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text-align:center;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자료 | 청회 | 상관 | 함염 | 현로 |
현리 | 곡빈 | 솔곡 | 천충 | 부백 | |
두규음 | 완골 | 본신 | 양백 | 두임읍 | |
목창 | 정영 | 승령 | 뇌공 | 풍지 | |
견정 | 연액 | 첩근 | 일월 | 경문 | |
대맥 | 오추 | 유도 | 거료 | 환도 | |
풍시 | 중독 | 슬양관 | 양릉천 | 양교 | |
외구 | 광명 | 양보 | 현종 | 구허 | |
족임읍 | 지오회 | 협계 | 족규음 |
肩井 /Jianjing
1. 개요
견정은 어깨 위에 위치한 혈자리다. 어깨와 목의 통증 및 긴장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곳이다.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속하는 스물한번째 혈로, 번호는 GB21이다. 한의학에서는 어깨 부위의 기혈이 용출하는 샘과 같은 곳이라는 뜻이다. 목과 어깨의 기운을 소통시키고 뭉친 근육을 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 특징
목 뒤쪽 뼈와 어깨 끝을 연결하는 선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고개를 숙였을 때 가장 튀어나온 목뼈와 어깨 가장 바깥쪽 봉우리를 일직선으로 이었을 때, 그 선의 중간 지점이 견정혈이다. 이 부위는 승모근이 가장 높게 솟아 있는 곳이며, 누르면 움푹 들어가면서 강한 압통이 느껴진다. 지압 시에는 반대편 손으로 어깨를 감싸 쥐고 검지, 중지, 약지를 모아 견정혈을 지그시 눌러주거나 주무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머리를 좌우로 돌리면서 반대편 어깨의 견정을 누르면 뭉친 근육을 효과적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어깨 결림, 목덜미 통증, 오십견 등 견관절 주변의 모든 통증을 치료하는 데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어깨의 담을 풀어주는 효능이 좋으며 뇌로 가는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두통 해소 및 집중력 강화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기의 소통을 돕는 작용으로 인해 팔의 신경통이나 늑막염에 보조적으로 활용되며, 여성의 경우 자궁 질환 및 월경 불순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로 인해 어깨가 뭉치거나 피로감이 심할 때 이 혈자리를 지압하면 즉각적인 근육 이완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