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2 23:20:23

돌튼 바쇼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134A8E>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34A8E><colcolor=#ffffff> 투수 17 베리오스 · 23 호프먼 · 28 블로스 · 29 로드리게스 · 34 가우스먼 · 39 예세비지 · 44 프란시스 · 45 낸스 · 54 리틀 · 56 라우어 · 57 비버 · 58 브룰 · 60 에스트라다 · 62 루카스 · 63 피셔 · 64 마코 · 65 슐츠 · 66 바스타도 · 68 플루하티 · 77 발랜드 · 93 가르시아 · # 티드먼
포수 30 커크 · 55 하이네만 · # 발렌수엘라
내야수 0 A.히메네스 · 22 클레멘트 · 27 게레로 Jr. · 47 바저 · 49 L.히메네스
외야수 3 스트로 · 4 스프링어 · 5 바쇼 · 8 클라세 · 10 로퍼피도 · 25 산탄데르 · 36 슈나이더 · 38 루케스
파일:미국 국기.svg 존 슈나이더 공석 파일:미국 국기.svg 드말로 헤일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워커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팝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버드진스키 카를로스 페브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루 이아노티 파일:미국 국기.svg 샘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엄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안드레오폴로스 ·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후타도 파일:미국 국기.svg 존 레넌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버팔로 바이슨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5번
산티아고 에스피날
(2020~2023)
돌튼 바쇼
(2025~)
현역
파일:토론토바쇼.jpg
<colbgcolor=#134a8e><colcolor=#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No.5
돌튼 바쇼
Daulton Varsho
본명 돌튼 존 바쇼
Daulton John Varsho
출생 1996년 7월 2일 ([age(1996-07-02)]세)
위스콘신 주 마시필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마시필드 고등학교 - 위스콘신 대학교/밀워키 캠퍼스
신체 173cm | 93kg
포지션 포수외야수[1]
투타 우투좌타
프로입단 2017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68번, ARI)
소속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0~2022)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3~)
계약 Arb 3 / $8,200,000
연봉 2025 / $8,200,000
가족 아버지 게리 바쇼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연도별 성적6. 여담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 외야수 겸 포수.

2. 선수 경력

2.1.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파일:달튼바쇼.jpg
파일:Daulton_Varsho_Arizona_Diamondbacks.jpg

2020년 7월 30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에서 빅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단축 시즌임에도 37경기나 출전, 플래툰으로 기용되며 115타석 19안타 3홈런 9타점 3도루 .188/.287/.366의 스탯을 기록했다.

2.2.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2년 12월 23일,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브리엘 모레노를 상대로 토론토로 트레이드되었다.

2.2.1. 2023 시즌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305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시즌 내내 뛰어난 수비와 주루에 비해 처참한 공격력으로 토론토 팬들의 뒷목을 잡게 만들었다. 수비와 주루의 뛰어난 활약만으로도 fWAR는 2 넘게 쌓긴 했지만 공격력은 wRC+ 85 수준으로 2022 시즌 107에 비해 심각하게 하락하였다.

2023 시즌 최종 성적은 .220/.285/.389 20HR/16SB 61RBI fWAR 2.1 bWAR 3.9 DRS+ 29 OAA+ 10. 수비는 매우 뛰어났지만 타격에서 사실상 허수아비나 다름없는 한심한 모습을 보여주며 아쉬움을 남겼다. 게다가 반대급부로 애리조나로 넘어간 구리엘 주니어, 모레노가 모두 포텐이 터져 시즌 내내 맹활약하며 팀을 월드 시리즈로 보냈기에 토론토 입장에서는 트레이드 실패나 다름이 없으므로[2] 바쇼의 타격 반등이 절실한 상황이다.

2.2.2. 2024 시즌

당초 케빈 키어마이어가 FA가 됨에 따라 2024 시즌 주전 중견수 출전이 유력했으나 이후 키어마이어가 다시 영입되면서 2023 시즌과 비슷한 역할[3]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1월 11일, 연봉 조정을 피해 565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2024 시즌에는 완전히 주전 중견수로 자리를 잡은 모습인데, 수비에서 상당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골드글러브급 중견수로 자리잡았고, 시즌 후 첫 골드글러브를 수상했다.

2.2.3. 2025 시즌

1월 9일, 연봉 조정을 피해 82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등번호를 25번에서 5번으로 변경했다.

