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3:32:25

신기한 스쿨 버스 2

<colbgcolor=#009><colcolor=#000> 신기한 스쿨 버스 2
The Magic School Bus Rides Again
파일:스쿨버스2.jpg
{{{#ff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교육, 어드벤처, 코미디, SF
제작사 Scholastic Production, 9 Story Media Group
감독 리차드 웨스턴(Richard Weston)
주연 케이트 맥키넌 외 다수
공개 날짜 시즌 1: 2017.09.29
시즌 2: 2018.04.13
특별 에피소드: 2020.08.07, 2021.11.09
편당 러닝타임 시즌 1, 2: 약 25분
특별 에피소드: 약 44분
총 화수 30화
시청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이용가
스트리밍 넷플릭스 (마지막 특별 에피소드 제외)
}}}}}}}}} ||

1. 개요2. 정보3. 평가
3.1. 긍정적 의견3.2. 부정적 의견3.3. 총평
4. 등장인물
4.1. 주연4.2. 조연
5. 회차정보6. 오프닝
6.1. 영어판6.2. 더빙판
7. 기타8.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원작 신기한 스쿨버스를 토대로 만든 1994년~1997년에 방영한 신기한 스쿨버스(1994)의 정식 후속작.

2. 정보

2016년 리부트 예정이 발표 되었다. 3D로 제작한다고 알려졌었다.[1] 선생님 성우로 케이트 맥키넌이 캐스팅 되었으며, 26부작 CGI로 제작될 예정이라고 발표 되었다. #

2017년 넷플릭스에서 신기한 스쿨 버스 2(The Magic School Bus Rides Again)를 공개하였다. 한글 더빙이 제공된다.[2] 주된 스토리는 새학년이 된 아이들에게 갑자기 새로운 선생님이 오셔서 아이들이 깜짝 놀라는데 알고보니 프리즐 선생님의 동생 피오나 프리즐이었다. 기존의 프리즐 선생님은 교수가 되어서 프리즐 교수님과 함께할 학부생/대학원생들에게 묵념 혼자 모험을 떠나는 것으로 나온다. 피오나는 언니로부터 학급은 물론 스쿨버스 역시 물려받는다. 피오나 프리즐의 디자인은 리메이크판의 바뀐 디자인 기준으로 언니에 비해 머리색도 붉은색에 가깝고 확실히 세련미를 살린모습이다. 목소리도 젊은 편에 속하는 84년생 코미디 배우 케이트 맥키넌이 맡아서 원조 프리즐 선생님에 비해 훨씬 젊은 느낌이 강하다.

제작 초기에는 리부트로 알려졌으나 후속작이며, 우려와 달리 3D가 아니라 2D로 제작 되었지만 디지털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그에 맞춰 디자인이 대폭 변경 되었다. 그림체 또한 원작의 부르스 디건의 그림체를 많이 반영한 전편과 다른 매체들과 달리 좀더 저연령 동화스러워졌다. 특히 전작의 선생님이던 프리즐 선생님은 재생성 수준으로 외모가 달려졌다. 새로운 선생님인 피오나 프리즐은 언니의 바뀐 디자인과는 어느 정도 닮았지만 오리지널의 언니 디자인을 생각해보면 거의 손녀딸 내지는 타인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외모가 전형적인 미인형이다. 피비는 원래 다니던 학교로 전학을 갔다는 설정으로 미등장했고, 대신 조티 카우르(Jyoti Kaur)라는 신학생이 등장한다.

한 번 타면 목표 달성 시까지 안 돌아오고 뽕을 뽑아먹는(?) 오리지널 시리즈와 달리, 버스 타고 다시 돌아왔다가 일 생기면 또 바로 재탑승하는 것도 특징. 비교할 만한 단적인 예가 과학적 방법론 에피소드인데, 오리지널의 "가설과 검증" 에피소드에선 비록 버스를 주차장에 세워뒀지만 맞는 가설을 찾을 때까지 버스 안에서 가상현실 속만 들락날락한 데 비해, 넷플릭스의 "시행착오" 에피소드에선 로버에서 실패만 감지하면 곧바로 학교로 다시 날아간다. 또한 오리지널에서 다루던 내용은 잘 다루지 않은편. 다룬다고 해도 짤막하게 다루고 간다. 후속작이지만 오리지널에비해 이어지는 내용이 없다시피하다. 몇에피소드는 주제만 다른 리메이크격 에피소드도 있다.[3]

총 2개의 시즌, 26화와 44분짜리 특별 에피소드(Joanna Cole Specials) 4개를 끝으로 종영하였다. 특별 에피소드는 3D CGI로 만들어져서 좀더 작화가 깔끔하고 애니메이션도 부드러워져 비판받았던 싸보이는 움직임과 작화의 단점은 많이 커버가 되었다. 마지막 해설역의 프리즐 교수님은 등장하지 않고 대신 해당 에피소드의 조연 혹은 피오나 프리즐 선생님이 해설을 맡았다. 영상끝에는 2020년 별세한 조애너 콜을 추모하는 글이 등장한다.

