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2:53:55

Pillar Chase 2/괴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illar Chase 2
파일:필체_로고.png
괴물 {{{+5 {{{#ffffff ·}}}}}}



파일:필체_로고.png
괴물들
<col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플레이 가능한 괴물들
파일:바이퍼_프로필.png 파일:로즈마리_프로필.png 파일:아오_오니_프로필.png 파일:포그본_프로필.png 파일:EXE_프로필.png
바이퍼 로즈마리 아오오니 포그본 EXE
파일:발디_프로필.png 파일:엉샘_프로필.png 파일:스프링트랩_프로필.png 파일:MX_프로필.png 파일:포킹_프로필.png
발디 샘소나이트 삼촌 스프링트랩 MX 숲의 왕
파일:wyst_프로필.png 파일:닐로_프로필.png 파일:미믹_프로필.png 파일:후왓티_프로필.png 파일:잉크펠_프로필.png
WYST 닐로티쿠스 비타 미믹 후왓티 잉크펠
파일:PCX_프로필.webp 파일:제프_프로필.webp 파일:발렘_프로필_2.webp 파일:좀비_프로필_PC2.webp 파일:물음표(틀).webp
PCX 제프리 우드 발렘 좀비 미출시
미출시 괴물들
개발자 독점 괴물
개발 중단된 괴물
기타 괴물
}}}}}}}}} ||

1. 개요2. 플레이 가능한 괴물3. 출시 예정
3.1. 스트릭켄3.2. 슬렌더맨3.3. 사냥개3.4. 고어필드3.5. A013.6. 엄마3.7. 섀도우본3.8. 시계지기3.9. 슈트메이션3.10. 팬토베나토르3.11. 아르텔루르3.12. 윗치3.13. 크라슈3.14. 스마일 도그3.15. 그런트3.16. 양3.17. 친구 퍼시3.18. 트리키
4. 개발자 독점 괴물
4.1. SINWRATH4.2. 그림베어4.3. Asset-423b4.4. 루나 & 써니4.5. 스크리블4.6. 칸센
5. 개발 중단된 괴물6. 기타7. 여담

[clearfix]

1. 개요

Pillar Chase 2에 등장하는 괴물들을 서술하는 문서.

최근에 유명해진 캐릭터들이 추가되고, 저작권으로 인해서 추가하지 못하는 괴물은 그 괴물을 바탕으로한 새로운 괴물을 만들어 추가한다.

체험 개발자 중에 FNF 모드 관련 개발자가 있어서 그런 지 FNF 모드들의 등장인물을 괴물로 잦게 추가한다.

2. 플레이 가능한 괴물

총 15종이 넘는 플레이 가능한 괴물이 있으며, 앞으로 추가될 괴물들도 따져 보았을 때는 무려 30종이 넘는다.

모든 괴물은 각자만의 독특하고도 개성 넘치는 능력과 플레이 방식을 가진다.

2.1. 바이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이퍼(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로즈마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즈마리(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아오오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오오니(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포그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그본(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EX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XE(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발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발디(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샘소나이트 삼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샘소나이트 삼촌(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8. 스프링트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트랩(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MX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X(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숲의 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숲의 왕(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WY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YST(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닐로티쿠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닐로티쿠스(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비타 미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타 미믹(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후왓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왓티(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잉크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잉크펠(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6. PCX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CX(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7. 제프리 우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프리 우드(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8. 발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발렘(Pillar Chase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9. 좀비

<colcolor=#ffffff> 좀비
Zombie
파일:좀비_풀렌더.png
<colbgcolor=#20651a> 가격 없음[1]
능력 없음
속도 15
스태미나 없음[2]
피해량 18
넌 근절되었다.
처치한 생존자에게.
생존자가 '이상한 가면'을 착용하여 괴물이 된 모습이다. 외형은 마스크를 쓴 것을 제외하면 생존자의 아바타와 똑같다.

