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670000,#FFCECE> 전쟁·정벌 | 교전세력 | 전투 |
<colbgcolor=#fedc89,#444444> 후삼국통일전쟁 | 후백제 | 조물성 전투 · 대야성 전투 · 공산 전투 · 나주 공방전 · 삼년산성 전투 · 고창 전투 · 운주성 전투 · 일리천 전투 | |
여요전쟁 | 요나라 | 봉산군 전투 · 안융진 전투 · 흥화진 전투 · 통주 전투 · 곽주 전투 · 안주 전투 · 서경 전투 · 개경 전투 · 애전 전투 · 삼교천 전투 · 금교역 전투 · 귀주 대첩 | |
여진정벌 | 여진족 | 동북 9성 · 고려의 여진 정벌 · 갈라수 전투 · 길주성 전투 | |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 | 후요 | 강동성 전투 | |
여몽전쟁 | | 동선역 전투 · 안북성 전투 · 귀주성 전투 · 철주성 전투 · 제1차 자모산성 전투 · 처인성 전투 · 죽주산성 전투 · 충주성 전투 · 제2차 자모산성 전투 | |
원나라의 일본원정 | | 제1차 원정 · 제2차 원정 | |
카다안의 침입 | 합단적 | 치악성 전투 · 연기 전투 | |
장사성의 난 | 장사성 | 장사성의 난 | |
홍건적의 침공 | 홍건적 | 홍건적의 침공 | |
나하추의 침공 | 나하추 | 함흥평야 회전 | |
기황후 주동의 원나라군 침입 | 최유 | 수주 달천 전투 | |
여진족 장수 호발도의 침입 | 호바투 | 길주 전투 | |
목호의 난 | 원나라 목호 | 명월포 전투 | |
왜구의 침입 | 왜구 | 홍산 대첩 · 진포 해전 · 황산 대첩 · 관음포 전투 · 제1차 대마도 정벌 | |
요동정벌 | | 제1차 요동정벌 | |
| 제2차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 | }}}}}}}}} |
갈라수 전투 曷懶水 戰鬪 | ||
<colbgcolor=#fedc89,#444444><colcolor=#670000,#FFCECE> ▲ 갈라수 전투 상상화. 불나방 블로그 作 | ||
시기 | 1109년 (예종 4년) 5월 | |
장소 | 고려, 갈라수 근처 (現 북한 성천강 일대) | |
원인 | 동북 9성 확보를 위한 고려와 여진의 충돌 | |
교전국 | <rowcolor=black> 여진 (공세) 승 | 고려 (수세) 패 |
주요 인물 | 지휘관 [[금나라| 女眞 ]] 완안알새[[금나라| 女眞 ]] 사묘혼탄[[금나라| 女眞 ]] 사묘아리[[금나라| 女眞 ]] 석적환[[금나라| 女眞 ]] 오도본 | 지휘관 |
병력 | 병력 규모 불명 | 고려군: 약 70,000명(?)~120,000명(?)[1]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 |
결과 | 여진의 승리 | |
영향 | 여진의 동북 9성 탈환 및 윤관 탄핵. |
1. 개요
고려의 여진 정벌 당시 벌어졌으며, 퇴각하던 고려군이 사묘아리가 이끄는 여진군에게 갈라수에서 참패한 전투다. 고려가 동북 9성을 무력으로 유지하려던 정책을 재고하게 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금나라의 인간 흉기였던 사묘아리가 처음으로 이름을 날린 전투로, 고려의 인간흉기였던 척준경이 이 전투에 참여했는지에 대한 기록이 없어서 역덕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소재이기도 하다.
