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5 12:32:03

신기한 스쿨버스/게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9> 파일:신기한스쿨버스로고.png신기한 스쿨버스
관련 문서
}}}
{{{#f33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원작동화 [[신기한 스쿨버스 1: 물방울이 되어 정수장에 갇히다|
1: 물방울이 되어 정수장에 갇히다
]]
[[신기한 스쿨버스 2: 땅 밑 세계로 들어가다|
2: 땅 밑 세계로 들어가다
]]
[[신기한 스쿨버스 3: 아널드, 버스를 삼키다|
3: 아널드, 버스를 삼키다
]]
[[신기한 스쿨버스 4: 태양계에서 길을 잃다|
4: 태양계에서 길을 잃다
]]
[[신기한 스쿨버스 5: 바닷속으로 들어가다|
5: 바닷속으로 들어가다
]]
[[신기한 스쿨버스 6: 공룡 시대로 가다|
6: 공룡 시대로 가다
]] · [[신기한 스쿨버스 7: 허리케인에 휘말리다|
7: 허리케인에 휘말리다
]]
[[신기한 스쿨버스 8: 꿀벌이 되다|
8: 꿀벌이 되다
]] · [[신기한 스쿨버스 9: 전깃줄 속으로 들어가다|
9: 전깃줄 속으로 들어가다
]]
[[신기한 스쿨버스 10: 눈, 귀, 코, 혀, 피부 속을 탐험하다|
10: 눈, 귀, 코, 혀, 피부 속을 탐험하다
]]
[[신기한 스쿨버스 11: 아널드, 아인슈타인을 만나다|
11: 아널드, 아인슈타인을 만나다
]]
[[신기한 스쿨버스 12: 지구 온난화를 막아라!|
12: 지구 온난화를 막아라!
]]
[[신기한 스쿨버스 13: 진화의 비밀을 파헤치다|
13: 진화의 비밀을 파헤치다
]]
외전서적 프리즐 선생님의 신기한 역사 여행 · 키즈
테마 과학 동화 · 어드벤처
과학탐험대 · Phonic book · To the rescue
A Science Fact Finder Book
The magic School Bus Presents · 베이비
기타서적
애니메이션 신기한 스쿨버스(1994) · 신기한 스쿨 버스 2
The Magic School Bus: Mighty Explorers
게임 Explores · Activity Centers
기타 뮤지컬 · 등장인물
}}}}}}}}} ||


1. 개요2. 특징3. The Magic School Bus Explores 시리즈4. Activity Centers 시리즈5. 기타 게임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신기한 스쿨버스의 미디어믹스로 나온 교육용 게임 시리즈.

2. 특징

1994년에 시작되어 간간히 나오고있는 게임 시리즈로 최근에 나온 것은 <The Magic School Bus Explores the Ocean>의 2011년 리메이크 버전인 <The Magic School Bus: Oceans> 다. 학생수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판을 따라서 8명으로 고정되어 있다.

게임에 대한 피드백은 선생님들과 학부모들에게 받아 개발되었다. 버스와 배경의 그래픽은 3D로 되어있지만 캐릭터및 기타 요소들은 2D로 작업되어있다. 게임을 실행하면 캐릭터들을 소계하는 오프닝이 재생되는데 주제에 따라 오프닝이 달라진다. 공통점으로는 1994년판 애니메이션판의 오프닝 곡이 흘러나온다.

3. The Magic School Bus Explores 시리즈

오리지널 시리즈. 신기한 스쿨버스의 출판사인 스콜라스틱, 마이크로소프트 Home,[1] Music Pen[2]의 공동개발로 만들어졌으며 마지막은 1999년에 나온 <The Magic School Bus Explores the World of Animals>으로 총 8개의 시리즈로 끝이났다.

