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9:02:40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14b89><tablebgcolor=#414b89>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Eternal Return Masters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515684, #7c88d1, #51568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정식 출시 이전
1회 2회 3회 4회 5회
시즌 1 시즌 2 시즌 3 시즌 4 시즌 5
6회
시즌 6
}}}}}}}}}}}} ||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7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우승 팀[SF]
Cartel 파일:로고.svg
미정
미정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결승 MVP[SF]
박준상
(CTL NCMB)
미정
(미정)
미정
(미정)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png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colbgcolor=#414b89><colcolor=white> 대회 기간 2025년 1월 3일 ~ 3월 22일
주최 님블뉴런
주관
참가팀 32팀
패치 버전 -.-
스폰서
경기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경기장
마스터즈
온라인
시즌 파이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대전 드림 아레나
}}}}}}}}}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페이즈
페이즈 1
1월 10일 ~ 1월 19일
페이즈 2
2월 17일 ~ 3월 2일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
LCQ
3월 9일
시즌
파이널
3월 21일
3월 22일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14b89><colcolor=white> 우승
준우승
결승 MVP
}}}}}}}}} ||
1. 개요2. 시드 팀3. 진행 방식
3.1. 페이즈3.2. 시즌 파이널
4. 일정5. 대회 진행6. 스폰서7. 개최 전 정보8. 여담

[clearfix]

1. 개요

2025년 1월 3일부터 3월 22일까지 개최되는 제6회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2. 시드 팀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시드 팀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png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png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 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로고.png 파일:BNK FearX 2025.png
Cartel TAP3[3] Gyeongnam
Sparkle Esports
BNK FEARX
파일:FN esports.png 파일:대전사이버즈 로고(2).png 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no text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no text white.png 파일:Autoarms 로고 no text.png파일:Autoarms 로고 no text 화이트.png
FN SEJONG[4] DAEJEON CYBERS Innate Autoarms

3. 진행 방식

시즌 6에 들어서며 진행방식이 변경되었다. 모든 경기가 6 ROUND에서 4 ROUND로 축소되었다. 총 본선(PHASE) 경기가 2번 치뤄지며 모든 경기가 끝난 후 순위에 따라 포인트가 지급되며 포인트에 따라 결선 진출 방식이 결정된다.

라운드 점수는 킬 당 1점[5], 순위 점수 1등부터 8등까지 각각 8, 5, 4, 3, 2, 1, 0, 0점이며 플레이어 이외의 사망[6] 당 -1점[7]이다.

3.1. 페이즈

  • 예선
    그룹 A ~ F까지 총 6개의 그룹의 경기가 진행된다. 4라운드까지 경기를 진행하여 1 ~ 4위까지 본선(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파트너 스트리머 중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그룹 스테이지
    그룹 A ~ D까지 총 4개의 그룹의 경기가 진행된다. 그룹마다 2팀은 시드팀, 6팀은 예선에서 본선으로 진출한 팀으로 구성되어있다. 해당 스테이지에선 탈락하지 않으며, 7, 8위를 기록한 팀은 녹아웃 스테이지 1, 6위팀은 녹아웃 스테이지 2경기, 5위팀은 녹아웃 스테이지 3경기 ... 1위팀은 파이널로 직행한다. 본선 배치고사 느낌으로 이해하면 되지만 7, 8위를 기록하게 되면 앞으로 우승하기 위해선 28경기 이상을 치뤄야 하는 혹독한 앞날이 기다리게 된다.
  • 녹아웃 스테이지
    그룹 스테이지의 7,8위 경기부터 시작되며 해당 경기의 상위 4팀은 녹아웃 스테이지 2에 진출하며, 하위 4팀은 탈락한다. 또 다시 진출한 4팀과 6위 4팀과 경쟁을 치루며 상위 4팀은 5위팀과 경쟁으로 진출, 하위 4팀은 탈락한다. 이런 식으로 도장깨기 방식으로 진행되며 파이널을 기다리고 있는 1위팀과 경쟁에 닿을때까지 진행된다.
  • 파이널
    그룹 스테이지 1위팀과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살아남은 4팀과 경쟁하여 각 순위에 따른 서킷 포인트를 획득한다. 파이널은 그룹, 녹아웃 스테이지와 달리 체크포인트 룰로 진행되며 55점 달성후 다음 라운드에서 1위하는 팀이 점수 상관 없이 그 즉시 스코어보드 1위를 달성하여 경기가 종료된다. 해당 경기는 1위 조건을 만족한 팀이 나올 때까지 경기가 지속되므로 4라운드 만에 끝날 수도, 끝나지 않을 수도 있다.[8]

3.2. 시즌 파이널

시즌 파이널은 큰 변경점 없이 지난 시즌들과 같이 LCQ(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 - 준결승 - 결승으로 치뤄진다.

4. 일정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14b89> 파일:ER_Masters_logo_season4 화이트.png }}}
페이즈
(1/3~3/2)
그룹
A · B · C · D
녹아웃
1 · 2 · 3 · 4 · 5 · 6
파이널
그룹
A · B · C · D
녹아웃
1 · 2 · 3 · 4 · 5 · 6
파이널
라스트 찬스
퀄리파이어
LCQ (3/9)
준결승 (3/21)
결승 (3/22)
결산

5. 대회 진행

5.1. 페이즈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페이즈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시즌 파이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시즌 파이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스폰서

7. 개최 전 정보

  • 마스터즈의 포맷이 대거 개편되며 기존 그룹 - 와일드카드 - 파이널의 방식이 아닌 Western Digital SUPER CUP에서 채택했던 그룹 - 녹아웃의 포맷을 채택했다.
  • 시즌 5 시즌 파이널 2위를 기록했던 애셔가 해체되며 기존의 시드가 락스에게 넘어가나 싶었지만 TAP3라는 이름으로 재창단하며 시드는 그대로 유지가 되었다.

8. 여담

  • 2월 3일 ULTIMATE의 gwork 선수가 랭크 게임 중 비정상적인 플레이로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 #


[SF] 시즌 파이널[SF] 시즌 파이널[3] 前 Asher[4] 前 MIRAEN SEJONG[5] 전장이 사라졌기 때문에 TK, FK의 구분이 의미가 없어졌다.[6] 폭발 타이머 초과로 인한 금지 구역 사망, 야생 동물 에게 사망 등[7] 상대를 공격하거나 공격 받은 상태에서 금구사 등 할 경우 킬로 인정된다. 그래서 감점 당하지 않기 위해 이런 장면도 나왔다. 두 팀이 남았을 때는 상대편에게 킬 점수로 들어가기에 제외.[8] 극단적으로 3라운드만에 경기가 종료될수도 있다.[9] 예선은 12월 30일 정상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