曷 어찌 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曰,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カツ | ||||||
일본어 훈독 | いずく-んぞ, いつ, なに, なん-ぞ | ||||||
- | |||||||
표준 중국어 | hé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상세
曷은 '어찌 갈'이라는 한자로, '어찌(왜)', 또는 '언제', '어떻게', '어떤' 등 뜻으로 쓰이는 의문사이다.2. 자원, 자형
설문해자에서는 曰(가로 왈)과 匃(빌 개)가 합쳐진 형성자로 분석한다.여러 가지 글자에서 '갈', '알' 등의 음을 나타내는 성부로 쓰인다. 당장 '갈'을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누르면 대부분의 글자는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글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 상용한자에 포함되지 않기에 따로 자형을 두지는 않았지만, 이 글자를 성부로 쓰는 揭(걸 게), 渴(마를 갈)에서 亾(망할 망, 없을 무)을 匕(비수 비)로 고쳐 쓴 신자체를 쓰기 때문에(각각 掲, 渇, 신자체/변화 규칙도 참조) 이 글자를 성부로 쓰는 글자들도 마찬가지로 망할 망 대신 비수 비로 쓰는 경우가 잦다. 일본 표준은 상용 한자 이외에서 신자체의 변형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표기에서 曷의 망할 망을 비수 비로 바꿀지 말지 충돌하는 일도 있다. 葛 문서도 참조하시오.
蝎(전갈 갈)과 동자이기도 하다.
유니코드에는 66F7로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心女人(APVO)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인명
4.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褐(갈색/굵은베 갈)
- 𪓮(개구리소리 갈)
- 鶡(관이름 갈, 할단 할, 파랑새 분)
- 毼(꾸밈없을 갈, 모직물 할, 못난사람 답)
- 喝(꾸짖을 갈)
- 𧼨(넘을 갈)
- 竭(다할 갈)
- 䈓(대이름 갈)
- 暍(더위먹을 갈)
- 𤸎(더위먹을 갈, 앓을 해)
- 𩏌(말갈 갈)
- 渴(목마를 갈)
- 𢆜(방패세워둘 갈)
- 䅥(벼이삭 갈, 벼이삭팰 알/걸)
- 鍻(북 갈)
- 羯(불깐양 갈)
- 碣(비석 갈)
- 嵑(비석/높을 갈)
- 騔(빠를 갈)
- 輵(수레소리 갈)
- 鞨(오랑캐이름 갈)
- 蝎(전갈 갈)
- 葛(칡 갈)
- 楬(푯말 갈, 산이름 흡)
- 𥻉(흰쌀 갈)
- 幆(갈장 개)
- 朅(떠날 걸)
- 㹇(불친소 걸/건, 소이름 할)
- 揭(높이들/걸 게)
- 偈(불시 게)
- 愒(쉴 게, 탐할 개)
- 㓭(가죽다룰 설)
- 𡇼(낙타울음 알/할)
- 𩮂(대머리 알, 갈기 렵)
- 㷎(더위먹을 알/갈)
- 遏(막을 알)
- 堨(보 알, 먼지 애)
- 𢉥(좁을 알/얼)
- 齃(콧대 알)
- 餲(밥쉴 애)
- 𪕭(서로꼬리물고다니는쥐 애)
- 䨠(아지랑이 애)[1]
- 馤(향기 애)
- 𪑦(색바랠 얼)
- 𦝲(가슴밑 예)
- 䋵(급할 예, 비단찢을 알, 작은마음 열)
- 㡫(어그러질 예)
- 𣂰(노구솥 정)
- 䦪(문닫는소리 할)
- 𩩲(뼈솟을 할, 어깨뼈 갈)
- 𪘹(씹는소리 할)
- 𥈎(애꾸눈 할)[2]
- 䫘(튼튼할 할, 바르지않을 알, 살쩍빠질 갈)
- 㿣(흰빛 할)
- 㔠(힘쓸 할)
- 𩹄(오징어 해)
- 𦤦(누린대 할, 구릴 애, 썩은냄새 알)
- 歇(쉴 헐)
- 𦩥(큰배 헐)
- 猲(개 호/갈/할, 으를 겁)
- 𣎅(사흉의하나 환)
- 𢎔(갈)
- 𨉪(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