플레이어가 직접 스쿨버스를 운전하며 돌아다닌다는 컨셉이며, 머리, 눈, 코, 입, 귀, 피부색을 선택해 운전면허증의 사진을 꾸밀수도 있다.[3] 전체적인 틀자체는 주로 원작 클래식 시리즈를 따라가지만 내용은 게임이라는 것에 맞춰 소소하게 다르다. <The Magic School Bus Explores the Ocean>을 제외하면 게임은 항상 교실에서 시작되며 여러 구역을 돌아다니며 주로 특정 물건 3~4개를 찾아햐 엔딩(?)을 볼 수 있는 구조이다. 구역 방문 후, 버스에서 내리면 주변 환경을 학생들과 둘러볼수 있으며 학생들을 클릭하면 해당 구역 혹은 그 구역에 있는 생물들에 대한 사실을 알려준다.

각 게임마다 학생들의 리포트를 볼 수 있는데 해당 리포트를 클릭하면 리포트를 작성한 학생이 그 리포트를 읊어주는 방식이다. 리포트 안의 사진과 영상은 실사로 되어있으며 실사 사진이 없다시피한 설명은 그림 혹은 간단한 애니메이션으로 설명을 해준다. 주변에 깨알같은 농담요소도 섞여있으며 교실 혹은 해당 구역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클릭하면 반응을하는 소소한 요소도 섞여있다. 버스 안이나 해당 구역마다 실험실 같은 게 존재하는데 주로 주제와 관련된 실험을 할 수 있다.

각 지역마다 미니게임이 있으며 굳이 플레이 하지 않아도 되지만 엔딩 조건으로 미니게임을 클리어해야하는 것도 있다. 미니게임은 주로 그림을 맞추는 퍼즐이나 횡스크롤 형식의 게임들이 대부분이다. 그외 사진을 꾸미거나 그림을 그릴수 있으며 그림들은 프린팅을 할 수 있다.

리메이크들을 제외하면 전부 CD로 나왔는데 이때문인지 로딩시간이 생각보다 긴편에 속한다. 이런 지루한 로딩시간을 커버하기 위해서인지 지역 이동시 나오는 컷신들이 은근히 화려하고 재밌는편. 이 컷신들은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퀄리티가 상승한다. 제목이 전부 Explores~로 이루어져있는 게 특징이다.

4. Activity Centers 시리즈

위의 오리지널 시리즈 2개를 만든 KnowWonder Digital Mediaworks와 마이크로소프트가 공동개발로 만들어진 게임들. 이 때문인지 분위기와 그래픽 등이 Explores의 마지막 두 시리즈와 비슷하다.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 나왔으며 총 5개의 시리즈로 끝이났다.

Explores시리즈 와는 달리 한주제를 주로 다뤄서인지 버스를 운전한다는 컨셉은 없어졌으며 대신 해당 장소에 정착, 현장학습을 간다는 컨셉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전작 시리즈에 비하면 분량과 플레이 타임이 매우 짧아졌지만 내용은 좀더 상세해졌다.

시대가 지나서인지 애니메이션 프레임이 괴기해 보일정도로증가했다. 분량이 짧아진데다 장소도 고정된 탓인지 더이상 컷신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더이상 버스를 운전하지 않기에 기존에 있었던 운전면허 꾸미기는 크루원 증명서로 교체되었으며 꾸밀수 있는 가짓수가 줄어들었다. Explores시리즈와 달리 전부 영어자막을 제공한다. 분량이 짧아지고 돌아다닐 수 있는 곳도 버스 밖과 안 두곳 밖에 없어서 인지 학생들은 4명 밖에 등장하지 않는다.[4]

고정되어 있는 미니게임으로는 문제맞추기(퀴즈쇼)와 퍼즐맞추기가 있으며 <The Magic School Bus in Concert>를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 스티커 붙이기가 배경과 캐릭터만 다른 모습으로 똑같이 등장한다.