2. 공험진에서의 회전
1107년, 예종의 지시로 윤관을 비롯한 별무반 178,000명은 갈라전 일대를 점령하고, 그곳에 동북 9성을 쌓으며 고려의 영토로 편입했다. 그러나 여진은 끊임없이 이곳을 공격해왔고 1108년 한 해 동안 무려 19번의 전투가 벌어지면서 이로 인해 고려의 국력이 상당히 소모되기에 이르렀다.1109년 5월, 여진은 또다시 길주성을 공격하기에 이르렀고 고려 조정은 오연총에게 병력을 주며 길주성을 구원하려고 한다. 당시 오연총은 북방이 아니라 개경에 돌아와 있었는데, 길주성의 위기를 전해 듣고는 출정을 자원했고, 예종은 지휘권을 줘서 오연총을 북방으로 파견했다. 그런데 길주성을 향해 가던 도중 공험진에서 사묘혼탄이 이끄는 여진군과 조우했고, 이어서 회전을 벌이게 되었다. 불과 반세기 전에 대륙의 지배자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던 고려군이었던 만큼 기병인 여진군에게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나, 사묘혼탄의 아들이자 여진의 젊은 장수였던 사묘아리가 고려군의 사이에 파고들어 고려 장수를 창으로 찔러 죽이자 고려군이 당황했고, 결국엔 퇴각하게 되었다.
경신일. 여진이 길주(吉州)를 포위하자 오연총(吳延寵)이 군사를 이끌고 구원에 나섰으나 대패했다.
《고려사》 권7, 예종 4년 5월
《고려사》 권7, 예종 4년 5월
오연총이 (길주가 위험하다는) 그 소식을 듣고 분연히 출정하려고 하자 왕은 다시 지휘권을 부여해 파견했다. 도중 공험진(公嶮鎭)에 당도했을 때 적이 길을 막고 기습하는 통에 아군이 대패해 장졸들이 무기를 버리고 여러 성으로 흩어져 들어가니, 성이 함락될 때 수없이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고려사》 <오연총 열전>
이후 사묘혼탄(渾坦)의 여진군은 도문수(徒門水)에서 석적환(石適歡)의 군대와 합류하고, 사묘아리를 선봉으로 세워 고려의 동북 9성 중 2개 성을 취하는 데 성공했다.《고려사》 <오연총 열전>
혼탄과 더불어 석적환이 도문수에서 합병(合兵)했는데, 사묘아리(斜卯阿里)가 주장(主將)이 되어 적병(敵兵)을 깨트리고, (고려의) 그 2성을 취(取)했다.
《금사》 <사묘아리 열전>
《금사》 <사묘아리 열전>
3. 갈라수와 사묘아리
고려군은 이 빼앗긴 2개 성을 되찾기 위해 다시금 구원병을 보냈으나 여진의 강력한 저항을 못이기고 결국 퇴각했다. 이때 사묘아리가 이끄는 여진군이 고려군을 추격하기 시작했고, 갈라수 부근에서 고려군의 후위 부대와 마주하게 되었다. 얼어붙은 강을 건너던 고려군은 여진군의 공격에 당황해 진열이 흐트러졌다. 이후 석적환의 병력과 합세한 사묘아리는 도중에 50,000명에 달하는 고려군을 공격하여 내쫓는데 성공하고, 잠시후 오연총이 이끌던 70,000명의 고려군과 조우했다. 앞에서 언급된 50,000명의 고려군과 오연총의 70,000명의 군대가 서로 다른지, 같은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혼재되고 있다.고려가 웅주성을 공격한 게릴라 여진군에 정예병 1만을 동원했음을 상기해보면 완안부 주력군을 상대하기 위해 갈라수에 보내진 오연총의 군대는 적게 잡아도 최정예 1만 그 이상이였을 것이다.
이에 사묘아리는 또다시 앞장서 돌격했고, 오연총의 고려군은 이들과 회전을 펼치게 되었다. 그리고 사묘아리의 맹활약에 고려군은 후퇴했다. 전투 이후 사묘아리는 석적환으로부터 "네 공이 크다"라는 말과 함께 상을 받았다고 한다.
석적환(石適歡)이 말하길 "네가 하루 동안에 중적(重敵)을 세 번 격파(擊破)했으니, 공(功)을 어찌 가(可)히 잊겠는가." 이에 후사(厚賜)했다.
