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23:34:49

Windows 11/최소 사양 미만 우회 설치 방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indows 11

파일:Windows 11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품군 평가
버그 · 해결된 버그 관련 문서
엣지 · Windows Hello · 코타나 · 스토어 · Mixed Reality · 우회 설치
개발 공개 전 정보
버전 · 버전 틀
Windows 11 Insider Program
}}}}}}}}} ||

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버전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MS-DOS 아이콘.svg
DOS 커널
(16-bit)
1985 1.0x
1987 2.x
1990 3.0
1992 3.1(3.11 1993)
파일:Windows 아이콘 1992_화이트.svg
9x 커널
(32-bit)
1995 95 (4.0)
1998 98(SE 1999) (4.1)
2000 Me (4.9)
파일:Windows 아이콘 2001_화이트.svg
NT 커널
커널 버전 클라이언트 서버
NT 3.x 1993 NT 3.1
1994 NT 3.5(3.51 1995)
NT 4.0 1996 NT 4.0
NT 5.0 2000 2000
NT 5.1 2001 XP
NT 5.2 (XP x64 2005) 2003 Server 2003 · 2006 Server 2003 R2
NT 6.0 2007 Vista 2008 Server 2008
NT 6.1 2009 7 2009 Server 2008 R2
NT 6.2 2012 8(RT) 2012 Server 2012
NT 6.3 2013 8.1(RT) 2013 Server 2012R2
NT 10.0 2015 10(버전)
2021 11(버전)
(Factory OS)
2016 Server 2016(Hyper-V)
2017 (반기 채널)
2018 Server 2019(Hyper-V)
2021 Server 2022
2023 (연간 채널)
2024 Server 2025
파일:Windows_Insider_logo.webp
개발 중
shhh...
2025? vNext 2028? Server vNext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 임베디드/모바일 ]
||<bgcolor=#0278cf> SKU
임베디드 에디션 ||<|2><bgcolor=#fff> 파일:Windows CE 아이콘_화이트.png CE 커널
1996 CE 1.0
1997 CE 2.x
2000 Poket PC 2000/2002 (CE 3.0)
2002 Mobile 2003/SE (CE 4.x)
2004 Mobile 5.0/SE/6.x (CE 5.x)
2006 CE 6.0
2011 Embedded Compact 7
2013 Embedded Compact 2013 (CE 8.0)
||
1999 NT 4.0 Embedded
2000 Powered / 2000 for Embedded Systems
2002 XP Embedded(FLP 2006)
2005 Embedded for POS
2009 Embedded Standard/POSReady
2010/2011 Embedded Standard 7/POSReady 7(Thin PC)
2012/2013 Windows Embedded 8/Standard 8(Industry)
2013 Embedded 8.1 Industry
파일:silverlight-f9eea009c90bbdf966eb62abee29092a.png Silverlight 프레임워크
2010 Phone 7
파일:Windows 아이콘 2012_화이트.svg NT 커널
2012 Phone 8
2014 Phone 8.1
파일:Windows 아이콘 2012_화이트.svg One 코어
<rowcolor=#212529,#e0e0e0> 2015 10 IoT
2021 11 IoT
2015 10 Mobile
}}} ||
파일:Windows 365 아이콘.svg Windows 365 파일:Windows Insider Program.png Windows Insider Program }}}}}}}}}


1. 개요2. 공식 우회 설치 방법3. 비공식 우회 설치 방법
3.1. 계정 우회3.2. 구형 CPU 및 TPM 우회
3.2.1. 트릭 명령어 사용(업그레이드)

1. 개요

Windows 11을 우회 설치하는 방법을 서술한 문서. Windows 10에서 요구 사항이 충족하지 않는 PC를 우회 설치하는 방법이다.
파일:4642333c-1d78-494c-97ff-b55880f568dc.png
최소 사양 미만 상태에서 설치 시 뜨는 경고[1]
경고: 최소한의 공식 하드웨어 사양 밖이면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거나, 윈도우 업데이트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등 여러 불이익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문제가 생겨도 직접 수습할 수 없으면 시도하지 않는 게 좋다. 이는 MS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내용으로서 공식 지원이 아닌 TPM, UEFI 미지원 등에(다만, CPU와 TPM 1.2 이상이 있는 경우는 제외, 자세한 건 아래 참조) 윈도우 11을 설치하면 각종 윈도우 업데이트를 받지 못할 수 있다고 한다.[2] 22H2 버전이 나온 시점에서 MS의 미지원 CPU 기반 구형 시스템에서의 업데이트 제한은 빌드 업데이트(21H2 → 22H2, 23H2 등) 때마다 ISO와 MS에서 안내하는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한 공식 우회방법을 적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미지원 시스템에 대한 드라이버 업데이트 미지원[3]으로 나타나고 있다. Windows 11를 이용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어디까지나 허가된 정품 소프트웨어와 최신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드라이버 지원 상태가 취약한 미지원 CPU 기반의 구형 장치들을 사용 시 유난히 버그가 자주 생기는 경향이 있다. 다만 2025년 Windows 10의 지원이 종료될 때 우회법을 쓰지 않으면 보안에 문제가 생기는 컴퓨터인 경우엔 울며 겨자먹기로 쓸 수밖에 없다. 정 불안하다면 최소 사양을 총족하는 하드웨어로 교체하는 것도 좋다.[4] 학생이라면 Windows Server 2019, 2022 버전[5]을 사용할수 있으니 이걸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MSDN 구독자는 Enterprise LTSC 2019가 2029년까지, Enterprise LTSC 2021이 2027년까지 지원하며, IoT Enterprise LTSC 2021는 2032년까지, Windows Server 2022는 2031년까지 지원하니 부득이한 경우라면 이쪽도 알아보는 것이 좋다.

2. 공식 우회 설치 방법

2021년 8월 28일 Microsoft 공지사항: (기사 원문) 정식 출시 버전에서는 Windows 11 최소사양에 미달되는 PC들은 Windows 10에서 업데이트 형식으로는 Windows 11으로 가는 것을 제한하지만, ISO 파일을 내려받아 클린 설치를 하면 TPM 1.2, 듀얼 코어 CPU, 4 GB RAM, 64 GB 스토리지 등 대부분의 요구 조건은 여전히 ISO 설치 과정에서도 확인하되 CPU만 확인하지 않고 이를 막지 않기로 했다.

