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000,#fff> | 이터널 리턴 S티어 대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 |
내셔널 리그 | 슈퍼컵 | ||
시즌 1 시즌 2 시즌 3 시즌 4 시즌 5 시즌 6 | 파일럿 시즌 | WDSC 시즌 6 | |
폐지된 대회 |
| ||
<colbgcolor=#fcfbfc><colcolor=#05061a> 이터널 리턴 내셔널 리그 Eternal Return National League | ||
정식 명칭 | Eternal Return National League (2024~) | |
출범 연도 | 2024년 ([age(2024-01-01)]주년) | |
지역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운영 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e스포츠협회 | |
컬러 | ■ ■ ■ ■ | |
약칭 | ERNL | |
스폰서 | Lenovo Legion, AMD, 대전광역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카카오게임즈, WD Black, 디저트39 | |
중계 | | |
최근 우승팀 | Gyeonggi Innate (파일럿 시즌) | |
최다 우승팀 | Gyeonggi Innate (1회) | |
최다 우승자 | DaSoo, ZeroJin, ing9, JINho (1회) | |
|
[clearfix]
1. 개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e스포츠협회가 주관하는 대한민국의 이터널 리턴 프로리그.지역과 연계한 지역 연고제를 도입했다. 파일럿 시즌에는 홈 경기가 따로 없는 껍데기같은 내셔널이었으나 2025년 시즌부터 오프라인으로 경기를 진행하는 슈퍼위크를 도입하여 각 지역과 연계도 높아지게 되었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cfbfc> | ERN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05061a;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Gyeonggi Innate | FN SEJONG | Seongnam ROX | BNK FEARX | |
| | | | |
DAEJEON CYBERS | GJ Slasher | All ways Incheon | DH.CNJ | }}}}}}}}}''' |
2.1. 참가팀 로스터
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fbfc><tablebgcolor=#fcfbfc> | Eternal Return National League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ternal Return National League | |||
2024 파일럿 시즌 |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
| ||||
<rowcolor=#05061a>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파일럿 시즌 | <colbgcolor=gold,#7f6b00> Gyeonggi Innate | <colbgcolor=silver,#606060> MIRAEN SEJONG | <colbgcolor=#bd9424,#400004> Seongnam ROX | <colbgcolor=#f0e68c,#807005> BNK FearX |
2025 시즌 |
3.3. 역대 우승자
3.4. 역대 결선 MVP
3.5. 역대 결선
역대 결선 개최 경기장 | |
시즌 | 경기장 |
파일럿 시즌 | 대전이스포츠경기장 |
3.6. 역대 관계자
3.6.1. 역대 중계진
3.6.1.1. 자국
4. 특징
4.1. 장점
4.2. 단점
5. 역사
5.1. 내셔널 리그 (2024)
내셔널 리그의 경기는 총 8주간의 정규 시즌과 하루의 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팀은 정규 시즌 동안 각 주마다 2일 동안 12라운드의 경기를 펼치게 되며, 12라운드의 합계 점수에 따라 주차별 순위가 정해지게 된다. 각 팀은 주차별 순위에 따라 내셔널 리그 포인트를 받게되며 8주간의 내셔널 리그 포인트 합계로 정규 시즌의 순위를 정하게 된다.
정규 시즌의 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선에서 추가 포인트가 주어지게 되며, 결선에서 최종적으로 우승팀이 정해지게 된다.
이터널 리턴 내셔널 리그는 기존에 진행되던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와 동시에 진행되는 새로운 대회이다. 내셔널 리그는 지역 연고 이스포츠 대회로 각 지자체 혹은 지역연고팀들은 각자가 하나의 참가 주체로써 대회에 참여하게 된다.
내셔널 리그의 2024 시즌은 공식적으로는 파일럿 시즌으로 운영되며 2025년부터 정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각 시즌은 8주간 각주 12라운드로 진행되며 파일럿 시즌에서는 시즌4에서 시즌5로 넘어가는 기간에 휴식기를 갖는다.
2024년 지역연고를 기반으로 하는 이터널 리턴 내셔널 리그가 파일럿 시즌의 형태로 출범하였다.
1주차 Day 1 경기를 마치고 선수들과 각종 유저들로부터 룰에 대한 많은 피드백이 들어왔다. 매 시즌 경기마다 다른 팀들이 올라오는 마스터즈와는 다르게 8팀만이 계속 경기를 치르는 내셔널 리그에서 기존의 밴 시스템 만으로는 조합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자칫하면 리그 모든 경기가 루즈해 질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이에 님블뉴런이 바로 다음 주인 2주차부터 새로운 2-PICK-CAP 밴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하였다.[1]
5.2. 이스포츠 지역리그(가칭) (2025~)
내셔널 리그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e스포츠협회가 주관하는 ‘이스포츠 지역리그(가칭)’로 바뀌게 되었다.파일럿 시즌의 오프라인 경기를 조금 더 확대하여 ‘슈퍼위크’를 도입한다.
10주의 정규 시즌 중 총 3주를 현재 오프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첫 주는 경기도 킨텍스에서 플레이엑스포와 함께, 두 번째 주는 이터널 리턴 2주년 행사와 같이 인천의 상상플랫폼에서, 세 번째 주는 경남의 경남e스포츠상설경기장에서 진행된다.
결선은 마스터즈와 대전에서 진행된다.
1지역 1팀 제한이 생겨 대전 연고 두 팀중 한 팀이 연고지를 이전하게 되었다.
6. 방송 플랫폼/다시 보기
- 이터널 리턴 공식 유튜브
사실상 게임 채널과 대회 채널을 병행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7. BGM
8. 여담
- 님블뉴런 이터널 리턴 e스포츠 팀장의 내셔널 리그 관련 인터뷰 기사. #
- 2024년 8월 31일 ~ 9월 1일에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 이스포츠 챌린지 아마추어 대회(2024 인천 게임 페스티벌 SUMMER)의 일환으로 이터널리턴 내셔널리그 1~2일차를 진행했다(전반기 마지막 주차).
9. 관련 리그 및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000,#fff> | 이터널 리턴 S티어 대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 |
내셔널 리그 | 슈퍼컵 | ||
시즌 1 시즌 2 시즌 3 시즌 4 시즌 5 시즌 6 | 파일럿 시즌 | WDSC 시즌 6 | |
폐지된 대회 |
10. 관련 문서
[1] 하루에 한팀에서 한 실험체를 2라운드만 사용할 수 있는 룰이다. 이로써 한팀에서 최소 3종류의 조합을 기용 해야되어 조합의 다양성을 챙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