《금사》 <사묘아리 열전>
이후 여진의 완안알새와 오도본, 사묘아리는 고려의 타길성을 공격해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금사》 <사묘아리 열전>
4. 패배 이후
이듬해(1109년) 여진이 길주(吉州)를 포위했는데 오연총이 그들과 싸우다가 크게 패배하자, 왕은 다시 윤관을 보내 구원하게 하면서 근신들로 하여금 금교역(金郊驛)[2]까지 전송 나가게 했다.
《고려사》 <윤관 열전>
고려 조정은 이후 윤관을 급파해 다시 이들을 맞상대하려 했으나, 여진의 화친 요청 소식이 들려오면서 진군을 멈추었다. 지난 2년 동안 동북 9성에서의 국력 소모가 이어지던 차에 굵직한 패전에 이어 성 두 개를 빼앗기니 고려 조정은 동북 9성에 대해 재고해 보게 된 듯하다. 그러나 완안부 여진도 이 전투에 모든 걸 갈아넣은 상황이라 고려와 마찬가지로 국력 소모가 심하여 한계에 달했고, 결국 화친 요청을 하며 스스로 굽히고 들어오자, 그나마 체면을 차리고 전쟁을 그만둘 명분이 생긴 고려는 이를 수락하고 동북 9성을 여진에게 반환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윤관에 대한 탄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것도 이 전투가 끝나고 난 이후다.《고려사》 <윤관 열전>
김인존이 말하기를, “나라에서 처음 9성을 쌓았을 때 거란(契丹)에 사신을 보내 표문을 올려, ‘여진의 궁한리(弓漢里)는 우리의 옛 땅이므로 그곳에 거주하는 민들도 역시 우리의 편맹(編氓)입니다. 〈그런데〉 근래에 변방을 노략질 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수복하고 그 성을 쌓았습니다.’라 하였습니다. 표문에 말을 그렇게 하였으나 궁한리의 추장에는 거란의 관직을 받은 자가 많기 때문에 거란이 우리가 거짓말을 한다고 여겨서 회답하는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멀리서 글을 올려 일의 형편에 대하여 대략 아뢰었으나, 그 사이에 토지의 소속과 호구(戶口)의 귀속은 이미 담당 관리에게 칙서를 내려 자세히 조사하도록 하였으니, 순서대로 별도로 지휘(指揮)를 내릴 것이오.’라 하였습니다. 이로써 생각해보면 나라에서 9성을 반환하지 않는다면, 거란이 반드시 우리를 책망하고 꾸짖을 것입니다.
-《고려사》김인존 열전
-《고려사》김인존 열전
또한, 상국인 요나라가 고려의 영토개척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김인존이 9성 반환을 아뢰기도 하였다[3]
임인 요(遼)에서 위위경(衛尉卿) 이봉진(李逢辰)을 파견해 왕의 생일을 축하하면서 조서를 내려 이르기를, “경은 황가(皇家)를 보위하는 울타리로서 먼 바다 밖[海表]을 진무(鎭撫)했으며, 전력으로 정벌에 나서 직분을 지키고 오랑캐를 소탕하는 전공을 세웠다. 승세를 타서 적의 항복을 받아 내었고, 드디어 영토를 개척하여 보루를 설치했으니 생각건대 완성한 시설들은 참으로 적절한 것이었다. 지난번에 사신을 파견하여 먼 곳까지 빠르게 승첩을 알려오고, 그 공을 짐에게로 돌렸으니 진실로 내 마음에 위로가 된다.”라고 하였다.
《고려사》1110년 01월 03일 (음)
《고려사》1110년 01월 03일 (음)
이후 요나라 황제의 조서를 보면 김인존의 우려가 무색하게 정작 요나라는 별 생각없이 고려의 영토개척에 적절한 것이였다고 하고 있다. 즉, 요나라의 입장을 우려한 것이 9성 반환에 영향을 준건 맞으나 결정적인 이유는 공험진, 갈라수 전투에서의 대패와 그로인한 병력손실이다.