나중에 보안 업데이트를 포함한 Windows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으며, 문제가 발생하면 제조사 보증을 받을 수 없다는 경고문을 추가했다(첫 정식버전 ISO인 22000.194 ISO 기준으로 아래의 방법을 적용할 때에 볼 수 있음).[6] 22H2 버전부터 업데이트 시 시스템 요구 사항 확인이 엄격해졌다. 9월 25일 기준 Windows Update의 경우 사양을 충족하지 않으면 업데이트 자체가 검색되지 않고[7] Windows 11 설치 도우미로 업데이트하려는 경우 Windows PC 상태 검사 앱을 실행해 검사해야하며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않을 경우 칼같이 거부한다. 다만, TPM 1.2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공식 우회방법을 사용하거나 Rufus를 사용하면 우회가 가능하다.

파일:WIN11BYPASS.png
확인이 필요한 항목
설치를 계속하고 Windows 설정, 개인 파일 및 앱을 유지하려면 다음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PC는 Windows 11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 시스템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더 안정적이고 더 높은 품질의 환경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PC에 Windows 11을 설치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1 설치를 계속하면 PC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습니다. 호환성 부족으로 인한 PC 손상은 제조업체 보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수락을 선택하면 이 문을[8] 읽고 이해했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경고문 전문

Windows 11 설치가 가능한 권장사양은 Microsoft에서 처음 공개할 때부터 출시 할 때까지 공식적으로 인텔 8세대 프로세서 이상 및 AMD 라이젠 2세대 프로세서 이상으로 밝혔다. 그래서 출시된 정식 버전 ISO(22000.194)의 경우 권장사양 미만의 미지원 CPU이면 아래의 우회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이상은 이전 세대 Windows에서 Windows 11로 업그레이드를 거부하고 있다. 다만 클린 설치를 통하는 방법은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래서 클린 설치를 통해 Windows 11을 실질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최소 사양은 초기에는 TPM 2.0이 CPU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인텔 5세대 프로세서, AMD 1세대 라이젠과 2세대 일부 APU 프로세서로, 일단 이 프로세서 기반의 시스템들 까지는 TPM만 켜져있다면 군말 없이 Windows 11이 설치된다. 실제로 Ryzen 2200G/2400G 등의 레이븐릿지 기반의 APU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Windows 11을 지원하지 않아 TPM을 활성화 하여 클린 설치를 통해 공식 우회 방법을 적용해서 Windows 1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인텔 4세대 이전의 구형 CPU의 경우 메인보드 자체에 칩셋을 탑재한 경우(Integrated TPM)나 TPM 모듈을 구매하여 메인보드에 장착(Discrete TPM)할 경우 TPM 1.2 / 2.0 모듈을 메인보드에 장착해서 활성화하면 4세대 하스웰, AMD FX 시리즈 CPU에서도 Windows 11 클린 설치가 되지만 TPM 2.0이 CPU 자체에 기본으로 내장된 인텔 5세대/AMD 라이젠 1세대나 나중에 등장한 신형 CPU들보다 상당한 성능 하락을 감수해야 하며 인텔 4세대 이전의 구형 CPU들의 경우 TPM 1.2만 지원하지만 이미 Windows 10에서도 i5 + SATA SSD + 8 GB 이상의 램이 원활한 사무용 사용의 하한인 점을 고려하면 Windows 11 IoT Enterprise 24H2 계열과 같이 저사양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특수하게 설계된 운영체제면 몰라도 공식/비공식 우회 방법을 적용하여 Windows 11 Home/Pro를 설치하여 구동하는 것은 매우 비추천한다. Microsoft 기술문서에 미지원 CPU, TPM 1.2 환경에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방법이 게시가 되어 공식 우회 설치가 가능한 사양이 하향되었다.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는 Windows 11 공식 우회 설치 사양으로 TPM 1.2조차 없으면 안 된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 초기 버전 Windows 11의 경우 신기하게 TPM 자체가 없어도 우회 설치는 가능했었으며 이후 TPM 1.2도 없는 사양은 사실상 우회 설치가 막혔다. 그래서 22H2버전 기준으로는 CPU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에러 메시지가 떴을 때 아래의 '이 버전의 Windows 시스템 요구 사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클릭하면 영문으로 Windows 11 Specs and system requirements 페이지로 이동하며 여기서 다시 Read there를 클릭하면 Windows 11 요구사항이 안내되고 있다. 다시 요구사항 페이지 아래쪽의 설치 방법 Windows 11 클릭하면 CPU가 미지원할 때의 공식 우회방법을 안내하는 화면이 나오고 있다. TPM 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관 없지만 TPM 1.2 환경이나 TPM이 없는 CPU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버 업데이트와 사소한 보안 업데이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Windows Update가 아예 제공되지 않으며 Windows 빌드 업데이트 때마다 공식 우회 방법을 통해서 빌드 업데이트를 해야만 한다. 이는 21H2버전에서 22H2버전으로 업데이트할 때 적용됨을 확인.

