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7:13:24

4차원 정다포체

차원
Dimension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fefef,#2d2f34> 구분 0차원 1차원 2차원 3차원 [math(\boldsymbol{n})]차원
위상 입체 초입체
측도 셈 측도 길이 넓이 부피 초부피
활용
유클리드 공간 · 측도론(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 민코프스키 시공간 · 차원 조절 }}}}}}}}}

4차원 볼록 정다포체
4-Dimensional Regular Polychoron
정오포체 정팔포체 정십육포체 정이십사포체 정백이십포체 정육백포체

1. 개요2. 종류
2.1. 볼록 정다포체2.2. 오목 정다포체2.3. 오일러 지표
3. 측정4. 여담5. 연관항목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cell.gif파일:external/5a47996fd0e4f8e9aef4318700b3910b89aea3a95e831aaae244b7a2f4c240ee.gi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cell.gif
↑ 정오포체↑ 정팔포체↑ 정십육포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cell.gi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cell.gi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cell.gif
↑ 정이십사포체↑ 정백이십포체[A]↑ 정육백포체[A]
W축으로 회전하는 4차원 정다포체들을 3차원에 투영시킨 모습
四次元 正多胞體/4-Dimensional Regular Polychoron (또는 regular polychoron, regular 4-polytope)

기하학에 등장하는 4차원 도형의 일종.

4차원 다포체 중에서 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면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선분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가 같은 다포체를 말한다.

2. 종류

여섯 개의 볼록 정다포체와 열 개의 오목 정다포체가 존재한다.

2.1. 볼록 정다포체

  • 정오포체: 5개의 정사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는 3개이다. 슐레플리 기호로는 {3,3,3}으로 나타내어진다.
  • 정팔포체: 8개의 정육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는 3개. 슐레플리 기호로는 {4,3,3}으로 나타내어진다.
  • 정십육포체: 16개의 정팔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는 4개. 슐레플리 기호로는 {3,3,4}로 나타내어진다.
  • 정이십사포체: 정이십사포체는 4차원 정다포체에만 있는 유일한 도형이다.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는 3개. 슐레플리 기호로는 {3,4,3}으로 나타내어진다.
  • 정백이십포체: 120개의 정십이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는 3개. 슐레플리 기호로는 {5,3,3}으로 나타내어진다.
  • 정육백포체: 600개의 정이십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한 모서리에서 만나는 입체의 개수는 5개. 슐레플리 기호로는 {3,3,5}로 나타내어진다.

2.2. 오목 정다포체

  • 큰 거대 별모양 백이십포체 (Great Grand Stellated 120-cell): {5/2,3,3}
  • 큰 별모양 백이십포체 (Great Stellated 120-cell): {5/2,3,5}
  • 거대 별모양 백이십포체 (Grand Stellated 120-cell): {5/2,5,5/2}[B]
  • 작은 별모양 백이십포체 (Small Stellated 120-cell): {5/2,5,3}
  • 큰 이십면체 백이십포체 (Great Icosahedral 120-cell): {3,5/2,5}
  • 거대 육백포체 (Grand 600-cell): {3,3,5/2}
  • 정이십면체 백이십포체 (Icosahedral 120-cell): {3,5,5/2}
  • 큰 거대 백이십포체 (Great Grand 120-cell): {5,5/2,3}
  • 큰 백이십포체 (Great 120-cell): {5,5/2,5}[B]
  • 거대 백이십포체 (Grand 120-cell): {5,3,5/2}

위에 있는 것은 전부 {5,3,3}정백이십포체나 {3,3,5}정육백포체를 응용해서 만들어진 것이며 반대로 쌍곡 {3,5,3}정이십면체 벌집을 응용해서 만들 수 있는 오목 정다포체 쌍곡 벌집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4차원 이상에서는 칠각형 이상의 n각형 계열이 전부 추상적인 논콤팩트가 된다.

2.3. 오일러 지표

볼록 정다포체의 입체의 개수를 [math(C)], 면의 개수를 [math(F)], 모서리의 개수를 [math(E)], 꼭짓점의 개수를 [math(V)]라고 할 때, 오일러 지표(Euler characteristic)는

[math(V-E+F-C)] [math(=)] [math(0)]이다.

