로 선발 출장하였다. 더불어 이기제권완규가 퇴장한 악조건 속에 혹독한 첫 경기를 치렀다. 플레이어 10:9 상황, 2:0으로 처참한 경기결과만 낳고 말았다. 심지어 이 선택이 팀의 3경기 무승까지 이어진 상태.

3라운드 서울 이랜드 FC와의 경기에서 워밍업 중 손가락 부상을 당해 경기 전 교체되었다.

이후 경기에 못 나오고 있다가 양형모가 이번시즌 부진하자 팬들 사이에서 김민준을 써보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23라운드 천안 시티 FC 원정 경기에서 오랜만에 선발 출장했다. 1실점 하였지만 좋은 선방과 킥을 보였고 수훈선수로 선정되어 경기 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공격 포인트를 기록한 선수들을 제치고 경기 MOM 및 23라운드 베스트 11, 라운드 MVP에 선정됐다.
파일:2025 K리그2 23라운드 MVP.jpg

31라운드 충남 아산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은고이에게 공을 몇 번이나 뺏길 뻔 하고, 수비 리딩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이면서 비판을 받았지만, 좋은 세이브를 보여주면서 기본적인 기량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3. 플레이 스타일

3.1. 장점

187cm, 83kg로 골키퍼로서 적합한 피지컬과 빠른 반응 속도를 보유한 골키퍼. 기본적으로 반사신경이 뛰어나 슈퍼세이브 능력이 돋보이며, 세컨볼 찬스나 1:1 상황에서도 좋은 집중력을 보여준다. 현대 골키퍼에게 요구되는 스위핑도 상당히 준수해 최종 수비 라인이 뚫렸을 경우, 빠르게 뛰어나와 커버하거나 빌드업 과정에서도 참여하고 롱볼 정확도도 괜찮은 편.

그 외로 발밑도 괜찮아서 킥도 좋고, 패스도 상당히 정확한 편이다. 그래서인지 본인도 적극적으로 에어리어 밖에 나와서 적극적으로 빌드업을 해주는 편에 속한다.

3.2. 단점

다만 아직 경험이 부족하다 보니 판단 미스가 종종 생기며 기회를 헌납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져 패스 미스나 롱볼 실수가 가끔 나오는 경향이 있다.

스위핑 능력은 준수하나, 정작 급하게 볼을 걷어낼 때에는 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위치선정이나 캐칭도 분명 멀쩡함에도 세컨 플레이에서 실수가 나오는 경향이 있다.

가장 큰 단점으로는 판단력이 아직 미숙하여, 킥 타이밍을 잡지 못하고 양형모만큼은 아니지만 백패스 받는 능력이 아직까진 불안한 편이다. 킥에서도 아쉬운 부분이 있는데, 막상 차면 정확하게는 가지만, 힘이 아직까진 부족하여 멀리는 못 가는 모습을 보인다.[1]

4. 여담

  • 2025년 강원 FC 팀으로 이적한 공격수 김민준하고 동명이인이다. 나무위키 검색시 생일을 보고 검색해야한다.
  • 수원삼성 유튜브에 PD가 어떻게 말하면 수원팬이 본인을 기억할 수 있을 거냐고 하자 저 수원이랑 할 때 MOM 받았는데요라고 하였다.

[1] 양형모와는 반대 사항으로, 양형모는 상당히 강력한 킥을 갖고 있지만 정확도가 좋지 않다.[2] 실제로 2025시즌 수원 소속으로 경남 원정 경기를 치르고 다른 선수들이 바로 수원으로 복귀했을 때, 김민준만 창원에서 휴가를 보낸 뒤에 수원으로 올라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