2025년 2월 초, Microsoft 기술문서에서 우회설치에 대한 모든 내용이 삭제되었다. 24H2 이후로 우회설치를 막으려는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9]
  • 공식 우회 방법(업그레이드, 사양과 관련한 내용은 각주 언급)[10]
  • Windows 11 ISO/USB를 넣고 SETUP.EXE 실행 후에 설치를 진행한다.
    2. CPU가 지원하지 않는다는 에러 메시지가 뜨는데, 이 화면에서 뒤로 단추를 클릭한다.
    3.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regedit)
    4.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MoSetup에 가서 AllowUpgradesWithUnsupportedTPMOrCPU 항목의 값(REG_DWORD 형식)을 1로 변경한다. (없으면 해당 항목을 만든다)
    5. 다시 설치를 진행한다.
    6. 진행 중에 경고 메시지를 띄우나 수락을 누른다. 그러면 Windows 11을 업그레이드 설치할 수 있다.
  • install.wim(.esd) 파일을 직접 설치하는 방법(클린설치)
    Microsoft 기술 문서에 "DISM 또는 타사 도구를 사용하여 기존 Windows 11 이미지를 디스크에 직접 적용합니다." 부분이 언급되어 있음에 따라 공식 우회 설치법이다. 이 방법은 TPM 1.2조차 없는 경우에도 공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외장하드/외장 SSD/USB에 적용하여 Windows To Go로도 활용할 수 있다.
    • DISM을 이용하는 방법[1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디스크 초기화
      설치 USB 혹은 DVD로 부팅 후 Shift+F10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띄우고 diskpart라고 친다.
      1-1. legacy BIOS일 경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list disk[dis]라고 쳐서 설치할 디스크 번호를 확인한다.
      select disk [디스크 번호][sel]를 쳐서 디스크를 선택한다.
      clean[cle]이라고 쳐서 디스크를 초기화한다. 이때 선택한 디스크가 초기화되니 선택된 디스크가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중요 데이터는 백업하길 권장한다.[포맷]
      convert mbr[16]이라고 쳐서 디스크를 MBR로 변환한다. 디스크가 이미 MBR일 경우에는 건너뛰어도 상관없다.
      create partition primary[cre]라고 치거나 size=XXXXX[주파티션] 옵션을 추가하여 주 파티션을 만든다.
      active[19]라고 쳐서 파티션을 활성 파티션으로 표시한다.
      format fs=ntfs quick이라고 쳐서 주 파티션을 NTFS 방식으로 포맷한다.
      assign[ass]라고 쳐서 드라이브명을 할당해준다.
      list volume[vol]이라고 쳐서 주 파티션의 할당된 드라이브명을 확인해준다.
      exit를 눌러서 diskpart를 빠져나온다.
      1-2. UEFI일 경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list disk[dis]라고 쳐서 설치할 디스크 번호를 확인한다.
      select disk [디스크 번호][sel]를 쳐서 디스크를 선택한다.
      clean[cle]이라고 쳐서 디스크를 초기화한다. 이때 선택한 디스크가 초기화되니 선택된 디스크가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중요 데이터는 백업하길 권장한다.[포맷]
      convert gpt[26]이라고 쳐서 디스크를 GPT로 변환한다. 디스크가 이미 GPT일 경우에는 건너뛰어도 상관없다.
      create partition efi size=100[27]라고 쳐서 EFI 파티션을 만든다.
      format fs=fat32 quick이라고 쳐서 파티션을 FAT32 방식으로 포맷한다.
      assign[ass]라고 쳐서 드라이브명을 할당해준다.
      (선택: create partition msr size=16[29]이라고 쳐서 MSR 파티션을 만든다.)
      create partition primary[cre]라고 치거나 size=XXXXX[주파티션] 옵션을 추가하여 나머지 용량을 주 파티션으로 만든다.
      format fs=ntfs quick이라고 쳐서 파티션을 NTFS 방식으로 포맷한다.
      assign[ass]라고 쳐서 드라이브명을 할당해준다.
      list volume[vol]이라고 쳐서 EFI 파티션과 주 파티션의 할당된 드라이브명을 확인해준다.
      exit를 눌러서 diskpart를 빠져나온다.
2. wim(.esd) 파일 설치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dism /get-wiminfo /wimfile:[설치 USB 혹은 DVD 드라이브 문자]:\sources\install.wim(.esd)로 wim(.esd)파일의 인덱스 번호들을 확인한다.
dism /apply-image /imagefile:[설치 USB 혹은 DVD 드라이브 문자]:\sources\install.wim(.esd) /index:[설치할 인덱스 번호] /applydir:[주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
3. 부팅파일 생성
3-1. legacy BIOS일 경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bcdboot [주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Windows /s [주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 /l [부팅 언어][ko-KR] /f BIOS[35]
3-2. UEFI일 경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bcdboot [주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Windows /s [EFI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 /l [부팅 언어][ko-KR] /f UEFI[37]
4. 재부팅
}}}

* WinNTSetup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38]
다른 운영체제나 Windows PE(설치 USB, DVD, Windows RE 포함)[39]로 부팅해서 WinNTSetup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 윈도우 11의 install.wim(.esd)파일을 직접 설치할 경우는 아무런 제한에 걸리지 않는 것이 확인됐다.

Windows 11을 권장 사양 비충족으로 사용하면 Windows Update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Microsoft가 발표했는데, 비충족으로 사용하다가 권장 사양을 충족한 컴퓨터로 바꾸고 데이터를 포맷하지 않아도 권장 사양을 충족한 것으로 인식하면 Windows Update를 지원한다. 권장 사양을 검사하는 건 설치 과정뿐만이 아닌 듯하다.[WM]

3. 비공식 우회 설치 방법

3.1. 계정 우회

  • 네트워크
    22H2 버전 이후 Home 버전에서 Microsoft 계정이 아닌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방법이다.(TPM과 관련 없음)
    • 아래의 계정 우회 방법들은 Pro 버전[41]이나 Enterprise 등의 타 제품군들도 지원하는 방법이지만 Home 버전과 다르게 Pro 등의 타 제품군들은 보통 설치 과정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제한된 설치"와 같은 로컬 계정 생성 버튼이 따로 있는 관계로 로컬 계정을 생성하는 우회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적은 편이다.
    • 유선 / 무선 랜카드 상관없이 되는 방법
      • 계정명을 우회하는 방법
        • 계정명과 비밀번호 각각 test[42]를 입력하고 로그인한다. 아니면 링크를 보면 알겠지만 계정명만 대문자로 TEST로 입력하고 비밀번호는 임의의 8자를 입력한다. 이 과정을 진행하면 오류가 발생했다고 나오는데[MS계정오류] 그냥 다음을 누르면 로컬 계정 생성 화면으로 넘어간다.
      • 연결하지 않는 방법
        • 21H2 - 링크를 보면 알겠지만 네트워크 설정에서 ALT+F4로 끄는 방법이나 Shift + F10을 눌러 taskkill /F /IM oobenetworkconnectionflow.exe을 입력하는 방법 등으로 인터넷 연결을 해제할 경우 네트워크 설정 전까지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고 네트워크 설정 화면이 뜰 때 다시 연결하고 다음을 누르자마자 바로 연결 해제하면 로컬 계정 생성 화면으로 넘어가는 방법으로 가능했었으며 특히 유선 랜카드의 경우 무선보다 비교적 쉬운 방법이었다. 단, 설치한 기기에 유선 랜 포트가 없으면 USB 유선 랜 카드를 이용하거나, 무선(와이파이)의 경우 스마트폰의 핫스팟을 이용해서 연결한 뒤 넘어가지면 핫스팟을 끄는 방식이나 유/무선 공유기에 연결했다가 임시로 유/무선 공유기의 전원을 끄는 방식으로 연결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으로 진행해야 했다. 21H2 22000.71 빌드 한정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이후 "인터넷 연결이 끊겼습니다"라면서 네트워크 연결 화면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막히게 되었다.
        • 21H2 ~ 23H2 - 네트워크 설정 전까지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고 네트워크 설정 화면이 뜰 때 Shift + F10키를 눌러 oobe\BYPASSNRO[44]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재부팅되고 OOBE가 처음부터 다시 뜨며, 네트워크 설정 화면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 뜨는데, 누르고 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누르면 로컬 계정 생성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24H2부터 막히게 되었다.
        • 24H2 - 네트워크 설정 전 단계에서 Shift + F10키를 눌러 start ms-cxh:localonly을 입력하거나 아니면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OOBE /v BypassNRO /t REG_DWORD /d 1 /f shutdown /r /t 0[45]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1, #2, #3) 이후 25H2(26220.6772 빌드)부터 start ms-cxh:localonly와 같은 계정 우회 명령어가 막히게 되었다.#
        • 25H2 - 링크를 참고하여 로컬 계정을 생성하거나 Rufus를 활용하여 Windows 11 25H2 설치 USB를 제작하면서 MS 계정 우회를 적용한 뒤에 Windows 11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 Rufus를 이용하는 방법
    비공식 우회 설치법 중에 가장 권장되는 방법으로 Windows 11 21H2부터 25H2 빌드를 사용하는 2025년 10월 현 시점에서도 사용 가능한 우회 방법이다. 적용 방법은 Windows 11 설치 ISO 파일을 USB로 만들기 위해 시작을 누르면 WIndows 사용자 환경이라는 창이 뜨는데, 온라인 Microsoft 계정에 대한 요구 사항 제거를 적용하면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Microsoft 계정 우회도 가능하다. 아래에서 후술될 TPM 우회와 함께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다운로드Rufus 사용방법 왕초보도 할 수 있는 윈도우11 설치 & 최적화