작년에 받은 오른쪽 어깨 수술에서 회복하는 기간을 거치고 4월 29일 보스턴 레드삭스전 6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여 시즌 첫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에서 4회초 재런 듀란의 센터 쪽 뜬공을 잡으려고 뛰어가다 넘어졌는데, 재빨리 다시 일어나 공을 잡으며 골드글러브급 수비를 보여주었다. #

5월 31일 경기에서 햄스트링을 다쳐 부상자 명단에 갔다가 8월 1일이 되어서야 복귀하였다. 이에 풀타임 기준으로 시즌 절반도 뛰지 못하고 70경기 수준에서 시즌을 마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홈런을 때려내면서 OPS 0.833을 기록하는 등 타격에서 꽤나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며 다음 시즌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2025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2차전에서 5타수 4안타(2루타 2, 2홈런) 4타점의 불방망이를 휘두르며 팀의 13-7 승리를 이끌었다.
2025년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4회말 블레이크 스넬을 상대로 동점 투런 홈런을 날리면서 1993년 월드 시리즈 6차전 조 카터의 끝내기 쓰리런 이후 토론토의 첫 WS 홈런이자, 득점을 만들었다.[4]

그러나 월드시리즈 7차전에선 4:4로 진행되고 있던 9회말 1사 만루의 절호의 찬스에서 내야 땅볼로 물러났고, 결국 팀은 5:4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3. 플레이 스타일

아마추어 시절에서부터 마이너리그와 빅리그에서의 시작을 포수와 외야를 겸업하였으나 스프린트 속도가 28ft/s를 상회하는 빠른 주력과 좋은 타구 판단 능력이 있기에 외야수가 더 어울린다는 평이다.[5] 실제로도 기대에 적중하며 2022 시즌 기준으로 광활한 체이스 필드를 사용하면서 외야수로 DRS +19, OAA +17이라는 엄청난 수치를 기록하는 뛰어난 외야 수비를 선보였다. 2023 시즌에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팀 사정상 좌익수로 주로 출전하면서 중견수를 종종 보는 방식[6]으로 예상되며, 포수는 긴급한 상황에만 볼 것으로 보인다.[7]

2023 시즌 좌익수로 817⅔이닝 DRS+11, OAA+1 / 중견수로 462⅓이닝 DRS+18 OAA+10의 엄청난 수비력을 선보였다. 다만 좌익수보다 중견수로 압도적인 수비력[8][9]을 선보였기에 2024 시즌에도 전해처럼 케빈 키어마이어와 중견수 수비 이닝을 나눠가질 것으로 보인다.

2024시즌에는 좌익수 404⅓이닝 DRS+12 OAA+10 / 중견수 672이닝 DRS+16 OAA+5 / 우익수 9이닝 DRS 0 OAA 0 / 외야수 합계 1085⅓이닝 DRS+28 OAA+16을 기록하며 중견수 골드글러브를 획득했다. 현 시점 AL 최고의 수비력을 가진 외야수라 할 만하다. 단 하위 5%의 어깨를 가졌다고 평가받을 만큼 어깨가 나쁘다.

반면 타격의 경우엔 장단점이 명확하다. 크지 않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손목 힘과 엄청난 펀치력을 바탕으로 공을 멀리 보내는 능력이 탁월하나, 컨택이 나쁘고 선구안도 그닥 좋은 편이 아니라 타율과 출루율이 많이 낮고 좌상바 기질이 극심하다. 2022 시즌 기록을 보면 우투수 상대 .240/.317/.484 wRC+ 121 / 좌투수 상대 .221/.250/.303 wRC+ 52로 우투수 상대로는 쓸만한 타자지만 좌투수 상대로는 타율 차이는 안 크지만 OPS로 넘어간다면 허수아비 그 자체가 된다. 결국 2023 시즌엔 약점[10]을 공략당하며 타격에서는 매우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11] 2024 시즌에는 리그 평균 수준인 wRC+ 99까지 회복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중견수 골드 글러브 (2024)