계묘일. 왕이 건덕전(乾德殿)에서 조회를 보았는데, 간의대부(諫議大夫) 이재(李載)와 김연(金緣), 어사대부(御史大夫) 최계방(崔繼芳) 등이 나서서 윤관(尹瓘)·오연총(吳延寵)·임언(林彦)의 패전(敗戰)에 대해 죄를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무진일. 재상 최홍사(崔弘嗣)·이오(李䫨)·임의(任懿) 등이 대간과 함께 다시 윤관(尹瓘) 등의 죄를 물을 것을 건의했다.
《고려사》 권7, 예종 4년 11월
한편 이관진과 허재가 지키고 있었던 길주성은 여진에 가장 가까웠던 길주 지역 최북단에 위치한 성[4]이었기에 고려와 화친을 추진하던 시기에도 여진은 끊임없이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여진은 괴멸적인 피해를 입어가며 공격을 했음에도 길주성은 끝내 함락되지 않았고, 고려와 여진 간의 화친으로 동북 9성을 여진에게 반환하게 되었을 때, 그제서야 성문이 열리며 여진이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이관진과 허재 및 고려군은 여진의 안내를 받으며, 무사히 고려 본국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무진일. 재상 최홍사(崔弘嗣)·이오(李䫨)·임의(任懿) 등이 대간과 함께 다시 윤관(尹瓘) 등의 죄를 물을 것을 건의했다.
《고려사》 권7, 예종 4년 11월
5. 과장 논란
다만 《금사》의 기록, 특히 금나라 초기 무장들의 열전은 전공을 기록함에 있어서, 과장이 극히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요나라와의 대표적인 전투인 출하점 전투에서는 요나라의 병력을 10배 이상 과장하여 1,200여 명의 여진군이 100,000명에 달하는 요나라군을 대파하는 판타지를 만들었다. 실제로 《요사》에서 묘사한 병력은 거란군과 해군 3,000명, 중경금군과 토호 2,000명, 각 로에서 별선된 무용이 출중한 2,000명으로 총 7,000명이었다.
천조제와의 대결전이었던 호보답강 대전에서도 아주 모순적인 묘사가 보이는데, 《금사》<태조본기>에서는 요나라군이 무려 1,150,000명이라고 써놓고는 여진군의 작전회의에서 요나라군이 700,000명을 호왈한다고 했으며 《요사》<천조황제 본기>에서는 번한병 100,000명이 출동[5]이라고 쓰고는 뒤부분에 1,150,000명이라는 수를 추가했다. 이를 거꾸로 추리하면 《요사》의 기록은 남송의 《삼조북맹회편》권21의 《망요록》을 그대로 인용했고, 원인모를 오류로 《금사》에서 과장한 1,150,000명이라는 숫자를 첨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여기서도 적의 병력을 10배 이상 과장했다.
이러한 과장은 송나라와의 전쟁 기록에서도 무수히 찾을수 있다.
합희(合喜)가 단주자사(丹州刺史) 적잔호속로개(赤盞胡速鲁改)를 보내 군사 4,000명으로 덕순(德順)을 지키게 했다. 오린(吴璘)은 200,000명의 병력으로 순덕을 포위했다…송군이 성을 포위한지 40일에야 포위를 풀었다.
《금사》 <도단합희 열전>
《금사》 <도단합희 열전>
흥원도통제(興元都統制) 요중(姚仲)이 덕순군(德順軍)을 포위했다. 먼저 중(仲)이 보군(步軍)6,400명을 네 진으로 삼고 공주(巩州)로 향했다…3일 동안 포위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여 포기했다…중(仲)은 감곡성(甘谷城)까지 후퇴하여 통제(統制) 미강(米剛) 등을 공주에 남겨 적을 관찰하게 한 뒤, 군사를 데리고 덕순으로 갔다.