3.2. 구형 CPU 및 TPM 우회

우회 설치인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설치는 되더라도 나중에 21H2를 설치했는데 22H2로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업데이트를 비롯한 지원을 받지 못할 수 있다고 한다. 가급적 인텔 5, 6, 7세대, AMD 라이젠 1세대, 레이븐 릿지 시스템일 경우 바이오스에서 TPM을 켠 다음 공식 우회 방법을 이용하고 TPM 1.2도 없는 경우 공식 우회 방법과 가장 유사한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일반 사용자용 정식 배포 빌드에서도 막히지 않고 설치된다.
  • Windows 11도 21H2 초기버전이면 몰라도 Windows 업데이트가 진행될수록 요구 사양이 더 상향되어 구형 CPU들의 경우 신형 CPU들에 비해 명령어 부재가 더 큰 영향으로 부팅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늘어나 우회 설치도 더 힘들어 질 예정이다. 실제로 2024년 중에 추후 업데이트가 진행될 Windows 11 24H2부터는 요구사양이 더 상승하여 CPU 명령어(SSE4.2, POPCNT)가 없는 인텔 코어2 시리즈AMD 페넘 II 시리즈 등의 구형 CPU들의 경우 아예 부팅 로고에서 멈춰 정상적으로 부팅이 불가능하다.#1#2
    • Windows 11 IoT Enterprise 계열을 제외한 Home / Pro 등의 대부분의 Windows 11 제품군의 경우 Rufus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Windows 11 설치 파일을 조작하여 4GB 이상의 RAM, Secure Boot 및 TPM 2.0에 대한 요구 사항 제거가 적용된 상태로 24H2 ~ 25H2 우회 설치를 적용할 경우 일부 보안 기능이 생략되기에 쿼드코어 CPU를 사용하는 인텔 5~7세대 i5 CPU를 사용하는 경우 그나마 실질 사양이 내려가 성능이 상당히 쾌적해지지만 듀얼코어 CPU를 사용하는 인텔 5~7세대 i3 및 셀러론/펜티엄을 사용하는 경우 아무리 SSD를 달아도 웹서핑 용도 이상의 사용시 버벅거림을 느끼는 탓에 쾌적한 실사용이 힘들어진 상황이다. 그나마 Windows 11 IoT Enterprise 계열의 경우 설치 사양 조건부터 완화되어 Home / Pro 등의 타 제품군들에 비하면 상황이 나은 편이다.
주의: 이 방식은 위의 MS가 요구하는 조건에 아예 충족하지 못해서 설치가 막힐 때 쓰는 방법으로, 설치는 되지만 업데이트는 MS가 마음먹고 막는 그 순간부터 아예 안 될 것이다. 이걸 각오 해야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의 메인 PC에는 절대 이 방법을 쓰지 말고, 서브 PC나 중요한 데이터가 없는 컴퓨터에만 이 방법으로 설치하는 게 좋다.
  • Rufus를 이용하는 방법
    2025년 10월 기준 25H2 빌드가 최신버전으로 잡혀 있는 현 시점에서 모든 비공식 우회 설치법 중 가장 권장되는 방법으로 ISO 파일을 USB로 만들기 위해 시작을 누르면 WIndows 사용자 환경이라는 창이 뜨는데, 4GB 이상의 RAM, Secure Boot 및 TPM 2.0에 대한 요구사항 제거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부팅 USB가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UEFI와 동시에 CSM 부팅도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Rufus에서 트윅된 USB 저장장치를 통해 최소 사양을 만족하지 않는 PC에서도 클린 설치는 물론이고 업그레이드 (마이그레이션)까지 가능하다. 동시에 위에서도 언급된 내용이지만 Microsoft 계정에 대한 요구 사항 제거도 같이 적용해서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Microsoft 계정 우회도 같이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다운로드Rufus 사용방법
    • 번외로 USB 저장장치가 없는 상태에서도 VHD를 활용하여 Windows 11 설치를 진행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단, 2025년 10월 현재 다이소에서 5000원이면 32GB USB 메모리를 구하는게 가능한 관계로 VHD보다는 USB 메모리를 활용하여 Windows 11 설치 USB를 제작하는 것을 매우 권장한다.
  • Windows 10 설치 미디어를 이용하는 방법
    Windows 10 설치 미디어의 install.wim(.esd)을 Windows 11의 install.wim(.esd)으로 교체한 후 설치한다.[ISO하는방법]
  • 배치 파일
    •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Universal MediaCreationTool에서 bypass11 폴더 안의 Quick_11_iso_esd_wim_TPM_toggle.bat 파일을 ISO 파일에서 우클릭해 보내기 버튼으로 실행해준 다음 ISO 파일로 업그레이드를 시도한다. 막힌다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 최신 버전을 사용해 다시 시도한다. 최신버전으로 해도 막힌다면 인터넷을 끊고 다시 업그레이드를 시도한다.[47] 아래의 /product server 트릭과 같은 원리이다.
    • 클린설치를 할 경우
      Universal MediaCreationTool에서 MediaCreationTool.bat을 실행해 패치된 ISO 파일을 제작 후 원하는 방식으로 구워 설치한다.
  • 6/7세대 메인보드 UEFI 개조
    인텔 6/7세대 CPU를 사용하는 Z170/H110 등의 인텔 칩셋을 사용하는 일부 메인보드의 경우 UEFI(BIOS)를 개조한 뒤 인텔 8~9세대 CPU를 통전과 절연 작업[48]을 진행한 뒤에 6~7세대 메인보드에 장착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한때 중국에 출시된 일부 변종 메인보드 중에는 인텔 H110 칩셋을 사용하고 있지만 H310 메인보드로 판매하여 인텔 6세대 CPU부터 9세대 CPU까지 지원한 경우도 있었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인텔 6~7세대와 인텔 8~9세대의 1151 소켓의 구조는 사실 비슷한 영향이 크다.#1#2
  •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는 방법(클린설치)
    아래 내용을 메모장에 복사 후 reg 파일로 저장하고 USB에 파일을 넣은 다음 부팅 후 Shift + F10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켠 다음 notepad를 입력하고 '파일 -> 열기'를 눌러 reg 파일이 저장된 USB로 간다음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전환한 다음 reg 파일을 우클릭 한다음 '병합'을 누른다.[하는방법1] / 명령 프롬프트에서 regedit를 입력하고 '파일 -> 가져오기'를 눌러 reg 파일이 저장된 USB로 간다음 reg 파일을 지정하고 '열기'를 누른다.[하는방법2]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LabConfig]

