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8:11:20

2019 WBSC 프리미어 12/슈퍼 라운드/3경기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2019년 프리미어 12
2019 WBSC Premier 12

━━━━━━━━━━━━━━━━━━━━━━━━━━━━
3차전 11.11(월) 19:00, 도쿄 돔 3,012명
중계방송사: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 이승엽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코디 폰세 0 0 0 0 0 1 0 0 0 1 13 0 4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양현종 3 0 0 0 0 0 2 0 X 5 9 1 3
승: 양현종 | 패: 코디 폰세
양 팀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타순 대한민국
포지션 선수명 선수명 포지션
LF 조 아델 1 박민우 2B
3B 알렉 봄 2 김하성 SS
1B 바비 달벡 3 이정후 CF
DH 앤드류 본 4 박병호 1B
SS 제이크 크로넨워스 5 김재환 DH
RF 브렌트 루커 6 양의지 C
CF 드류 워터스 7 김현수 LF
C 에릭 크라츠 8 민병헌 RF
2B 코너 채텀 9 허경민 3B
SP 코디 폰스 P 양현종 SP
}}}}}}}}}}}} ||
주요 경기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결승타 김재환(1회 2사 1,2루서 우월 홈런)
홈런 김재환(1회 3점 코디 폰세), 브렌트 루커(6회 1점 양현종)
2루타 알렉 봄(1회), 이정후(3,7회), 조 아델(6회), 양의지(6회), 김하성(7회), 돌튼 바쇼(8회)
도루 김하성(1회)
병살타 코너 채텀(4회)
고의 사구 박병호(7회)
}}}}}}}}}}}} ||
투수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대표팀 투수 기록
투수 기록 이닝 투구수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ERA
코디 폰세 3.1 51 5 1 1 0 3 3 8.70
클레이튼 앤드류스 1.2 25 0 0 0 2 0 0 0.00
브라이언 플린 1.0 13 1 0 0 1 0 0 0.00
와이엇 밀스 0.2 22 2 0 0 0 2 2 27.00
칼렙 티엘바 0.1 7 1 0 1 1 0 0 0.00
브룩스 파운더스 1.0 23 0 0 1 1 0 0 0.00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투수 기록 이닝 투구수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ERA
양현종 5.2 92 10 1 2 7 1 1 1.58
이영하 1.1 23 0 0 1 2 0 0 0.00
이용찬 1.0 17 2 0 0 1 0 0 0.00
조상우 1.0 24 1 0 1 1 0 0 0.00
}}}}}}}}}}}} ||
타자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대표팀 타자 기록
<rowcolor=#fff> 타순 선수 포지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 조 아델 LF → CF 유땅 유실 3땅 좌2 좌안
결과 5타수 3안타
2 알렉 봄 3B 좌중2 유땅 2땅 삼진 볼넷
결과 4타수 1안타 1볼넷 1삼진
3 바비 달벡 1B 볼넷 유땅 중안 3땅 중비
결과 4타수 1안타 1볼넷
4 앤드류 본 DH 좌안 2땅 좌안 볼넷 우안
결과 4타수 3안타 1볼넷
5 제이크 크로넨워스 SS 삼진 삼진 삼진 좌비 삼진
결과 5타수 무안타 4삼진
6 브렌트 루커 RF 삼진 중비 중홈
결과 3타수 1안타 1홈런 1득점 1타점 1삼진
마크 페이튼 PH → RF 삼진 우비
결과 2타수 무안타 1삼진
7 드류 워터스 CF 삼진 볼넷 삼진
결과 2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
돌튼 바쇼 PH 우중2
결과 1타수 1안타
에드워드 자비에 PR → 2B
결과 0타수 0안타
8 에릭 크라츠 C 중비 중안 삼진 삼진
결과 4타수 1안타 2삼진
9 코너 채텀 2B → LF 좌안 2병 좌안 좌비
결과 4타수 2안타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rowcolor=#fff> 타순 선수 포지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 박민우 2B 2땅 중비 1땅 좌안 좌비
결과 5타수 1안타 1득점
2 김하성 SS 중안 좌안 삼진 중2
결과 4타수 3안타 2득점 1타점 1볼넷
3 이정후 CF 우안 우중2 투땅 좌2
결과 4타수 3안타 1득점 1타점
4 박병호 1B 3비 유비 사구 고의사구
결과 2타수 무안타 1볼넷
5 김재환 DH 우홈 1땅 삼진 삼진
결과 4타수 1안타 1홈런 1득점 3타점 2삼진
6 양의지 C 2땅 볼넷 좌2 사구
결과 2타수 1안타 1볼넷
박세혁 C
결과 0타수 0안타
7 김현수 LF 중비 투땅 2땅 볼넷
결과 3타수 무안타 1볼넷
8 민병헌 RF 중비 삼진 3땅
결과 3타수 무안타 1삼진
강백호 PH 삼진
결과 1타수 무안타 1삼진
박건우 RF
결과 0타수 0안타
9 허경민 3B 3땅 좌비 1비 중비
결과 4타수 무안타
}}}}}}}}}}}} ||
득점 루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닝 득점 팀 득점 루트 스코어
1회말 대한민국 김재환의 우월 홈런으로 3득점 미국 0 : 3 대한민국
6회초 미국 브렌트 루커의 중월 홈런으로 1득점 미국 1 : 3 대한민국
7회말 대한민국 김하성의 중전 2루타로 1득점 미국 1 : 4 대한민국
이정후의 좌측 2루타로 1득점 미국 1 : 5 대한민국
}}}}}}}}}}}} ||
SBS H/L 다시보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BSC H/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BSC 풀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기록지
승: 양현종 (5.2이닝 7K 1실점 1자책)
패: 코디 폰스 (3.2이닝 3실점 3자책)