3. 평가

비교적 잠잠했던 동양권 반응과는 달리 해외 시청자들의 반응은 여러의미로 폭발적이였으며 실제로 애니메이션이 나온 후에도 평가 또한 극과 극으로 나뉜다. 학부모들과 선생님들은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어릴적 원작 애니메이션을 본 추억이 있는 어른들과 양덕들은 부정적 반응을 보인다. 인터넷을 주로 쓰는건 후자라서 그런지 지금도 신작을 까내리는 글을 심심치않게 발견할 수 있다.

3.1. 긍정적 의견

  • 요즘 아이들 수준에 맞춰준 새로운 디자인과 그림체: 요즘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색감을 알록달록한 원색 위주로 썼으며 그림체와 캐릭터 디자인들도 기존의 디자인에 비하면 화려해졌다. 실제로 구작과 신작중 어느것을 마음에 들어하냐는 말에 대다수의 아이들은 신작을 선호했다고한다. 또한 변신했을 때 꽤나 괴기했던 오리지널과 달리[4] 비교적 귀엽게 변신하는편이라 아이들의 거부감이 덜한편이다.이때문인지 만화를 보고 자란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추억을 새로운 형태로라도 자녀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좋다는 반응이다.
  • 교육적 목적에 충실함: 아무리 많은 게 바뀌었다지만 교육이라는 장르에 충실한 편이며 실사화되면서 부관참시를 당하거나 불필요한 사상이 주입되지는 않았다.[5] 오리지널에 비해 더많은 교수와 박사들도 참여를 해서 그런지 고증이 들어가는 장면들은 디테일이 전보다 매우 좋아진 편이다.
  • 비교적 안정적인 퀄리티의 애니메이션: 싸보인다는 우려와는 달리 플래시 기반이라도 퀄리티가 무난한 편이다. 작화는 정지화면으로 봤을 때는 눈에 띄이는건 맞지만, 막상 움직이는 화면은 그리 이상하지 않은편에 속한다. 작붕이 빈번하게 일어났던 구판 에피소드에 비하면 플래시 기반으로 제작된 덕에 구판에 비하면 작붕도 없다시피하다.
  • 좋아진 연출: 비교적 밋밋한 연출 때문에 위기상황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오리지널에 비하면 신판은 연출에 더신경을 써줘 긴장감(?) 넘치는 장면들이 많아졌다. 연출 뿐만 아니라 버스의 변신 장면등 애니메이션 자체에 스펙터클한 부분이 있어 아이들도 좋아한다.
  • 무난한 새로운 선생님: 새로운 선생님인 피오나 프리즐은 딱히 프리즐 선생의 캐릭터성이 많이 달라진 것은 없어서 무난한편에 속하는편이며 성우인 케이트 맥키넌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호평이다. 오히려 비슷한 캐릭터임에도 성우의 연기톤이 달라 캐릭터가 달라보이는편.

