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스마니 그랜달 Yasmani Grandal | |
출생 | 1988년 11월 8일 ([age(1988-11-08)]세) |
쿠바 아바나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마이애미 스프링스 고등학교 - 마이애미 대학교 |
신체 | 185cm | 106kg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양타 |
프로 입단 | 2010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2번, CIN) |
소속팀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2~201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5~2018) 밀워키 브루어스 (2019) 시카고 화이트삭스 (2020~2023)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 |
SNS |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포수.리그 포수 중 최상급의 타격을 자랑하며[1] 프레이밍 분야에 한해서는 빅리그 최고라고 평가 받고 있지만, 금지 약물 복용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기도 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야스마니 그랜달/선수 경력 |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3. 플레이 스타일
포수 중에서는 훌륭한 공격력을 가진 공격형 포수로, 타율은 낮지만 매년 20개 이상의 홈런을 때려내는 펀치력과 타율 대비 1할 이상 높은 출루율을 기록할 정도의 선구안을 가지고 있다. 스위치 히터로서 좌우 편차도 거의 없는 타자이다.[2]그랜달의 최대 장점은 프레이밍 능력으로, 이 방면에서는 메이저리그 포수 중 최고 수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치상으로도 스탯캐스트 프레이밍 부분 1위에 랭크되어 있다.
2018년과 2017년 포스트시즌에서의 삽질로 인해 포수로서의 기본기가 심하게 떨어진다는 오해도 꽤 많은데, 사실 그랜달의 기본기와 수비력은 꽤나 좋은 편이다. 시즌 전체로 보면 경쟁자인 오스틴 반스보다 좋은 편이며, 통계적으로 메이저리그의 모든 주전 포수 통틀어서도 훌륭한 편이다. 메이저리그에서 몇 안되는 풀타임 주전 포수라는 점에서 이는 더욱 빛을 발한다. 그러나 그가 수비를 못한다는 이미지가 박힌 이유는 멘탈이 약한 건지 유독 순위 결정 경기나 포스트시즌 경기 같은 큰 경기에서 실수가 잦아 실수 하나하나의 임팩트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거기다 류현진과의 조합도 잘 맞지 않아 한국 팬들에게 그랜달의 이미지는 더럽게 불안정하고 수비 못하는 약쟁이 공갈포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현재 메이저리그에 그랜달 정도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동시에 갖춘 공수겸장 포수가 몇이나 되는지 생각해보면 조금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본인이 큰 경기마다 삽질을 하는 것도 사실이니 어쩔 수는 없다.
사실 그랜달의 진짜 약점은 바로 잔부상과 그로 인한 기복이다. 잘 치는 달에는 버스터 포지 뺨치는 불방망이를 휘두르다가도 못 치는 달에는 1할을 겨우 턱걸이하는 막장 타격으로 기껏 쌓은 비율스탯 다 깎아먹곤 한다.[3] 다만 홈런을 빵빵 치다가도 갑자기 20타석 연속 무안타 행진을 시도 때도 없이 벌여놓기 때문에 항상 2할 5푼대에 20개 중후반 홈런의 스탯으로 시즌을 마무리한다. 물론 그것도 매우 훌륭한 성적이긴 하지만 그랜달이 잘할 때의 모습을 기억하는 팬이라면 아쉬운 성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발이 정말, 정말 느리다. 2021년~2024년 스탯캐스트 기준 sprint speed가 23.0ft/s로 무려 메이저리그 꼴등이다. 내야 안타는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며 내야수가 완전히 놓쳐 더듬은 공에도 아웃되는 처참한 속도를 보여준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5. 여담
- 쿠바 출신이라서 '그란달'이라고 표기하기도 하지만 발음 기호상(yas-MAH-nee gran-DAHL) 그랜달이라고 발음하는 게 옳다.[4] 선수 본인도 그랜달이라고 발음한다.