《속자치통감》<송기> 136
《속자치통감》<송기> 136
이 날에 사천선무사(四川宣撫使) 오린(吴璘)이 진주(秦州)에서 군사를 데리고, 덕순군(德順軍)에 도착했다.이보다 먼저 흥원도통제(興元都統制) 요중(姚仲)이 덕순을 공격했지만 40일이 넘도록 함락시키지 못했다.
《건염이래계년요록》(建炎以來系年要錄) 198
《건염이래계년요록》(建炎以來系年要錄) 198
(오린이) 군사 30,000명을 거느리고 진정(秦亭)을 나가 공주(巩州)를 공격했지만 또 함락시키지 못했다. 이달 초에 감곡성(甘谷城)으로 후퇴하고, 편장(偏將)을 보내 진정을 지키게 했다. 조(洮)와 난(蘭)을 연결하고, 하주(河州)를 차지하며, 희주(熙州)와 덕순군(德順軍)을 도모할것이다.
《한빈집》(漢濱集)
위의 사료를 보면 1162년에 있은 제1차 덕순군 전투에서 남송군은 최대로 잡아도 6,000명 정도였고, 오린이 거느린 총병력은 30,000명 정도였다. 그러나 《금사》의 <도단합의 열전>에서는 오린이 무려 200,000명의 군력으로 순덕을 포위했다고 기록했다.《한빈집》(漢濱集)
당장 고려와의 전쟁에 대한 기록만 봐도, 《금사》의 기록은 《고려사》에 비해 양에서 훨씬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세부적인 묘사에서도 《고려사》보다 간략되어 있다. 심지어 사묘아리의 공로로 탈취했다는 성 2개의 이름도 기록하지 않았다. 이는 금나라 건국 이전의 여진은 전쟁 상황을 기록할 능력이 없었고, 대부분의 기록을 무장들의 과장이 섞인 무용담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완안루실의 신도비에는 고려의 5개 성을 투항시켰다고 했지만 언제 어느 성을 어떻게 점령했다는 내용은 전혀 없다.
고려가 갈라전에 출병하여 성 9개를 세웠다. 종자 증원왕(宗子贈原王) 석적환이 군대를 데리고 토벌하니, 왕이 따라서 성을 공격했으나 오래도록 함락시키지 못했다. 왕이 원수에게 "저들의 증원과 식량을 막으면 싸우지 않고, 함락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했다. 이를 따르니 성 5개를 항복시켰다.
《완안루실 신도비》(完顔婁室神道碑)
정말로 동북 9성 중 2개를 점령당했다면 《고려사》에 반드시 기록되었을 것이다.《완안루실 신도비》(完顔婁室神道碑)
그렇기 때문에 <사묘아리 열전>의 내용만으로 고려의 손실을 추산하는 것은 전혀 타당하지 못하다. 열전의 내용에서도 사묘아리가 섬멸한 적은 2개의 성을 탈환하기 위해 역습한 고려군이었고, 소위 50,000명과 70,000명의 고려군을 격퇴했다고 적혔지만 과장된 숫자일 것이다.
[1] 고려군의 규모는 공험진에서 50,000명, 갈라수에서 70,000명의 병력이 각각 언급되는데, 이들이 별개의 군대인지, 아니면 동일한 군대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가던 도중에 만난 50,000명을 쫓아내고, 잠시후 70,000명과 조우했다는 것을 보면 초기에 물러난 50,000명이 오연총의 군대에 합류하여 70,000명으로 증강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하지만 별개의 군대를 각각 연파한 것이라면 고려군의 규모는 총합 120,000명이나 된다.[2] 지금의 황해북도 금천군 강음.[3] 다만 이때는 이미 조정 내 대부분의 신하들이 9성 반환에 찬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김인존의 간언이 결정적인건 아니였다.[4] 가장 높은 지역에 위치한 성은 공험진이었다.[5] 일부 문서에서는 총병력이 151,000명이라고 했지만 이건 번역의 오류일 것이다.《망요록》의 내용을 보면 천조제가 거느린 총병력이 100,000명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