3.2. 부정적 의견

  • 오리지널과 너무나도 다른 분위기: "넷플릭스는 무슨 짓을 한 거야!" 라며 오리지널의 분위기와 정신이 별로 안 살아난다는 의견이 많다.[6] 분위기 뿐만 아니라 색감도 지나치게 밝아졌고 캐릭터 디자인도 너무 변경이 되어 누가 누군지 자세히 보지 않는한 구별하기 힘든수준으로 변경이되었다. 변경된 분위기의 원인중 하나가 만화적 표현을 배재하고 비교적 현실적인 연출이 들어간것인데, 정작 현실에서 볼수없는 하이테크기술(특히 죠티의 발명품)을 남발한다.
  • 오리지널과 이어지지 않음: 분명 내용은 후속작을 표방하고 있지만 첫 1화와 교수가된 발레리 프리즐을 제외하면 이어지는 내용이 없다시피하다. 분명 오리지널편에서 배운 내용이지만 2편에서는 모른다는 듯이 행동을 한다. 물론 시간이 많이 흐른만큼 다시 언급을 한것에 가깝지만 그것을 제외하더라도 후속작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전편과 이어지는 부분이 없는수준.
  • 변경된 캐릭터성: 교체된 피비를 제외하면 기존의 학생들의 성격이 더부각된 좋은 케이스도 있지만 캐릭터성이 붕괴된 경우도 심심치않게 찾아볼수 있다. 아놀드처럼 오리지널에서는 겨울을 좋아했지만 겨울을 끔찍히 싫어하는 것으로 변경된 작은 케이스도 있지만 완다의 경우 전학을 가버린 피비의 자연사랑 포지션을 끼워넣는 바람에 기존의 말괄량이 캐릭터성이 매우 얕아져 아예 다른 캐릭터가 되어버린 경우도 있다. 영어판 한정으로 아역들의 연기가 캐릭터성을 변화시킨 원인 중하나라는 평가도 있는편. 오리지널이 인기를 얻은 이유중 하니가 캐릭터들인것을 감안하면 아쉬운편.
  • 기존의 작화를 무시한 그림체: 신기한 스쿨버스 시리즈는 전부 원작의 작화가인 부르스 디건의 작화를 적당히 어래인지해서 따라가 이질감이 덜하지만 혼자 전혀다른 스타일의 그림체를 들고와서 그런지 이질감이 심하다. 넷플릭스판 관련 서적도 주로 애니메이션판을 각색한 시리즈 밖에 없어 더욱 부각된다. 오히려 기존의 오래된 그림체들보다 싸보인다는 평가가 많다.
  • 굳이 변경된 선생님: 동생인 피오나 프리즐에 대해서는 이전 성우가 여전히 건재한데 굳이 새로 바꿔야 했냐라며 싫어한다. [7][8] 연기톤이 달라 캐릭터가 달라보이는건 사실이지만 그것을 배제하고보면 캐릭터가 딱히 다르지 않다는걸 알수있다.

3.3. 총평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오리지널과 동떨어진 분위기와 원작자인중 한명인 부르스 디건의 디자인과 화풍을 무시한 작화, 가끔 눈에 거슬리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특유의 움직임을 제외하면 요즘 아이들에게 맞춰져 나온 충분히 교육적이고 흥미로운 평작과 수작 사이의 애니메이션. 구판을 좋아하는 양덕들도 신판을 좋아하거나 둘다 같이 즐기는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신판이 마음에 안들지만 아이들이 좋아하기에 같이 보는 (주로 오리지널에 추억이 있는) 부모들도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예전과 같은 큰흥행은 하지 못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새대교체를 위해 그림체및 디자인은 갈아엎었지만 정작 오리지널에서 다뤘던 주제는 다시 다루지 않아 전편을 봐야하는데, 전편을 보여주자니 아이들은 오리지널 작화를 선호하지 않는데다 오리지널과 신판의 분위기와 디자인의 괴리감이 심한편. 대부분의 올드팬들은 신판을 싫어하는 경우가 대다수니 신판을 안보거나 보다마는건 당연한일. 이럴꺼면 그냥 과감하게 리부트 혹은 리메이크를 진행해 전에 다뤘던 주제를 다시 다룸과 현대에 맞게 다시 만들거나 캐릭터 디자인을 오리지널과 비슷하게 해서 오리지널편을 봐도 괴리감을 못느끼게 했어야했다는 평가가 있다.

별점은 극명나게 갈리는데, 정당한 비판을 하는 올드팬들도 있지만 별거 아닌 트집을 잡고 별점 테러를 저지르는 경우도 있어 적장히 걸러 들어야한다.[9] 이러한 갈리는 평가와는 달리 성적 자체는 무난했는지 스페셜판(시즌 3)을 4편씩 추가로 제작했으며 넷플릭스판을 만든 회사인 9 Story Media Group에게 좀더 투자를 할예정이라고 한다.관련 뉴스

한국어 더빙도 매우 좋은 퀄리티를 보여주지만 여러명이서 번역을해서인지 아이들의 말버릇이 통일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는 자막과 더빙 둘다 해당된다.[10] 번역도 살짝 아쉬운 편이며 고유명사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번역을 따르지 않았다는 소소한 점도 있다. 가끔 녹음 오류도 들린다.