좌클릭으로 팔을 휘둘러 범위 내의 생존자에게 18 피해를 입힌다.

다른 괴물과 다르게 능력이 없다. 다만 좀비의 특성상 능력이 있어버리면 밸런스 문제를 야기할 것이 뻔하기에 메인 괴물이라고 보기보단 서포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괴물이다. 그 때문인지 마릿수 제한이 없다.[3]

의외로 레벨이 있다. 다만 좀비의 플레이 방식 때문인지 경험치 요구량은 낮은 편이다. 랭크에 따라 안광과 시야의 색깔이 달라진다.[4]

3. 출시 예정

출시 예정인 괴물들을 서술한다.

3.1. 스트릭켄

<colcolor=#ffffff> 스트릭켄
Stricken
파일:슬토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슬토_풀렌더.webp
<colbgcolor=#5c0bc0> 가격 불명
능력 토비 커스타드 & 변신[일반], 지면 강타 & 암석 던지기[탱크]
추격 테마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Slendytubbies 시리즈의 보라돌이. 원작 그대로의 설정과 외형을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7]

3.2. 슬렌더맨

<colcolor=#ffffff> 슬렌더맨
Slanderman
파일:슬렌더맨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슬렌더맨_풀렌더.webp
<colbgcolor=#000000>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3. 사냥개

<colcolor=#ffffff> 사냥개
The Dog
파일:사냥개_프로필_PC2.webp
전체 모습▼
파일:사냥개_풀렌더_PC2.webp
<colbgcolor=#553f25>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공포 게임 덕 시즌에서의 사냥개에서 영감을 받은 괴물. 본래는 원작에서의 모습 그대로 계획되었으나 허가를 받지 않아 살짝 다른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그전에는 제프리 우드의 스킨으로 기획되었으나 투표를 통해 독자적인 새로운 괴물로 계획되었다.

외형은 의 탈을 쓴 사람[8]의 모습이다. 검은 코, 복부의 하얀 부분, 하얀 장갑 등 정말 평범하고 전반적인 인형 탈이다. 다만 눈이 있어야 할 자리는 비워져 있으며, 이따끔씩 붉은 안광을 내뿜는다. 또한 무려 식칼, 그리고 재퍼샷건을 무기로 소지하고 있다.[9]

능력 부분에서는 무기를 바꿔가며 다양한 방식으로 생존자를 처치해가는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괴물중 유일하게 총기를 사용하는 것이 이펙트가 큰 지 벌써부터 훌륭한 대화수단을 지닌 최강 괴물로 표현된다.[10]

3.4. 고어필드

<colcolor=#ffffff> 고어필드
Gorefield
파일:고어필드_프로필.webp
모든 형태의 전체 모습▼
파일:고어필드_모든폼_풀렌더.webp
<colbgcolor=#3db803>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가필드를 기반으로 Lumpy Touch가 만들어낸 시리즈중 하나인 영상의 등장인물이다.

3.5. A01

<colcolor=#ffffff> A01
파일:A01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A01_풀렌더.webp
<colbgcolor=#000000>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추격 테마[11][폐기됨]
성우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6. 엄마

<colcolor=#ffffff> 엄마
Mother
파일:마더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마더_풀렌더.webp
<colbgcolor=#e178fc>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성우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외형은 인디 공포 게임 테들테일의 마마 태틀테일로 부터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3.7. 섀도우본

<colcolor=#ffffff> 섀도우본
Shadowborne
파일:섀도우본_프로필_최종.png
전체 모습▼
파일:섀도우본_풀렌더_최종.png
<colbgcolor=#636202>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성우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넌 운을 다 써버렸군.
공개 트레일러에서.
외형와 트레일러를 보면 Hello Neighbor의 피터슨의 초기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3.8. 시계지기

<colcolor=#ffffff> 시계지기
The Clockwork Keeper
파일:시계지기_임시_프로필.webp
<colbgcolor=#909946>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9. 슈트메이션