    "BypassRAMCheck"=dword:00000001

    "BypassTPMCheck"=dword:00000001

    "BypassSecureBootCheck"=dword:00000001

    "BypassStorageCheck"=dword:00000001

    "BypassDiskCheck"=dword:00000001

    "BypassCPUCheck"=dword:00000001

    이 방법은 설치 시 RAM체크와 TPM 체크, SecureBoot 체크, 용량 체크, 디스크 체크, CPU 체크를 생략하겠다는 것이다. DISM 툴을 다룰 수 있다면 위 레지스트리를 아예 설치본에 통합할 수도 있다. 하는 방법

    같은 원리로 레지스트리 파일을 이용하지 않고 설치단계에서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51] 부팅 후 설치 전에 Shift + F10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띄운 후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그런 다음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LabConfig라는 키를 생성하고 아래 항목을 DWORD(32비트) 값으로 생성한다.[52]
    • BypassRAMCheck 값: 1
    • BypassTPMCheck 값: 1
    • BypassSecureBootCheck 값: 1
    • BypassStorageCheck 값: 1
    • BypassDiskCheck 값: 1
    • BypassCPUCheck 값: 1

    {{{#!folding [ 명령어 펼치기 · 접기 ]
    {{{reg add HKLM\SYSTEM\Setup\LabConfig /v BypassRAMCheck /t reg_dword /d 1 /f
reg add HKLM\SYSTEM\Setup\LabConfig /v BypassTPMCheck /t reg_dword /d 1 /f
reg add HKLM\SYSTEM\Setup\LabConfig /v BypassSecureBootCheck /t reg_dword /d 1 /f
reg add HKLM\SYSTEM\Setup\LabConfig /v BypassStorageCheck /t reg_dword /d 1 /f
reg add HKLM\SYSTEM\Setup\LabConfig /v BypassDiskCheck /t reg_dword /d 1 /f
reg add HKLM\SYSTEM\Setup\LabConfig /v BypassCPUCheck /t reg_dword /d 1 /f}}}
}}}

비공식 우회 방법 중 하나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Windows 11 개발진이 직접 숨겨둔 설정이다. 아마 간편한 디버깅 용도로 넣어놨다가 삭제하지 않았거나, MS에서 암묵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전자의 경우 작업 관리자 소개 영상을 7세대 CPU로 공개했던 사건이랑 상충한다.
  • Windows 11 IoT Enterprise 24H2 & IoT Enterprise LTSC 2024(클린설치)
    Windows 11/제품군에서도 언급되는 내용이지만 IoT Enterprise 24H2 혹은 IoT Enterprise LTSC 2024 한정으로 TPM, 보안부팅이 없는 BIOS 환경이어도 설치가 가능하게 사양 조건이 완화되어 윈도우 10을 대신 설치하라는 오류 메시지나 바탕화면 오른쪽 하단에 시스템 요구사항 미충족 워터마크가 나오지 않는다. 단, Windows 11 Home/Pro 제품군과 다르게 임베디드 시스템에 최적화된 솔루션에 맞게 OEM 제조사에만 제공되는 에디션[53]이라서 공식적으로는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없다.
    • 일반 소비자용이 사용할 수 없는 운영체제에 맞게 기존 운영체제 Home/Pro 제품군에서 각종 설정까지 유지하는 직접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하여 클린 설치가 필요하다. 또한 IoT Enterprise 계열의 경우 Home/Pro 제품키와 아예 다른 제품키를 사용하는 관계로 정품 인증과 관련한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일반 소비자들이 Windows 11을 사용할 것이라면 IoT Enterprise 계열을 설치하여 정품 인증을 받지 않아 EULA 위반하는 것보다는 구형 CPU 및 TPM 우회 조건이 필요 없는 새 PC를 구매하여 Windows 11 Home/Pro 제품군을 구매하여 정품 인증을 받아 사용하는 것을 매우 권장한다.
    • 인텔 2세대 샌디브릿지, 인텔 4세대 하스웰 등의 구형 PC에서도 TPM, 보안부팅과 관련한 설치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IoT 계열 한정으로 Windows 11 설치 사양 조건이 완화된 영향으로 인해 Rufus로 Windows 11 Home / Pro 제품군을 우회 설치하여 구동하는 것보다 Windows 11 IoT Enterprise 계열을 설치하여 구동하면 더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게다가 Windows 11의 경우 기존 Windows 10 드라이버와 대부분 호환되는 관계로 Windows 업데이트[54]로 많은 드라이버를 잡을 수 있으며 일부 인식이 안되는 드라이버의 경우 3DP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 IoT Enterprise 계열의 설치 ISO의 경우 평가판이나 정식 버전 둘 다 언어 역시 영문 버전만 지원하고 있다. 그래서 한글로 사용할 것이라면 언어팩을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정식 버전의 IoT Enterprise 계열 설치 ISO의 경우 IoT Enterprise 24H2 / 25H2(UUP 통합판), IoT Enterprise LTSC 2024(MSDN 통합판)[55] 링크를 통해 .torrent 파일을 받을 수 있고 토렌트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영문판이나 한글 언어팩이 통합되어 있는 설치 ISO를 받을 수 있다.