4. 등장인물

4.1. 주연

4.2. 조연

5. 회차정보

<colcolor=#000000> 시즌 1
회차 제목 주제
1화 갈라파고스를 지켜라
Frizzle of the Future
생태계 교란종
2화 막내 돼지의 벽돌집 지키기
Pigs in the Wind
건축기술과 바람
3화 해저탐험대, 상어를 물리쳐라
In the Swim
물고기의 생존수단(무리)
4화 일기예보관 대 록맨 선장
The Battle for Rock Mountain
암석순환
5화 인간자석, 스쿨버스를 구해라
The Magnetic Mambo
자기장
6화 카를로스 재채기의 비밀
Carlos Gets the Sneezes
알레르기
7화 숨바꼭질 대마왕을 이기는방법
Hides and Seeks
동물의 위장
8화 범퍼카보다 재밌는 물분자 자동차
Three in One
물질의 상태
9화 우주 비행사가 되고 싶어
Space Mission: Selfie
인공위성
10화 빙하가 들려준 지구이야기
The Tales Glaciers Tell
빙하기후변화
11화 응원 로봇 라라의 대활약
Ralphie Strikes a Nerve
신경계
12화 얼룩괴물이 얼씬도 못하게
Monster Power
대체에너지
13화 바다 끝까지, 수중 구조 대작전
DA and the Deep Blue Sea
심해

<colcolor=#000000> 시즌 2
회차 제목 주제
1화 화석을 찾아라!
The Land Before Tim
화석판 구조론
2화 범인은 누구?
Claw and Order
조류
3화 유령 농장
Ghost Farm
농업기술
4화 그냥 인터넷
Nothin' But Net
인터넷IP
5화 동물의 눈으로 보는 세상
I Spy with my Animal Eyes
시야
6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Ready, Set, Fail!
시행착오(실패)
7화 파스타 평원의 경주
The Good, the Bad, and the Gnocchi[11]
단순 기계
8화 구름 속으로
Send in the Clouds
구름
9화 어질어질 공중그네
Ralphie and the Flying Tennellis
생활수학
10화 팀과 말하는 나무
Tim and the Talking Trees
동물, 벌레, 식물의사소통
11화 쓰레기는 아니지만
Waste Not, Want Not
배설물
12화 재닛의 신기한 DNA
Janet's Mystery Gene
유전자
13화 신기한 스쿨버스가 최고!
Making Magic
태양

<colcolor=#000000> 스페셜(시즌 3)
회차 제목 주제
1화 우주 괴물을 막아라!
Kids in Space
우주정거장
2화 프리즐 선생님이 셋?
The Frizz Connection
기류
3화 엉망진창 시간 대소동
In the Zone
시간대
4화 Goldstealer 고전역학동학

6. 오프닝

6.1. 영어판

Netflix 버전
Ride on the magic school bus

Miss. Frizzle: Seat belts, everyone!
Arnold: Please, let this be a normal field trip.
Wanda[12]: With the Frizz?
Everyone: No way!
Arnold: Oh....
Cruisin' on down Main Street you're relaxed and feelin' good.
Next thing that you know you're seein'
Octopus in the neighborhood!

Surfin' on a sound wave swingin' through the stars,
Take a left at your intestine, take your second right past Mars!

On the magic school bus- Navigate a nostril.
Climb on the magic school bus- Spank a plankton, too. (Take that!)
On our magic school bus- Raft a river of lava.
On the magic school bus- Such a fine thing to do!

So strap your bones right to the seat, come on in and don't be shy(Come on)
Just to make your day complete, you might get baked into a pie!
On the magic school bus- Step inside it's a wilder ride! Come on!
Ride on the magic school bus!

6.2. 더빙판

넷플릭스판 오프닝[13][14]

프리즐 선생님: 모두 안전벨트!
아놀드: 오늘은 평범한 견학이 되게 해주세요. / 이번에는 평범한 체험 학습이길.
도로시 앤: 가능할까? / 프리즐 선생님인데?
학생들 전원: 그럴리가!
아놀드: 으어....
발걸음도 경쾌하게 거리를 걸어
갑자기 내눈앞에는 (뭐지?) 동내에 문어가 나타났다!

음파를 타고서, 별들 사이로 (신난다!)
대장에서 좌회전 후, 화성에서 우회전해!

신기한 스쿨버스- 콧속을 탐험해 (애취- / 조심해!)
스쿨버스를 타고- 플라크톤에게 한방 (받아라! / 이거야!)
신기한 (매직) 스쿨버스- 용암위를 둥둥둥
스쿨버스를 타고- 멋진 과학의 세계로!

한발짝 / 자, 버스에 올라 안전벨트를 조이고
이제 마지막으로 파이 속 탐험을 떠나!
스쿨버스를 타고- 다 함께 마법의 세계로!
가자! 신기한 (매직) 스쿨버스!