<colcolor=#ffffff> 슈트메이션
Suitmations
파일:슈트메이션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슈트메이션_풀렌더.webp
<colbgcolor=#7f7c7a>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이 화면은 이제 날 잡아둘 수 없다.
공개 트레일러에서.
고지라 아날로그 호러 시리즈인 'Suitmation Trials'의 고지라의 외형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외형은 뒤틀린 고지라의 형상이다. 입이 목까지 찢어지고 눈이 곳곳에 달려있는 등 기괴한 모습이다. 등지느러미도 일반 고지라에 비해 높고 뾰족하며, 꼬리도 길다.

능력 부분에선 고지라와 비슷한 방사열선 능력을 가질 예정이다.

그림베어를 제외하면 체험 내에서 최장신이다. 어찌나 크면 애초에 천장이 있는 맵에서는 플레이가 불가하도록 기획되었을 정도이다.

3.10. 팬토베나토르

<colcolor=#ffffff> 팬토베나토르
Phantovenator
파일:펜토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펜토_풀렌더.webp
<colbgcolor=#720593>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11. 아르텔루르

<colcolor=#ffffff> 아르텔루르
Artelurr
파일:아르텔루르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아르텔루르_풀렌더.webp
<colbgcolor=#797976> 가격 불명
능력 차가운 유혹 & 오싹한 숨결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현재 인게임에서는 로비에 본 괴물의 상반신을 본딴 목제 조각상이 벽에 걸려져 있다.

3.12. 윗치

<colcolor=#ffffff> 윗치
The Witch
<colbgcolor=#905745>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13. 크라슈

<colcolor=#ffffff> 크라슈
Krasue
<colbgcolor=#c2b8b7>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14. 스마일 도그

<colcolor=#ffffff> 스마일 도그
Smile Dog
<colbgcolor=#440303>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15. 그런트

<colcolor=#ffffff> 하인 그런트
Servant Grunt
<colbgcolor=#8e7e4c>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16.

<colcolor=#ffffff>
The Lamb
<colbgcolor=#cfcfc8>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3.17. 친구 퍼시

<colcolor=#ffffff> 친구 퍼시
Pal Percy
<colbgcolor=#9fbf8b>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성우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프레디피자 가게 팬게임중 하나인 'Play Time With Percy'의 마스코트 캐릭터다.

3.18. 트리키

<colcolor=#ffffff> 트리키
Tricky The Clown
<colbgcolor=#027f00> 가격 불명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위험! 광대의 등장.
공식 티저에서.

4. 개발자 독점 괴물

개발자만 플레이 가능한 독점 괴물들을 서술한다. 아직 아무 괴물도 출시되지 않았다.

4.1. SINWRATH

<colcolor=#ffffff> SINWRATH
<colbgcolor=#3d3d3d> 소유 개발자 Copper__0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4.2. 그림베어

<colcolor=#ffffff> 그림베어
Grimbear
파일:그림베어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그림베어_풀렌더.webp
<colbgcolor=#704700> 소유 개발자 Marvin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4.3. Asset-423b

<colcolor=#ffffff> Asset-423b
파일:Asset-423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Asset-423_풀렌더.webp
<colbgcolor=#758400> 소유 개발자 Tronus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4.4. 루나 & 써니

<colcolor=#ffffff> 루나 & 써니
Loona & Sunny
파일:루&썬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루&썬_풀렌더..webp
<colbgcolor=#a9b044> 소유 개발자 Dreamuur/Eggstermintor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4.5. 스크리블

<colcolor=#ffffff> 스크리블
Scribble
파일:스크리블_프로필.webp
전체 모습▼
파일:스크리블_풀렌더.webp
<colbgcolor=#7f7f7f> 소유 개발자 Combive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4.6. 칸센

<colcolor=#ffffff> 칸센
Kansen
<colbgcolor=#bababa> 소유 개발자 Razmania/Toketsu
능력 불명
속도 불명
스태미나 불명
피해량 불명

5. 개발 중단된 괴물

모종의 이유로 개발이 중단된 괴물들을 서술한다.

