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15:08:30

함염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text-align:center;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동자료 청회 상관 함염 현로
현리 곡빈 솔곡 천충 부백
두규음 완골 본신 양백 두임읍
목창 정영 승령 뇌공 풍지
견정 연액 첩근 일월 경문
대맥 오추 유도 거료 환도
풍시 중독 슬양관 양릉천 양교
외구 광명 양보 현종 구허
족임읍 지오회 협계 족규음
}}}}}}}}}}}} ||


稟厭 / Hanyan

1. 개요2. 위치와 지압 방법3. 주요 효능 및 활용

1. 개요

한의학에서 얼굴 측면과 머리 부위의 순환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경혈이다.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속하는 네 번째 혈자리이며 번호는 GB4로 표기한다. 함(頷)은 턱이나 뺨을, 염(厭)은 싫어하거나 싫증 내는 감정을 뜻하는 한자로 알려져 있으나, 여기서는 측두부(관자놀이) 주변의 기(氣)를 다스려 통증과 불편함을 해소하는 중요한 경계 역할을 수행한다. 이 혈자리는 특히 측두부의 혈액 순환 및 신경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위치와 지압 방법

측두부, 즉 관자놀이 부근의 머리카락 경계선에 위치한다. 구체적인 위치는 이마의 모서리(두발선)에 있는 두유 혈자리에서 시작하여 귀 쪽으로 내려오는 곡선상에 있다. 일반적으로 귀 위쪽과 이마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선상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부위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로가 쌓일 때 통증을 느끼기 쉬운 곳이다. 지압할 때는 검지나 중지 손가락으로 이 부위를 가볍게 누르거나, 원형을 그리듯이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자극 시 편두통이나 긴장감이 완화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3. 주요 효능 및 활용

편두통, 신경성 두통 등 머리의 측면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치료하는 데 활용된다. 담경(膽經)은 측두부를 따라 흐르므로, 함염을 자극함으로써 이 경로의 기(氣)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머리뿐만 아니라 주변 안면 신경에도 영향을 미쳐 이명, 어지럼증, 그리고 안면신경마비 초기 증상 등 얼굴과 귀 주변의 여러 질환에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스트레스로 인해 측두부에 긴장이 심하거나, 집중력 저하로 머리가 맑지 않을 때 이 혈자리를 지압하는 것은 효과적인 자가 관리법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