- 2015년 6월 29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경기에서 우타자 타석인데도 불구하고 좌타자 헬맷을 착용하고 나온 헤프닝이 있었다.# 그리고 2년 뒤, 2017년 5월 2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 또 같은 실수를 반복했다. 양귀 헬멧이 아니라 각 타석의 헬멧을 다 가지고 다니다 보니 종종 발생하는 해프닝.[5]
- 쿠바 출신으로 고등학교 때 마이애미에 정착했지만 지금은 영어를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c6011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년 ~ | ||||
1965 버니 카르보 3루수 / 전체 16번 | 1966 게리 놀란 투수 / 전체 13번 | 1967 웨인 심슨 투수 / 전체 8번 | 1968 팀 그랜트 투수 / 전체 13번 | 1969 돈 굴렛 투수 / 전체 14번 | |
1970 개리 폴친스키 유격수 / 전체 15번 | 1971 유격수 / 전체 24번 | 1972 래리 페인 투수 / 전체 7번 | 1973 찰스 케슬러 외야수 / 전체 22번 | 1974 스티브 리드 투수 / 전체 23번 | |
1975 토니 모레토 외야수 / 전체 22번 | 1976 마크 킹 투수 / 전체 23번 | 1977 태드 벵거 3루수 / 전체 24번 | 1978 닉 에사스키 유격수 / 전체 17번 | 1979[1] 댄 라마 포수 / 전체 20번 | |
1979 마이크 설리반 투수 / 전체 22번 | |||||
1980 론 로빈슨 투수 / 전체 19번 | FA 래리 비트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2[2] 스캇 존스 투수 / 전체 22번 | 1983 커트 스틸웰 유격수 / 전체 2번 | 1984 팻 파실로 투수 / 전체 5번 | |
1982 빌 홀리 투수 / 전체 23번 | |||||
1982[3] 로버트 존스 1루수 / 전체 28번 | |||||
1985 배리 라킨 유격수 / 전체 4번 | 1986 스캇 스쿠더 투수 / 전체 17번 | 1987 잭 암스트롱 투수 / 전체 18번 | FA 에디 밀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9 스캇 브라이언트 외야수 / 전체 20번 | |
1990 댄 윌슨 포수 / 전체 7번 | 1991 포키 리즈 유격수 / 전체 20번 | 1992 채드 모톨라 외야수 / 전체 5번 | 1993[4] 팻 왓킨스 외야수 / 전체 32번 | 1994 크리스 니코스키 투수 / 전체 9번 | |
FA 데이먼 베리힐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6 존 올리버 투수 / 전체 25번 | 1997 브랜든 라슨 유격수 / 전체 14번 | 1998 오스틴 키언스 외야수 / 전체 7번 | 1999 타이 하윙턴 투수 / 전체 14번 | |
1996[5] 맷 맥클렌던 투수 / 전체 33번 | |||||
2000 데이비드 에스피노자 유격수 / 전체 23번 | 2001 투수 / 전체 20번 | 2002 크리스토퍼 그룰러 투수 / 전체 3번 | 2003 라이언 와그너 투수 / 전체 14번 | 2004 호머 베일리 투수 / 전체 7번 | |
2000[6] 더스틴 모즐리 투수 / 전체 34번 | 2002[7] 마크 슈라멕 3루수 / 전체 40번 | ||||
2005 제이 브루스 외야수 / 전체 12번 | 2006 드류 스텁스 외야수 / 전체 8번 | 2007 데빈 메소라코 포수 / 전체 15번 | 2008 욘더 알론소 1루수 / 전체 7번 | 2009 마이크 리크 투수 / 전체 8번 | |
2007[8] 토드 프레이저 3루수 / 전체 34번 | |||||
2007[9] 카일 로츠카 투수 / 전체 53번 | 2009[10] 브래드 박스버거 투수 / 전체 43번 | ||||
2010 야스마니 그랜달 포수 / 전체 12번 | 2011 로버트 스티븐슨 투수 / 전체 27번 | 2012 닉 트라비에소 투수 / 전체 14번 | 2013 필립 어빈 외야수 / 전체 27번 | 2014 닉 하워드 투수 / 전체 19번 | |
2012[11] 제시 윈커 외야수 / 전체 49번 | |||||
2012[12] 제프 겔랄리치 외야수 / 전체 57번 | 2013 마이클 로렌젠 투수 / 전체 38번 | 2014[13] 알렉스 블랜디노 유격수 / 전체 29번 | |||
2015 타일러 스티븐슨 포수 / 전체 11번 | 2016 닉 센젤 3루수 / 전체 2번 | 2017 헌터 그린 투수·유격수 / 전체 2번 | 2018 조나단 인디아 3루수 / 전체 5번 | 2019 닉 로돌로 투수 / 전체 7번 | |
2016 테일러 트래멀 외야수 / 전체 35번 | 2017 지터 다운스 유격수 / 전체 32번 | ||||
2020 오스틴 헨드릭 외야수 / 전체 12번 | 2021 맷 맥레인 유격수 / 전체 17번 | 2022 캠 콜리어 3루수 / 전체 18번 | 2023 렛 라우더 투수 / 전체 7번 | 2024 체이스 번스 투수 / 전체 2번 | |
