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6:57:49

𡱿에서 넘어옴
바꿀 역, 쉬울 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エキ, イ
일본어 훈독
やさ-しい, あなど-る, か-える,
か-わる, やす-い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易은 '바꿀 역' 또는 '쉬울 이'라는 한자로, '바꾸다', '쉽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61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은 APHH(日心竹竹)로 입력한다.

자원()이 불분명한 한자이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ᚦ과 같은 형태 옆으로 사선 3개가 그어진 형태로 나타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양쪽에 모두 사선이 그어진 이체자를 바탕으로 술잔을 그린 상형자로 보고 '술잔을 하사한다'로 해석해 (줄 사)의 원 글자로 추정했다. 설문해자에서는 소전체를 보고 도마뱀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라고 해석한다.태양과 달이라는 설도 있다.

본디 한국 한자음 '역'에 해당하는 益운, '이'에 해당하는 豉운 두 개의 음이 있으나, 현대 중국어에서는 yì음 하나로 합해졌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4. 유의자

  • 貿(무역할 무)
  • (바꿀 태)
  • (바꿀 체)
  • (바꿀 환)

5. 상대자

  • (어려울 간)
  • (어려울 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춘추전국시대에 멸망한 중산국 왕족의 후손들은 '역'이 아닌 '이'로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