5.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돌튼 바쇼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E3D4AD>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0 ARI 37 115 19 5 2 3 16 9 3 12 33 .188 .287 .366 .653 0.1 0.1
2021 95 315 70 17 2 11 41 38 6 30 67 .246 .318 .437 .755 1.8 1.6
2022 151 592 125 23 3 27 79 74 16 46 145 .235 .302 .443 .745 4.3 4.9
<rowcolor=#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3 TOR 158 581 116 23 3 20 65 61 16 45 135 .220 .285 .389 .674 1.9 3.6
2024 136 513 98 21 7 18 73 58 10 48 137 .214 .293 .407 .700 3.1 5.0
2025 71 271 59 13 2 20 43 55 2 17 77 .238 .284 .548 .832 2.2 2.8
MLB 통산
(6시즌)
648 2387 487 102 19 99 317 295 53 198 594 .227 .295 .430 .725 13.4 17.9

6. 여담

  • 아버지인 게리 바쇼도 야구선수 출신으로, 메이저리그에서도 510경기를 소화했다. 아버지의 마지막 경기가 1995년 9월 1일로, 바쇼는 정확히 9개월 1일 뒤인 1996년 7월 2일 생이다.
  • 특이하게도 거의 모든 타자들과는 다르게 타석에 들어설 때 아무 보호대도 착용하지 않는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돌튼 바쇼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4년 아메리칸 리그 중견수 부문 골드 글러브
케빈 키어마이어
(토론토 블루제이스)
돌튼 바쇼
(토론토 블루제이스)
세단 라파엘라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멀티 포지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무키 베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돌튼 바쇼
(토론토 블루제이스)
어니 클레멘트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로고.svg 2024년 메이저 리그 필딩 바이블 올해의 수비수 상
키브라이언 헤이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돌튼 바쇼
(토론토 블루제이스)
패트릭 베일리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12번
루비 데 라 로사
(2015~2017)
<colcolor=#FFFFFF> 돌튼 바쇼
(2020~2022)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
(2023~)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25번
재키 브래들리 주니어
(2022)
돌튼 바쇼
(2023~2024)
앤서니 산탄데르
(2025~)
}}} ||
[1] 외야 전 포지션 소화 가능하며, 주로 중견수와 좌익수로 출전한다. 2022년 이후부터는 외야수만 소화하고 있다.[2] 사실 구리엘 주니어도 문제지만 서비스 타임이 매우 길게 남은 모레노가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기까지 하는 정상급 포수로 기량이 상승하며 바쇼가 남은 시간 동안 엄청난 활약을 해도 사실상 모레노가 하락세를 타지 않는 한 애리조나의 완승이 되어버린 셈이다. 바쇼는 애리조나에서 홀로 넘어간 것이기에 트레이드의 목적은 토론토 측이 좀 더 윈나우였는데도 막상 유망주로 넘어간 모레노가 기대 이상으로 올스타급으로 터져 애리조나가 모레노의 활약을 바탕으로 윈나우를 달렸기 때문. 다만 구리엘 주니어는 이 시즌을 마치고 FA였기도 했지만, FA 계약 이후에는 이 시기만큼의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데다가 FA 당시에도 큰 인기를 끌지 못했을 정도로 한계가 뚜렷한 모습도 함께 보여주고 있어서 사실상 고점일 때 토론토가 포기한 쪽에 가깝긴 했다.[3] 주로 좌익수 출전, 키어마이어 휴식일에 중견수 출전[4] 공교롭게도 카터의 홈런 때 상대 필리스의 포수가 다름아닌 본인 이름의 유래였던 대런 돌튼이었다.[5] 참고로 포수 수비는 평균 내지 평균 이하로 평가받는다.[6] 왜냐하면 중견수에 케빈 키어마이어를 영입했기 때문이다.[7] 스프링캠프에서 포수 수비 연습은 전혀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8] 풀타임 중견수 기준으로 중견수 DRS+ 56 OAA+ 31이 된다. 이는 전 포지션 역대 1시즌 DRS 최고였던 2017년 유격수 안드렐톤 시몬스의 +41을 아득히 제치는 역대급 수치이다. OAA는 2018년 유격수 닉 아메드의 +35가 역대 최고 수치. 수비 수치를 쌓기에 가장 유리한 유격수가 아닌 중견수로 이 정도 수치라는 것은 말도 안되는 수준.[9] 물론 중견수로 함께 출전하는 케빈 키어마이어가 좌중간으로 가는 공들을 죄다 잡아버려서 수비 수치가 낮게 나왔다는 의견도 있다.[10] 하이패스트볼과 브레이킹볼 콤보[11] wRC+ 2022 시즌 107 → 2023 시즌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