2021[14] 제이 앨런 외야수 / 전체 30번 | 2022[15] 샐 스튜어트 3루수 / 전체 32번 | 2023[CBA] 타이 플로이드 투수 / 전체 38번 | |||
* [1] FA 피트 로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데이브 콜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데이브 콜린스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4] FA 그렉 스윈델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5] FA 론 갠트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6] FA 후안 구스만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7] 제레미 소워스 입단 거부로 인한 보상픽[8] FA 리치 오릴리아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9] FA 스캇 쇼운와이즈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10] FA 제레미 아펠트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11] FA 라몬 에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12] FA 프란시스코 코데로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13] FA 추신수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14] FA 트레버 바우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닉 카스테야노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 }}}}}}}}} |
야스마니 그랜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15 | 2019 |
2019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ATL | OF | BOS | OF | ||||||
OAK | SS | HOU | 2B | ||||||||
HOU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ATL | 1B ||
HOU | DH | MIL | C | |||
ARI/HOU | SP | LAD | SP | STL | SP | TB | SP | ATL | SP |
NYY | RP | OAK | RP |
}}}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12번 | ||||
로건 포사이드 (2011) | → | <colbgcolor=#b4a76c><colcolor=#002d62> 야스마니 그랜달 (2012~2013) | → | 세스 스미스 (2014)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8번 | ||||
존 베이커 (2013) | → | 야스마니 그랜달 (2014) | → | 데이브 로버츠 (2015)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9번 | ||||
디 고든 (2011~2014) | → | 야스마니 그랜달 (2015~2018) | → | 크리스토퍼 네그론 (2019) |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10번 | ||||
브래드 밀러 (2018) | → | 야스마니 그랜달 (2019) | → | 오마르 나바에즈 (2020~2022)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24번 | ||||
AJ 리드 (2019) | → | 야스마니 그랜달 (2020~2023) | → | 그래디 사이즈모어 (2024) |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6번 | ||||
알폰소 리바스 (2023) | → | 야스마니 그랜달 (2024) | → | 베일리 팔터 (2025~) |
[1] 포수 뿐만 아니라 전체로 놓고 봐도 상위권일 때도 있다.[2] 다만 타율은 우타석에서 꽤 높은 반면 장타는 좌타석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나온다.[3] 기복만 줄이거나 없다면 과장없이 3할 또는 2할 후반대에 30홈런이 전혀 불가능한 타자가 아니다.[4] 그란달은 grahn-DAHL이라고 표기한다.[5] 단 셰인 빅토리노같이 양귀 헬멧을 고집했던 스위치 히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