5. 기타 게임

  • Scholastic's The Magic School Bus: Space Exploration Game(1995)
    파일:신기한스쿨버스메가드라이브.jpg
    세가 메가드라이브로 나온 게임으로, <신기한 스쿨버스 4: 태양계에서 길을 잃다>와 같이 태양계가 주제다. 버스를 안전하게 착륙을 시키는 미니게임과 피비로 추측되는 학생을 조종해 프리즐 선생님을 찾는 횡스크롤 게임, 행성의 그림을 맞추는 퍼즐로 되어있다. 퍼즐은 재한시간내에 맞추는 방식인데, 시간이 꽤나 빡빡한 편.
  • The Magic School Bus(1995)
    세가 피코로 나온 게임. 저연령층을 노린 게임이라 플레이 자채는 단순하다. 선생님이 특정 힌트를 던지면 버스를 조종해 해당 요소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해당 요소를 찾아가면 미니 게임을 클리어해야하는 방식이다.[5] 해당 요소를 찾아가고 미니게임을 클리어하면 랄피가 사진을 찍고, 리포트가 나온다. 그림을 그릴수 있는 요소도 있다. 주제는 공룡, 태양계, 바다지하, 인체순으로 다뤄진다.

* The Magic School Bus: Oceans(2010)
파일:신기한스쿨버스오션스ds.jpg
Explores the Ocean의 리메이크격인 게임으로 닌텐도 DS버전과 스마트폰용으로 다시 만든 게임.
  • The Magic School Bus: Dinosaurs(2010)
    Explores in the Age of Dinosaurs의 리메이크격 게임. 이 게잉 도 스마트폰과 닌텐도 DS로 나왔었다.

6. 여담

  • 초기 한정으로 클래식 시리즈를 참고했는지 리즈가 말을 하면서 설명을 해준다. <The Magic School Bus Explores in the Age of Dinosaurs>편 이후로 나온 게임은 말을 하지 않는다.
  • 초반에 나온 일부 시리즈의 경우 캐릭터들의 눈에 초점이 없어서 묘하게 무섭다.
  • 아놀드의 머리색이 원작 클래식 시리즈와 외전처럼 금발로 묘사되었다. 키샤의 경우 스타킹을 신고있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도로시 앤 경우 가끔 스웨터가 회색으로 칠해져 있을때가 있다.
  • 첫 6개의 게임들을 제작한 Music Pen이 본래 음악교육용 프로그램을 만들던 회사라 그런지 BGM의 퀄리티가 좋은편에 속한다.
  • 프리즐 선생님을 제외한 캐릭터들의 성우들은 애니메이션판 아역들을 그대로 채용했다.
  • Explores 시리즈의 경우 게임 설명서여권이라 표기되어 나왔었다. 설명서를 펼치면 실제 여권처럼 이름이나 국적 등을 적거나 사진을 붙일 수 있게 꾸며두었다.
  • 게임 시리즈 전부 한국에선 정발되지 않았다.
  • 판매 자체는 오래전에 중단되었다. 실물 플레이를 하려면 중고로 구매하거나 다운로드를 받아서 할 수밖에 없다.

7. 관련 문서



[1] 예전에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정용 게임을 만들기 위해 만들었던 부서. 신기한 스쿨버스 게임 시리즈 외에도 외전격 서적들을 만드는데도 가담을 했었다.[2] 본래 음악 교육을 위해 콘서트 피아니스트인 우(Wu)와 작곡가 필립 루이(Philip Lui)가 설립한 소규모 회사였다. 본격적인 게임 개발을 위해 계약하면서 직원이 5명에서 40명으로 늘어났다.[3] 괴팍한 컨셉이 많아서 그렇게 이쁘진 않지만 정성을 쏟으면(?) 그럴듯한 캐릭터가 만들어지긴 한다.[4] 예외적으로 아놀드는 주인공격 학생이라 그런지 모든 오프닝에 등장한다.[5] 반대로 먼저 클리어하는 방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