오목 다포체 중 6개는 0이며 2개는 480, 2개는 -480이다.
정다포체 입체의 개수 면의 개수 모서리의 개수 꼭짓점의 개수 -입체+면-모서리+꼭짓점 몇개의 초구입체를 덮는 갯수(density)
정오포체{3,3,3} 5 10 10 5 0 1
정팔포체{4,3,3} 8 24 32 16 0 1
정십육포체{3,3,4} 16 32 24 8 0 1
정이십사포체{3,4,3} 24 96 96 24 0 1
정백이십포체{5,3,3} 120 720 1200 600 0 1
정육백포체{3,3,5} 600 1200 720 120 0 1
{5/2,5,3} 120 720 1200 120 -480 4
{3,5,5/2} 120 1200 720 120 480 4
{5,5/2,5} 120 720 720 120 0 6
{5/2,3,5} 120 720 720 120 0 20
{5,3,5/2} 120 720 720 120 0 20
{5/2,5,5/2} 120 720 720 120 0 66
{5,5/2,3} 120 720 1200 120 -480 76
{3,5/2,5} 120 1200 720 120 480 76
{5/2,3,3} 120 720 1200 600 0 191
{3,3,5/2} 600 1200 720 120 0 191

4차원 정다포체의 이포각은 다음과 같다.(오목 정다포체 포함)
  • {3,3,3} 정오포체 [math(\cos^{-1}\left(\dfrac{1}{4}\right))]≈75.52249° 초부피≈0.0233a4
  • {4,3,3} 정팔포체 [math(\cos^{-1}\left(0\right))]=90° 초부피=1a4
  • {3,3,4} 정십육포체 [math(\cos^{-1}\left(-\dfrac{1}{2}\right))]=120° 초부피≈0.1667a4
  • {3,4,3} 정이십사포체 [math(\cos^{-1}\left(-\dfrac{1}{2}\right))]=120° 초부피=2a4
  • {5,3,3} 정백이십포체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144° 초부피≈787.8570a4
  • {3,3,5} 정육백포체 [math(\cos^{-1}\left(\dfrac{-1-3\sqrt{5}}{8}\right))]≈164.47751° 초부피≈26.4754a4
  • {3,3,5/2} [math(\cos^{-1}\left(\dfrac{-1+3\sqrt{5}}{8}\right))]≈44.47751°
  • {5/2,3,3}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72°
  • {3,5/2,5} [math(\cos^{-1}\left(-\dfrac{1}{2}\right))]=120°
  • {5,5/2,3}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72°
  • {5/2,5,5/2}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72°
  • {5,3,5/2}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72°
  • {5/2,3,5}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144°
  • {5,5/2,5}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144°
  • {5/2,5,3} [math(\cos^{-1}\left(\dfrac{-1-\sqrt{5}}{4}\right))]=144°
  • {3,5,5/2} [math(\cos^{-1}\left(-\dfrac{1}{2}\right))]=120°

위에서 보듯이 오목 정다포체는 {3,3,5/2}를 제외하면 이포각이 전부 유리수로 나오며 볼록 정다포체까지 합쳐도 {3,3,3}, {3,3,5}, {3,3,5/2}를 제외한 나머지 13개가 유리수 각도이다. 이중에서 {5/2,3,5}, {5,5/2,5}, {5/2,5,3}, {5,3,3} 이렇게 4개는 144°, {3,5/2,5}, {3,5,5/2} 이렇게 2개는 120°로 {3,4,3}, {3,3,4}와도 이포각이 같으며, {5/2,3,3}, {5,5/2,3}, {5/2,5,5/2}, {5,3,5/2} 이렇게 4개는 72°로 같다. 이 {3,3,5/2}마저도 {3,3,5}의 이포각에서 120°를 뺀 것과 같으며 {3,3,3}과 {3,3,5/2}의 이포각을 합치면 120°, {3,3,3}과 {3,3,5}의 이포각을 합치면 240°, {3,3,3}, {3,3,4}, {3,3,5}의 이포각을 합치면 360°가 된다. 비슷하게 {3,3}과 {3,4}의 이포각을 합치면 180°, {3,3}, {3,4}, {3,6}의 이포각을 합치면 360°가 된다. 물론 {3,6}은 유클리드 벌집이라 이에 해당되진 않지만.