  • appraiserres.dll을 수정하는 방법(업그레이드)[56][57]
    설치 원본의 sources 폴더에서 appraiserres.dll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편집 -> 찾기로 가서 TPM이라고 검색한다. 그 다음 TPM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것 중 TpmVersion이라고만 되어 있으면 그냥 냅두고, TPM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것 중 내용이 더 되어 있거나 2줄이면 지운다. 다 했으면 편집 -> 찾기로 가서 UEFI라고 검색한다. 그 다음 똑같이 UEFI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것 중 UefiSecureBoot이라고만 되어 있으면 그냥 냅두고, UEFI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것 중 내용이 더 되어 있거나 2줄이면 지운다. 그리고 저장한 후 업그레이드를 시도한다.
  • 가상머신 복구 방법[58]
    Windows 11이 요구하는 사양은 가상머신에서 요구하는 사항과 실사용 기기에서 요구하는 최소 사양이 다르다.# 따라서 Windows 11을 가상머신에 설치한 뒤 해당 가상머신의 드라이브를 원래 디스크에 복사하면 요구사양에 미치지 못하는 기기에서도 Windows 11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위의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으며#, WDDM 1.2 조건도 우회 가능하다. 실제 코어2 듀오의 내장그래픽인 GMA 3100은 DirectX 10만을 지원하지만, 설치가 가능하다.#

3.2.1. 트릭 명령어 사용(업그레이드)

  • 영상 출처: Youtube 컴기정Tv_컴퓨터기본정보

이 방법은 구형 CPU 및 TPM 우회하는 방법 중에 하나로 Windows 11로 업그레이드할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으면 명령어로 우회로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래서 파일/레지스트리 변경이 없고 단지 Microsoft에서 공식으로 제공하는 Windows 11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 받은 뒤 ISO 파일의 경우 Windows 11 디스크 이미지를 탑재(마운트)하거나 USB 메모리에 압축을 해제한 뒤 컴퓨터 본체에 USB에 연결해서 설치 경로에 들어간 뒤에 설치로 바로 실행하지 말고 경로 표시줄에 CMD를 입력 하고 엔터를 누르면 명령 프롬포트가 나오는데[사진] setup /product server를 입력하고 엔터를 진행하면 Windows Server 설치 화면으로 나오는데 Windows 11 설치 과정이므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 방법은 2023년 10월에 외국에서 먼저 트릭(영문)으로 먼저 공개되어 일단 2024년 1월 기준으로 가장 최신 버전인 23H2 Windows 11 설치 파일의 경우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라서 설치가 가능하지만 향후 Microsoft에서 막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영문)

이후 빌드 27686부터 이 방법이 막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었다가 최신 버전 25H2에서 적용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5H2 이전에 빌드 27686부터 막힌 사례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다시 막힐 가능성이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Windows 11 다운로드
이 사이트에 들어간 다음 x64 디바이스용 Windows 11 디스크 이미지(ISO) 다운로드에서 Windows 11(x64 디바이스용 다중 버전 ISO)을 선택한 다음 지금 다운로드를 클릭한다.[참고]
제품 언어 선택에서 한국어를 선택하고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다운로드한 파일은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탑재를 누른다.[탑재X]
탑재가 완료되면 탐색기의 경로표시줄에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사진]
명령어는 setup /product server 입력하고 실행한다.
Windows Server 설치가 떠 있으면 우회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63]

[ 영상 더보기란 펼치기 • 접기 ]
업그레이드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업그레이드 실패 사유는 기존 시스템 파일이 손상이 되었거나, 장치 드라이버 오류, 디스크 여유 공간 부족 및 디스크 오류로 인해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작업을 진행하시는 PC들은 최소 7년 이상된 PC들이라, 시스템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을 적용해 보고,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시작 - 설정 - Windows & 보안 업데이트를 선택하고, 왼쪽 메뉴에서 문제 해결을 선택한 다음, 추가 문제 해결사를 클릭합니다.
Windows 업데이트 선택하고 문제 해결사 실행해서 점검해 보시고,

Win + R을 누르고 services.msc를 입력 실행한 다음 서비스 항목에서 'Windows 업데이트'를 중지하고,
파일 탐색기를 실행한 다음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폴더 내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삭제하면, 윈도우 업데이트 캐쉬 파일이 삭제됩니다.
그리고, 다시 서비스 항목에 있는 'Windows 업데이트' 항목을 시작으로 변경하고, 업그레이드를 다시 시도하시면 됩니다.

기존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면,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시스템을 복구합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복구가 완료 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sfc /scannow 복구를 시도하고, 다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면 됩니다.

디스크 여유 공간 최소 20GB 정도 필요하니, 업그레이드 전 여유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디스크에 오류가 있다면, 명령 프름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 드라이브가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라면, chkdsk c: /f /r 입력하여, 디스크 검사를 진행하면 됩니다.
추가로 아래 영상 참고하여, 디스크 상태도 점검해 보세요.
SSD, HDD 상태 정보 확인하는 방법

장치 드라이버로 인한 오류 발생 시, 기존 드라이버를 모두 업데이트하시고,
메모리 무결설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Windows 보안' - '장치 보안' - '코어 격리'에서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를 제외한 주변 기기들을 모두 분리하고,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래도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백신 프로그램이 사용 중이면, 중지를 하거나 삭제합니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도 전부 삭제해 주세요. (구라제거기 추천!!!)

실행[64]에서 msconfig 입력 실행하여, '시스템 구성'을 실행합니다.
'서비스' 항목에서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를 체크하고,
비 Microsoft 서비스 항목들을 '모두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고,
PC 재시작 후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계속해서 실패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배치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바탕 화면에 SetupLogs 폴더를 생성합니다.
SetupLogs 폴더안에는 설치 로그 및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로그 파일을 확인해 업그레이드 실패 정보를 찾아 해결해야 합니다.
로그 배치 파일 다운로드

자세한 사항은 아래 Microsoft 문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Windows 업그레이드 오류 해결: IT 전문가를 위한 기술 정보
Windows 10 업그레이드 확인 절차 - 오류 코드 0xC1900101
Windows 10 업그레이드 오류 코드
Troubleshoot Windows 11 upgrade and Installation errors - ARTICLE
Windows 업그레이드 및 설치 오류에 대한 도움말 보기
Windows Server 업데이트 문제 해결 지침


[ 자주 묻는 질문 펼치기 • 접기 ]
사람들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Q : 저는 '탑재'가 없어요.

A : 다운로드 받은 윈도우 파일이 압축 프로그램으로 연결 되거나, '탑재'가 없다면,
윈도우 ISO 이미지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을 눌렀을 때,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 - 'Windows 탐색기' 선택하시면 탑재가 됩니다.[탑재X]
Q : 윈도우 다운로드 화면에서 'Windows 11 (multi-edition ISO)'이 아닌, 'Windows 11 (x64 디바이스용 다중 버전 ISO)' 으로 나옵니다.

A : multi-edition을 직역하면, 다중 버전이 되니 같은겁니다.[참고]
Q : Microsoft 공식 페이지에서 윈도우 다운로드가 안됩니다. '오류 현재 요청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일부 사용자 및 법인 일부 위치에서는 이 서비스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A : Microsoft 서버에서 차단된 상태입니다. VPN 또는 프록시를 사용한다면, 비활성화 해두시고, DNS 서버 변경하시면 됩니다.
광고 차단 프로그램 사용 중이라면, 잠시 삭제하거나, 비활성화 해보세요.
그래도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Windows 11 다운로드
Q : 명령어를 입력하면,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고 나와요.