5.1. 사이렌 헤드

제작자인 트레버 헨더슨의 요청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13]

5.2. 마이클 데이비스

개발 중은 아니였으나, 본격적인 개발을 위해 FAITH 시리즈의 개발자에게 요청을 했으나 기각되어 개발이 취소되었다.

5.3. 타락한 늑대

Bendy 시리즈브루트 보리스의 디자인을 보고 착안한 괴물.

본래 MX의 스킨으로 제작될 예정이였으나, Bendy 시리즈의 괴물 추가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아 비밀리에 모델과 능력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개발되였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개발이 취소되었다.

6. 기타

출시 유무가 불확실하거나, 플레이가 불가한 괴물들을 서술한다.

6.1. 울트라 M

이제 내가 이 영역의 신이다. 와봐라, 그만한 용기가 있다면.
울트라 M 업데이트 1차 트레일러에서.
추후에 출시될 맵인 3-DOOMSWAY에서의 환경 요소로 추가될 예정이다.[14]

6.2. 호스트 오브 인플루언스

6.3. Sin

6.4. 외눈사슴

6.5. 괴물/레몬 악마

6.6. HER

7. 여담

  • 오리지날 괴물을 제외한 라이선스를 가진 몇몇 괴물들의 처치 모션은 타 게임이나 미디어에서 따오는 경우가 있다.
  • 후에 생존자끼리 서로 싸우게 하는 능력을 지닌 괴물도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 괴물의 목소리를 위한 성우를 오디션으로 선출하는 경우가 있다. 예로는 PCX와 제프리 우드가 있다.[17]
  • 아무 괴물이나 마구잡이로 추가되지 않는다. 괴물들의 공격 방식이나 외형이 로블록스 내에서 구현이 어렵거나, 괴물의 설정이 체험과 테마의 맞지 않거나, 설정이 질이 나쁜 경우 바로 기각된다.

[1] 다만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피닉스핀치의 상점에서 이상한 가면을 구매한 뒤에 착용해야 한다. 즉, 라운드당 350 코인이라고도 볼 수 있다.[2] 뛸 수 없다.[3] 가끔씩 서버의 인원 절반이 좀비인 일종의 몰래카메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4] 다만 라운드 당 350 코인을 지불해야하기에 다이아몬드 랭크를 달성하려면 계산상 1만 5천 코인 이상의 코인을 소비해야한다. 그러므로 여러 유저들의 마지막 목표로 주목받는다.[일반] [탱크] [7] 다만, 저작권때문인지 이름만 개명된것으로 보인다.[8] 정확히 사람인지는 불명이다.[9] 다만 덕 헌트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았을 때 진짜 레이저나 탄환이 나가는지는 불명이다.[10] 다만 설정상으로는 사냥개의 강함은 고어필드와 샘소나이트 정도까지에 미치지 못한다. 개발자 왈 딱 제프리 우드 정도라고.[11] 공식 명칭은 "복수".[폐기됨] [13] 애초에 트레버 헨더슨은 자신의 창작물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것에 대해 반대하니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이다.[14] 여담이지만 원작 Mario's Madness에 나온 모습과 다르게 검정색 모자와 멜빵바지, 회색 셔츠를 입은 모습으로 나오는데 아무래도 닌텐도의 저작권 때문인지라 팔레트를 바꾼것으로 보인다.[15] 다만 한 가지 예외가 있는데, 바이퍼와 로즈마리와 같은 마인크래프트 모드에서 등장하는 발렘이다.[16] 단, 울트라 M은 플레이어블이 아닌 3-DOOMSWAY에서 환경 요소로 등장한다.[17] 다만 PCX는 일반 톤과 낮은 톤의 목소리를 담당하는 2명의 성우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