볼록 정다포체로 한정하면 사용하는 입체가 {3,5}가 빠지고 꼭짓점이 되는 것으로는 {5,3}이 빠지지만, 오목 정다포체까지 합하면 사용하는 입체가 {3,3}, {4,3}, {3,4}, {5,3}, {3,5}, {5,5/2}, {5/2,5}, {3,5/2}, {5/2,3} 9개 모두 사용되므로 꼭짓점 도형으로도 사용된다. 참고로, 오각별 {5/2}에다 사각형, 육각형, 칠각형 등과 같이 삼각형과 오각형을 제외한 n각형을 추가하는 경우엔는 전부 만들어지지 않는 오목 벌집이 된다. {5/2,3,5/2}, {3,5/2,3}의 2가지 경우에는 사각형 계열이 아닌 나머지 7가지 정다면체를 사용한 형태지만 오목 정다포체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또한 {4,3,4}는 정규 허니컴이며 {3,5,3}, {5,3,4}, {4,3,5}, {5,3,5} 이렇게 4개는 4차원에서 콤펙트 하이퍼볼릭이다.

3. 측정

정다포체 슐레플리 기호 부피 근삿값 외접구의 반지름 근삿값
정오포체 {3,3,3} [math(\dfrac{\sqrt5}{96}a^4)] 0.02329 [math(\dfrac{\sqrt{10}}{4}a)] 0.79057
정팔포체 {4,3,3} [math(a^4)] 1 [math(a)] 1
정십육포체 {3,3,4} [math(\dfrac{1}{6}a^4)] 0.16667 [math(\dfrac{\sqrt2}{2}a)] 0.70711
정이십사포체 {3,4,3} [math(2a^4)] 2 [math(a)] 1
정백이십포체 {5,3,3} [math(\dfrac{15}{4}(105+47\sqrt{5})a^4)] 787.85698 [math(\dfrac{3\sqrt{2}+\sqrt{10}}{2}a)] 3.70246
정육백포체 {3,3,5} [math(\dfrac{25}{4}(2+\sqrt{5})a^4)] 26.47542 [math(\dfrac{1+\sqrt{5}}{2}a)] 1.61803

4. 여담

단체(simplex), 초입방체(hypercube), 또는 정축체(orthoplex)가 아닌 볼록한 정다포체는 4차원 유클리드 공간까지만 존재한다. 즉, 5차원부터는 볼록한 정다포체가 오직 3개까지만 존재한다.[5]

정백이십포체의 모든 점들을 이으면 16가지의 모든 4차원 정다포체와 오목 정다포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정백이십포체 1개만 있어도 대각선만 적당히 이으면 모든 4차원 정다포체를 그릴 수 있는 셈. 일반적으로 볼록 정다포체인 6개만 인정하지만 오목 정다포체까지 합쳐서 16개로 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유클리드 벌집이나 쌍곡 벌집은 대각선을 어떻게 이어도 만들 수 없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2차원에서는 정무한대각형이 1차원 공간을 빈틈없이 채우며 3차원에서는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이 2차원 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다. 4차원으로 넘어가면 오직 정육면체만이 3차원 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지만 5차원에서는 정팔포체, 정십육포체, 정이십사포체가 4차원 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다. 6차원 이상에서는 초입방체만이 5차원 이상 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다. 이 말은 6차원 이상에서는 정규 벌집이 n-1차원 입방체 벌집 밖에 없다는 뜻이다.

정육면체 벌집{4,3,4}의 경우는 초부피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4,3,4}의 입체, 면, 모서리 꼭짓점의 비율은 1:3:3:1이다. 정육면체 벌집 역시 정규 테셀레이션과 같은 이유로 4차원 정다포체의 정의에는 부합하나 일반적으로 정다포체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여담으로 4차원 도형은 회전변환을 사원수로 나타낼 수 있다.

5. 연관항목


[A] 정육백포체가 숫자는 더 큰데 오히려 정백이십포체보다 작아 보이는 이유는 정백이십포체정십이면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정육백포체정사면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A] [B] 이것은 자기쌍대인 4차원의 오목한 정다포체이다. 그것도 2가지나 된다.[B] [5] 각각 n차원 정(n+1)포체(= 단체), n차원 정(2n)포체(=초입방체), 그리고 n차원 정2n포체(=정축체)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