A : 경로가 잘못되어 setup 명령어를 인식 못하는 경우입니다. 영상을 다시 보면, 탑재된 윈도우 이미지 경로표시줄에 cmd를 입력해야[사진] 해당 드라이브 명으로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된 상태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Q : 명령어를 입력하면, '지정한 명령줄 옵션을 구문 분석할 수 없습니다.' 또는, '알 수 없는 명령줄 옵션 [/#####]이(가) 지정되었습니다.' 나와요.

A : 명령어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됩니다. setup /product server
Q : 명령어를 입력하면, 'setup.exe 의 버전이 실행중인 windows 버전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라고 나와요.

A : 윈도우 11은 64bit만 지원합니다. 현재 윈도우가 32bit인지 확인해 보세요. 32bit버전이라면, 윈도우 11을 클린 설치해야 합니다.

Windows 11 USB 만들고 설치하는 방법
Q :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미지 파일은 올바르지만, 현재 시스템이 아닌 다른 시스템을 위한 것입니다.' 나와요.

A : 윈도우 ISO 이미지는 ARM과 x64 두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cpu가 arm, x64인지 확인하시고, cpu에 맞는 버전으로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cpu는 x86,x64이니, x64 버전 받으시면 됩니다.
Q :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오류가 나와요.

A : regedit 입력 실행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해 주세요.
그리고, 아래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PortableOperatingSystem 항목의 값을 0으로 변경하고, PC 재 시작 한 후 작업을 다시 진행하면 됩니다.
Q : 유지할 항목 선택에서 첫번째 '파일 설정 및 앱 유지' 선택이 되지 않습니다.

A : 파일 및 앱 유지가 안되는 경우는 현재 버전보다 낮은 버전으로 설치하거나, 현재 윈도우 언어 버전과, 설치하려는 윈도우의 언어 버전이 다를 경우 발생합니다.
현재 윈도우 버전과, 설치하려는 윈도우 버전 및 언어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

파워쉘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된 언어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et-WinSystemLocale
Q : 설치할 수 없다는 오류 코드가 나옵니다. 오류 코드 0xC1900101 또는 0x800xxxxx

A : 현재 PC의 장치 및 시스템 오류입니다.
이 영상을 보고, 업그레이드 진행하시는 PC는 최소 7년이 경과된 시스템이라 다소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영상 밑에 '더 보기'를 눌러 오류 해결 방법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Microsoft 문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Windows 업그레이드 오류 해결
Windows 10 업그레이드 확인 절차 - 오류 코드 0xC1900101
Windows 10 업그레이드 오류 코드
Q : 업그레이드 중 xx%에서 더이상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A : 기존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경우, 업그레이드가 안될 수 있습니다.
영상 밑에 '더 보기'를 눌러 오류 해결 방법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Q : 정픔 인증 그대로 유지되나요?

A : 현재 제품 인증이 되어 있다면, 업그레이드 후에도 인증은 유지됩니다.[68]
Q : 우회 설치를 해도 업데이트는 가능한가요?

A : 현재는 아무런 문제없이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추후에 업데이트가 중단될 수 있음을 Microsoft에서 경고하고 있습니다.
Q : 우회 설치하면 보안이 취약해 지나요?

A : 윈도우 11은 TPM으로 윈도우 10보다 보안이 더 강화되었죠.
그래서 윈 11의 하드웨어 요구 사양 중 TPM이 없으면 윈 11을 설치할 수 가 없습니다.
하지만 TPM없이 우회 설치를 하면 일부 보안 기능이 제한됩니다.
보안이 취약하다고는 하지만, 우회 설치로 기능이 제한된 윈도우 11은 윈도우 10 보안 성능과 비슷합니다.
Q : 윈도우 7에서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한가요? 탑재가 되지 않습니다.

A : 윈도우 7의 경우 기본적으로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탑재하는 기능이 없어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Wincdemu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윈도우 7에서 업그레이드하려면 TLS 프로토콜 패치를 해야 작업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7 업그레이드 영상은 아래 영상 첨고하시면 됩니다.