도쿄 돔 개막전이며, 첫경기부터 지난 결승의 리매치가 열렸다.

1회말 2사 1,3루에서 김재환이 선제 쓰리런 홈런을 때렸다. 미국은 1회초 2사 만루에서 삼진아웃으로, 2회초 유격수 김하성의 실책으로[1] 2사 2, 3루 상황에서 또 땅볼 아웃으로 끝냈다.

3회말 1사 상황에 김하성의 안타 이후 이정후의 2루타가 나오면서 김하성이 홈까지 뛰었는데, 상대팀 포수 에릭 크래츠가 무릎으로 베이스를 완전히 가로막은데다 포수의 태그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김하성 역시 베이스 터치를 제대로 못했는데 아웃 판정이 나왔다. 그러자 김하성이 바로 다시 발로 베이스를 먼저 찍었는데 판정이 바뀌지 않았다. 김경문 감독은 비디오 판독을 신청했고 명백하게 포수의 태그가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그대로 아웃 판정이 나와 김하성이 오심으로 아웃당하는 일이 있었다. 비디오 판독까지 거치면서도 이런 판정이 나온 것은 쉽게 납득하기 힘들었다.



6회 초에 미국이 6번 타자 브랜트 루커의 솔로 홈런 이후 2사 2,3루 상황이 나왔으나 교체 등판한 이영하에게 알렉 봄이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기회가 무산되었다. 7회말 한국이 2사 이후 연속 3안타가 터지면서 2점을 추가했다.[2]

양현종이 컨디션 난조로 제구에 어려움을 겪었고 체인지업이 미국 타자들에게 공략당하면서 거의 매이닝 위기가 있었지만 많은 피안타 속에서도 실점은 솔로 홈런 하나로 최소화하는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주며 5.2이닝 1실점 7K로 승리투수가 되었다.

미국은 무려 13안타를 때렸지만 1점밖에 못 내고 무려 16개의 잔루를 남기는 심한 변비야구를 선보였다. 2아웃을 잡은 후에 연속으로 안타를 치며 기회를 잡았지만 시프트에 걸려 점수로 이어가지 못했다.

한편, 대한민국 투수진은 위기 상황을 잘 헤쳐나가며 13안타를 허용했지만 1실점 만을 허용하며 슈퍼라운드 첫 승을 거두는데 성공했다.
여담으로 미국과 한국의 선발 유격수인 제이크 크로넨워스김하성은 모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활약하고 있다. 크로넨워스도 이 대회에서 뛰었던 김하성을 기억하고 있다.

[1] 1루에서 살아남은 건 안타지만 이후 추가진루가 실책.[2] 7회말 김하성의 타구는 미국 중견수 드류 워터스의 타구판단 미스, 이정후의 안타는 미국 외야진이 우측에 치우친 수비위치로 인해 좌측 빈공간에 떨어진 안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