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1:40:30

정백이십포체

4차원 볼록 정다포체
4-Dimensional Regular Polychoron
정오포체 정팔포체 정십육포체 정이십사포체 정백이십포체 정육백포체

정백이십포체
regular hecatonicosachoron, 120-cell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cell.gif
3차원에 투영된 정백이십포체.[1]
슐레플리 기호 {5,3,3}
대칭 대칭군 [math(H_4)]
대칭 차수 14400
쌍대 정육백포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측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math(a)] = 한 변의 길이
초부피
[math(\dfrac{15}{4}(105+47\sqrt{5})a^4)][2]
이포각 [math(144\degree)]
반지름 외접초구 [math(\dfrac{3\sqrt{2}+\sqrt{10}}{2}a)]
모서리접초구 [math(\dfrac{2\sqrt{3}+\sqrt{15}}{2}a)]
면접초구 [math(\dfrac{\sqrt{650+290\sqrt{5}} }{10}a)]
내접초구 [math(\dfrac{7+3\sqrt{5}}{4}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구성요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차원 형태 개수
0 점(V) 600
1 모서리(E) 1200
2 면(F) {5} (정오각형) 720
3 셀(C) {5,3} (정십이면체) 120
}}}}}}}}} ||
다른 이름
도데카플렉스(dodecaplex), dodecahedral complex
하이퍼도데카헤드론(hyperdodecahedron)[3]

1. 개요2. 구조3. 여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chlegel_wireframe_120-cell.png
[clearfix]

1. 개요

/120-cell, regular hecatonicosachoron[4]

한 개의 모서리에 세 개의 정십이면체가 만나고, 총 백스무 개의 정십이면체로 이루어진 정다포체.

한편 정백이십포체로는 5차원의 정다포체를 만들 수 없다.[5] 이포각이 144°라 한 면에 3개가 모이면 432°로 360°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2. 구조


정백이십포체의 구조를 설명한 영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cell_two_orthogonal_rings.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cell_rings.jpg

정십이면체 열 개 한 묶음씩 하나의 링이라고 했을 때, 12개의 정십이면체 링[주의사항]이 4차원 공간에서 서로 접혀져 만나는 구조이다.

6개의 링으로 된 전개도 2개가 서로 접혀져 정백이십포체를 이룰 때의 모습을 보면 듀오프리즘 모양도 나오며[7] 정백이십포체는 4차원의 120개 방향으로 대칭형이므로, 전체적인 모습은 사실 초구에 근접한다.

3. 여담

정백이십포체의 꼭짓점으로 4차원의 모든 정다포체 6개와 모든 오목 정다포체 10개를 전부 다 만들 수 있다. 정백이십포체 1개만 있어도 16개의 모든 정다포체와 오목 정다포체를 그릴 수 있는 셈이다. 당연하겠지만, 유클리드 벌집이나 쌍곡 벌집은 꼭짓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없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유클리드 벌집과 쌍곡 벌집은 해당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3차원에 대응되는 도형이 정십이면체로 알려져 있지만 구면을 덮는 빽빽한 정도를 기준으로 하면 오각형 모양으로 깎은 마름모삼십면체와 비슷하다.[8]

정백이십포체는 체적도 787이 넘어가서 n차원 다포체 중에서는 희귀하게 해당 차원에서 체적이 엄청나며 한 변의 길이가 5인 정팔포체보다 체적이 더 크다. 또한 한 이포각의 크기가 144°인데, 이는 정십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와 같다.

자기점을 기준으로 한 점의 거리 타입이 44개(거리값 중복 합하면 30개)나 존재하며 각 꼭짓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math(\left(0\right))]1개, [math(\left(1\right))]4개, [math(\left(\dfrac{1+\sqrt{5}}{2}\right))]12개, [math(\left(\dfrac{\sqrt{2}+\sqrt{10}}{2}\right))]24개, [math(\left(\dfrac{3+\sqrt{5}}{2}\right))]12개, [math(\left(\dfrac{\sqrt{3}+\sqrt{15}}{2}\right))]4개, [math(\left(\sqrt{5+2\sqrt{5}}\right))]24개, [math(\left(\dfrac{\sqrt{26+10\sqrt{5}}}{2}\right))]24개(12개+12개), [math(\left(\dfrac{3\sqrt{2}+\sqrt{10}}{2}\right))]32개(4개+4개+24개), [math(\left(\dfrac{\sqrt{34+14\sqrt{5}}}{2}\right))]24개(12개+12개), [math(\left(2+\sqrt{5}\right))]12개, [math(\left(\sqrt{10+4\sqrt{5}}\right))]24개, [math(\left(\dfrac{3\sqrt{3}+\sqrt{15}}{2}\right))]28개(4개+24개), [math(\left(\sqrt{12+5\sqrt{5}}\right))]24개(12개+12개), [math(\left(\dfrac{\sqrt{50+22\sqrt{5}}}{2}\right))]24개, [math(\left(3+\sqrt{5}\right))]54개(24개+6개+24개), [math(\left(\dfrac{\sqrt{62+26\sqrt{5}}}{2}\right))]24개, [math(\left(\sqrt{16+7\sqrt{5}}\right))]24개(12개+12개), [math(\left(\dfrac{5+3\sqrt{5}}{2}\right))]28개(4개+24개), [math(\left(2\sqrt{2}+\sqrt{10}\right))]24개, [math(\left(\sqrt{19+8\sqrt{5}}\right))]12개, [math(\left(\dfrac{\sqrt{78+34\sqrt{5}}}{2}\right))]24개(12개+12개), [math(\left(\dfrac{3\sqrt{6}+\sqrt{30}}{2}\right))]32개(4개+4개+24개), [math(\left(\dfrac{\sqrt{86+38\sqrt{5}}}{2}\right))]24개(12개+12개), [math(\left(\sqrt{23+10\sqrt{5}}\right))]24개, [math(\left(\dfrac{7+3\sqrt{5}}{2}\right))]4개, [math(\left(\dfrac{3\sqrt{7}+\sqrt{35}}{2}\right))]12개, [math(\left(\sqrt{25+11\sqrt{5}}\right))]24개, [math(\left(\dfrac{\sqrt{106+46\sqrt{5}}}{2}\right))]12개, [math(\left(2\sqrt{3}+\sqrt{15}\right))]4개, [math(\left(3\sqrt{2}+\sqrt{10}\right))]1개.

[1] W축으로 회전하는 중이다. 눈에 보이는 것은 2차원 화면이나, 그래픽상 3차원에 투영되었다.[2] [math(\dfrac{1575+705\sqrt{5}}{4}a^4 ≈ 787.8570a^4)][3] 초(超)정십이면체[4] 복수는 -chora[5] 정오각형 12개로 정십이면체, 정십이면체 120개로 정백이십포체를 만든 것과 대조적.[주의사항] 3차원 평면상에 투영시켜 나타내다 보니 정십이면체 링이 마치 '외부'와 '내부'를 이루며 서로 얽혀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모두 4차원 초구의 '외부'에 존재하며 겉껍질을 이루는 구조이다.[7] 쌍대인 정육백포체에선 이 꼭짓점들을 응용한 grand antiprism도 있다.[8] 정오각형 12개, 육각형 30개로 이루어져 있다. 심지어 이 도형도 균일한 변의 길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지만 정다각형이 아니라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로 인정받지 못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