[1] 워터마크 자체는 지울 수 있다.[2] #[3] 다만, 일부 사양이 Windows 11을 지원하면 그 부분만 업데이트된다. 셀러론 카비레이크 3865U가 탑재된 노트북에 Windows 11을 우회설치하면 인텔 칩셋 업데이트가 뜬다. 아울러 22H2 -> 23H2 업데이트 시에는 자동으로 23H2로 업데이트되지는 않지만, 윈도우 업데이트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한 후에 인에이블먼트 패키지#만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미지원 시스템에서도 업데이트된다.[4] 게임을 별로 하지 않는다면 저사양 Linux 또는 ChromeOS Flex를 쓰는 것이 좋지만 한국 웹 환경과 맞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은 알아두도록 하자. 사실 Linux 역시 Steam의 호환 레이어를 통해 일부 게임을 즐길 수 있긴 하지만, 네이티브 대비 성능저하와 안티치트 문제는 감수해야 한다.[5] 이쪽은 Win11의 아이콘이 일부 적용되어 있고 WS2019보다 빌드번호도 높아서 최신 게임도 플레이할 수 있다.[6] 공식 홈페이지(한국어), 공식 홈페이지(영어)[7] 업데이트가 있다고 나오지 않고 계속 최신 상태라고 나온다. 사소한 보안 업데이트는 설치 가능한 것을 보면 의도적으로 보여주지 않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8] '이 글을'로 바꾸면 좀 더 자연스럽다.[9] 사실 Windows 11의 경우 공식지원이 안되는 CPU에서 시스템 불안정과 성능 저하 문제가 있으며 특히 i3이하급의 공식지원이 안되는 CPU는 이미 성능상의 한계에 도달한 상태이다.[10] 인텔 5·6·7세대/AMD 라이젠 1세대와 2세대(레이븐 릿지) 일부 시스템, 그 외 TPM 1.2 이상의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한정.[11] #[dis] 또는 lis dis[sel] 또는 sel dis [디스크 번호][cle] 또는 cle[포맷] 만약 진작에 어떤 방식으로 포맷을 했거나 아예 새 HDD 또는 SSD를 넣고 설치한다면 이 과정은 건너뛰어도 되겠지만, 향후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거치자.[16] 또는 con mbr[cre] 또는 cre par pri[주파티션] 참고로 여기서 size를 입력하지 않고 primary까지만 치면 남은 할당되지 않은 디스크 전체가 파티션이 된다. 혹시 D드라이브 등의 파티션을 추가하고 싶다면 C드라이브를 위한 주 파티션을 만들 때 create partition primary size=[(원하는 용량)MB] 로 입력해서 여유 공간을 남긴 뒤 이 명령어를 입력해서 추가 파티션을 만들 수 있다. 예) 80GB를 생성하는 경우 : create partition primary size=81920[19] 혹은 act[ass] 혹은 ass[vol] 또는 lis vol[dis] [sel] [cle] [포맷] [26] 또는 con gpt[27] 또는 cre par efi size=100[ass] [29] 또는 cre par msr size=16[cre] [주파티션] [ass] [vol] [ko-KR] 예) ko-KR[35] UEFI로 부팅된 환경에서 작업하는 경우 입력해줘야 한다.[ko-KR] [37] legacy BIOS로 부팅된 환경에서 작업하는 경우 입력해줘야 한다.[38] #[39] 일부 개인이 개조한 버전에는 해당 작업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WM] 우회해 설치한 기기에서는 Windows Insider Program 참여가 되지 않으며 Android 앱을 실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2000.588 업데이트 후부터는 설정 앱과 워터마크로 권장 사양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단, TPM 1.2를 지원하는 미지원 CPU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외). 그리고 22H2 버전이 출시된 시점 기준으로는 우회해 설치한 기기에서는 드라이버 업데이트 미지원, Windows 빌드 업데이트 때마다 ISO와 MS에서 안내하는 공식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한 우회를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41] Pro Education, Pro for Workstations 포함.[42] 이메일 주소가 아닌 test만 입력하면 된다[MS계정오류]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 계정에 대해 잘못된 암호를 너무 여러 번 입력했습니다. 회원님을 보호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계정을 잠궜습니다.-나중에 다시 시도해 보세요.
[44] C:\Windows\System32\oobe\BYPASSNRO.cmd를 실행.[45] 전술한 스크립트 파일(BYPASSNRO.cmd)의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다. 즉, 이전 버전에서도 사용 가능.[ISO하는방법] Windows 11 ISO을 탑재시킨 후 install.wim(.esd) 파일을 찾아 다른 공간에 복사한 뒤 UltraISO와 같은 ISO 파일 편집 프로그램으로 Windows 10 ISO 파일을 열고 install.wim(.esd) 파일을 찾아서 지운 뒤 추출한 Windows 11의 것로 교체하면 된다.[47] 댓글 참고[48] i3 9100F B0스테핑과 같은 일부 9세대 CPU의 경우 통전/절연 작업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8~9세대 CPU를 6~7세대 메인보드에 장착할 경우 통전/절연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매우 권장한다.[하는방법1] 파일:win11-screen0.gif[하는방법2] 파일:win111-screen0.gif[51] 최신 버전에서는 설치 UI가 개편되면서 미지원 경고창에서 뒤로가기 버튼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경고창에 이미 진입해버렸다면 닫기 버튼을 눌러 일단 자동으로 재부팅된 뒤 경고창 바로 직전의 메뉴에서 시행하면 된다.[52] TPM, SecureBoot와 RAM을 제외한 레지스트리들은 선택이다.[53] 임베디드용 Windows의 경우 흔히 Windows CE로 알려진 Windows Embedded Compact를 시작으로 Windows 10 IoT 계열, 이후 Windows 11 IoT 계열의 운영체제가 등장했다. 그래서 일반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나 조직의 경우 MS OEM CLA 계약을 하면 MS Software Order Center에서 한글판 임베디드용 OS 이미지(ISO)를 받을 수 있다는 정보가 있다.#[54]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 고급 옵션 - 선택적 업데이트 순서로 들어가면 Windows 업데이트를 통해 칩셋 등의 여러 드라이버를 받을 수 있다.[55] MSDN 통합판과 UUP 통합판의 차이점으로는 MSDN 통합판(누적 업데이트 + 서비스 스택 업데이트 + .NET Framework 업데이트), UUP 통합판(누적 업데이트 + 서비스 스택 업데이트)의 구분 정도 외에는 MS에서 공식으로 배포하는 파일(ESD, cab파일)로 만든 순수 ISO 설치 파일 기반으로 Windows와 관련된 각종 업데이트만 통합하여 제작하고 있다. 단, UUP 통합판의 경우 X64FRE와 A64FRE로 파일이 구분되어 있는데 X64FRE가 우리가 흔히 쓰는 64비트 PC에 쓰이는 Intel / AMD CPU용 Windows 11 설치 ISO이다.[56] 원래는 Windows 10의 것으로 교체하면 됐으나 해당 방법은 막힌 상태이고, CPU 외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기기 기준, 24H2의 설치파일에서 이 방법이 막히는 상황이다.[57] 출처[58] 빌드가 올라가면서, 그리고 가상머신 종류에 따라 일부 막힌 것으로 추정된다. # 그리고 참가자 빌드(22458.1000)정식 출시 버전(빌드 22000.194)부터 가상머신에도 대해서 Windows 11의 요구 사항을 필요로 하고, 성공을 하더라도 미지원 기기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요구 사항을 다시 확인하기 때문에 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다.[사진] 파일:Windows 10 탐색기 명령표시줄.jpg 빨간색 형광펜으로 처져 있는 곳에 클릭해야 한다.[참고] 영상으로 봤을 땐, Windows 11 (multi-edition ISO)라고 나오지만, 사실은 그것과 같다.[탑재X] 탑재가 없을 경우 '연결 프로그램' - 'Windows 탐색기' 순으로 선택한다.[사진] 파일:Windows 10 탐색기 명령표시줄.jpg 빨간색 형광펜으로 처져 있는 곳에 클릭해야 한다.[63] 유지할 항목 선택이 뜨면 사용자 선택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64] Win + R[탑재X] 탑재가 없을 경우 '연결 프로그램' - 'Windows 탐색기' 순으로 선택한다.[참고] 영상으로 봤을 땐, Windows 11 (multi-edition ISO)라고 나오지만, 사실은 그것과 같다.[사진] 파일:Windows 10 탐색기 명령표시줄.jpg빨간색 형광펜으로 처져 있는 곳에 클릭해야 한다.[68] Windows 10 Home이면 Windows 11 Home, Windows 10 Pro이면 Windows 11 Pro로 유지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Windows 11|Windows 11]]}}}{{{#!if external != "o"
[[Windows 11]]}}}}}}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Windows 11?uuid=6fa1e8cb-6817-429b-991f-896f2814ccd0|r305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Windows 11?uuid=6fa1e8cb-6817-429b-991f-896f2814ccd0#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Windows 11?from=305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Windows 11|Windows 11]]}}}{{{#!if external != "o"
[[Windows 11]]}}}}}}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Windows 11?uuid=6fa1e8cb-6817-429b-991f-896f2814ccd0|r305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Windows 11?uuid=6fa1e8cb-6817-429b-991f-896f2814ccd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Windows 11?from=305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