7. 기타

  • 넷플릭스판 오프닝은 린 마누엘 미란다가 불렀다. 린 마누엘 미란다는 시즌2 공중그네 편에서 매튜 매스 매슈로 게스트 출현한다.
  • 오리지널판과 달리 넷플릭스판은 오리지널 오프닝의 리메이크 격이라 오프닝에 나온 장소에 다 다녀오지 않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아이들을 가득 태우고 눈감고 풀악셀을 밟은 언니와달리 적어도 눈뜨고 풀악셀을 밟는다는 소소한 차이점도있다. 스페셜 에피소드의 경우 다시 다듬어서 만들었으며 엔딩때 틀어준다.
  • 오리지널판의 키즈 시리즈처럼 10개의 에피소드를 <신기한 스쿨버스 어드벤처> 시리즈(5권), <괴학탐험대> 시리즈(5권)로 출간했다. 그림을 다시 그린 키즈 시리즈와는 달리 표지를 제외하면 에피소드의 장면을 캡쳐해서 사용했다.
  • 넷플릭스판 스페셜 에피소드인 경우 오프닝을 크레딧과 함께 엔딩때 틀어주며, 영상이 아닌 움직이는 2D 일러스트를 사용했다.
  • DVD로 시즌별로 묶어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아마존 프라임에서 판매를 하고있으며 스페셜판(시즌 3)을 제외하면 에피소드별, 시즌별로 판매하고있다. 아마존에서 판매중인 에피소드들은 순서가 뒤섞여있다.

8. 관련문서



[1] 2016년 국내에 상륙한 넷플릭스에서 신기한 스쿨버스 1기를 제공해준다. 1화 우주편을 보면 명왕성의 관측도 언급하는 등 최근(2015년경)의 과학 실태도 반영했다.[2] 카를로스의 경우 남자 성우로 교체되어 변성기가온 느낌이다.[3] 리메이크격 에피소드중 하나인 오리지널 시즌1의 개미 에피소드는 2편의 시즌1의 아기돼지 삼형제 에피소드. 자세히 보면 비슷한면이 많다.[4] 이게 두드러졌던 오리지널 에피소드가 연어편인데, 연어로 변신한 버스가 아이들을 알로 낳고 수정을해 아이들이 세끼 물고기로 태어난다. 그런데 사람얼굴에 연어 몸통을 넣은데다가 그 얼굴도 코가 생략되고 눈이 툭튀어나온 형태라 사람에따라 꽤나 괴기하게 느껴질수있다.[5] 불필요한 사상을 강제로 주입한건 아니지만 성소수자가 아예 안나오는건 아니다. 키샤두명의 엄마를 두고있다는 설정으로 변경이 되었는데, 시즌1 2화에서 몇초가량 짤막하게 나오는데다 둘다 짧은머리라 눈치를 못챈 사람들이 많고 대놓고(?) 나오는 Goldstealer에피소드는 DVD전용이라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6] 실사 영화로 만들어진 윔피키드에서도 비슷한 반응이 나왔는데, 기존 1, 2, 3편을 연기한 배우들(대표적으로 재커리 고든과 로버트 캐프론)이 사춘기가 찾아오자, 5년 후인 2017년에 만들어진 The long Haul에서는 역할 전체를 다시 캐스팅 해야했다. 이 때문인지 예전의 감정이 살아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좋게 보진 않았다.[7] 신판을 경계하고 싫어하는 올드팬들을 의식해서인지 시즌1 1화가 변화를 싫어하는 아놀드가 새선생님인 피오나 프리즐 선생님을 경계하고 싫어하다 결국 그녀를 받아들이는 내용이다. 물론, 이것도 저격한거냐고 불쾌하다는 팬들도 있지만....[8] 여담으로 1화에서 아놀드가 오랜만에 학교에 찾아오면서 변한게 없다고 좋아하는 장면이 있는데, 오리지널팬과 원작을 아는 사람들은 괴리감을 느낄수있다.[9] 원작자의 그림체를 무시했다, 그냥 마음에 안든다(?), 키샤와 팀의 피부색이 더밝아졌으니 화이트워싱이다(...) 등 물론, 서구권은 피부색에 민감하다는거을 감안해야한다.[10] 대표적인 아놀드의 말버릇인 "I knew I should have stayed home today."를 "오늘은 그냥 집에 있어야 했어."와 "오늘 그냥 땡땡이나 칠걸!" 이라고 나눠 번역했다.[11] 석양의 무법자의 영어 제목인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의 패러디. 에피소드도 스파게티 웨스턴풍이다.[12] 오리지널판에서는 완다가 한다.[13] 자막판과 더빙판 번역이 조금 다르므로 슬래시로 구별 했습니다. 더빙판/자막판[14] 또한 자막판에는 없지만 더빙판에 추가된 가사는 괄호로 표기했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