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1 23:42:55

MBN 더 나은 내일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선거방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지상파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내 삶을 바꾸는 선택 선택 국민의 선택 공감 }}}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우리의 선택 더 나은 내일 나의 선택 결정
<rowcolor=#fff> 보도전문채널
파일:YTN 로고.svg파일:YTN 로고 화이트.svg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우리의 선택 선택, 우리의 내일
메인 뉴스 · 아침 종합 뉴스 · 선거방송 }}}}}}}}}

파일:MBN뉴스 신 파일.jpg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파일:MBN NEWS 7 (2025) 로고.png 파일:MBN 뉴스센터 (2025) 로고.png 파일:재난대비센터.png
평일 19:00 주말 19:30 수, 금요일 05:40
일요일 05:20
파일:굿모닝 MBN 2025년 4월 1일.png 파일:아침 & 매일경제 로고.png 파일:전국 네트워크 뉴스 로고.png
평일 07:00 평일 08:00 평일 09:20
파일:프레스룸 LIVE 로고.png 파일:스포츠 라이브 로고.png 파일:MBN 뉴스와이드 로고.png
평일 10:30 금요일 11:20 평일 16:00
파일:뉴스파이터 로고.png 파일:MBN 뉴스와이드 주말 로고.png 파일:시사스페셜 로고.png
평일 17:50 토요일 15:30 일요일 15:30
파일:더 나은 내일 로고.png
법정선거일
보도국 제작 시사 토크 프로그램은 MBN 토요포커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colbgcolor=#ed6d01><colcolor=#fff> 파일:MBN 2025 더 나은 내일.png
방송사 MBN
기획 / 제작 MBN 보도국
방송 시간 법정선거일 06:00 ~ 익일 06:0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변천사
2.1. 종편 개국 이전2.2. 종편 개국 이후
3. 여담

1. 개요

MBN선거방송 프로그램.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 시간이 역시 마찬가지로 김주하 특임이사의 친정인 MBC와 같이 오후 17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까지이며, 메인뉴스인 MBN 뉴스 7이 저녁 19시에 시작을 해서 밤 21시까지 방송하고, 이어서 개표방송이 새벽까지 계속 방송된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부터 2018년 제7회 지방선거까지 '하나되는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였다.

2. 변천사

2.1. 종편 개국 이전

2.2. 종편 개국 이후

3. 여담

  • 본 투표 이외에도 매년 사전투표율을 고지하는 방송 중 하나, 나머지는 연합뉴스TV 선택, TV CHOSUN 결정
    {{{#!folding [상세정보 보기]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MBN에서 선정한 15개 관심 선거구 대상으로 투표자 조사를 진행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1][2] 15곳 선거구 모두 각 150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ARS로 진행했다.
    • 서울 종로구 : 이낙연(민주) 54.8 : 42.8 황교안(통합)
    • 서울 광진구을 : 고민정(민주) 53.2 : 45.3 오세훈(통합)
    • 서울 구로구을 : 윤건영(민주) 56.7 : 38.4 김용태(통합)
    • 서울 동작구을 : 이수진(민주) 52.4 : 45.9 나경원(통합)
    • 서울 강남구갑 : 김성곤(민주) 40.3 : 57.5 태구민(통합)
    • 부산 부산진구갑 : 김영춘(민주) 45.3 : 48.9 서병수(통합) - 경합
    • 부산 남구을 : 박재호(민주) 50.2 : 48.6 이언주(통합) - 경합
    • 대구 수성구갑 : 김부겸(민주) 43.2 : 54.5 주호영(통합)
    • 인천 연수구을 : 정일영(민주) 47.8 : 40.1 민경욱(통합)
    • 세종 세종시을 : 강준현(민주) 57.4 : 40.3 김병준(통합)
    • 경기 안산시단원구을 : 김남국(민주) 54.6 : 43.8 박순자(통합)
    • 충북 청주시흥덕구 : 도종환(민주) 52.7 : 46.1 정우택(통합)
    • 충남 공주시부여군청양군 : 박수현(민주) 47.4 : 48.4 정진석(통합) - 경합
    • 전남 목포시 : 김원이(민주) 48.4 : 40.3 박지원(민생)
    • 경남 양산시을 : 김두관(민주) 48.3 : 49.1 나동연(통합) - 경합}}}

[1] 15곳 중 14곳의 결과를 적중했다.[2] 오차범위는 ±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