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75em" | 2021~2025 | |||
(2021) | (2021~2022) | (2022) | (2022~2023) | |
(2023) | (2023~2024) | (2024, UHD) | (2024~2025, UHD) | |
(2025, UHD) | (2025~2026, UHD)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화려한 날들|
]]
- [ 등장인물 ]
- [ 방영 목록 ]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7ca3e8><tablecolor=#ffffff><nopad>
파일:화려한 날들 OST Part 3.jpg [[화려한 날들/음악#s-2.1| Part 1별처럼 수없이 빛나는]]빈(VIN)
2025. 08. 07.[[화려한 날들/음악#s-2.2| Part 2Hello]]유서하
2025. 08. 17.[[화려한 날들/음악#s-2.3| Part 3SOMEHOW]]박세정
2025. 08. 24.[[화려한 날들/음악#s-2.4| Part 4그대 내 곁에 와준다면]]
[[정일우|정일우]]
2025. 08. 30.[[화려한 날들/음악#s-2.5| Part 5화려한 날들]]
[[황인욱|황인욱]]
2025. 09. 07.[[화려한 날들/음악#s-2.6| Part 6그대인가 봐]]
2025. 09. 14.[[화려한 날들/음악#s-2.7| Part 7Be with you]]최솔지
2025. 09. 21.[[화려한 날들/음악#s-2.8| Part 8사랑이었다]]E.HEH
2025. 09. 27.[[화려한 날들/음악#s-2.9| Part 9너에게 난]]가엘 (에코비)
2025. 10. 05.[[화려한 날들/음악#s-2.10| Part 10곡명]]
[[아티스트|아티스트]]
2025. mm. dd.[[화려한 날들/음악#s-2.11| Part 11곡명]]
[[아티스트|아티스트]]
2025. mm. dd.[[화려한 날들/음악#s-2.12| Part 12곡명]]
[[아티스트|아티스트]]
2025. mm. dd.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colbgcolor=#63a6f6,#63a6f6><colcolor=#ffffff,#ffffff> KBS 2TV 주말 드라마 화려한 날들 (2025~2026) Our Golden Days | |||
언어별 제목 |
| ||
장르 | 가족,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 ||
방송 시간 | 토 · 일 / 오후 08:00 ~ 09:20 | ||
방송 기간 | 방송 중 2025년 8월 9일 ~ 2026년 2월 8일 (예정) | ||
방송 횟수 | 50부작 | ||
기획 | KBS | ||
제작사 | 스튜디오커밍순, 스튜디오봄, 몬스터유니온 | ||
채널 | KBS 2TV | ||
추가 채널 | KBS drama, KBS 월드 | ||
제작진 | <colbgcolor=#63a6f6,#63a6f6><colcolor=#ffffff,#ffffff> 연출 | 김형석, 박단비[1] | |
극본 | 소현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63a6f6,#63a6f6><colcolor=#fff,#fff> 기획 | 김상휘, 이정미 | |
제작 | 가순남, 윤창범, 지병현, 박춘호 | ||
촬영 | 김시형, 강승우 | ||
미술 | 고미숙 | ||
음악 | 김지수[2] | }}}}}}}}} | |
출연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外 | ||
촬영 기간 | 2025년 5월 ~ | ||
스트리밍 |
: | [[Viu| Viu ]] | ▶ | ||
시청 등급 | |||
링크 | \ \ | ||
지원 포맷 | [[4K UHD| UHD ]] |
1. 개요
누구에게나 화려한 날들이 있다 인간은 누구에게나 화려한 날들이 있다. 지금이든, 과거에서든, 앞으로든. 각기 다른 의미로 만나게 되는 화려한 날들에 대한 세대 공감 가족 멜로 이야기 |
==# 공개 정보 #==
- 2025년
- 3월 21일, 정인선이 여자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다는 소식과 제작진 라인업이 공개되었다. #
- 3월 21일, 같은 날 정일우가 남자 주인공으로 캐스팅되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 #
- 4월 24일, 이태란의 캐스팅 소식이 보도되었다. #
- 4월 24일, 윤현민의 캐스팅 소식이 보도되었다. #
- 6월 4일, 천호진의 캐스팅 소식이 보도되었다. #
- 6월 17일,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6월 18일, 천호진, 이태란, 반효정, 윤주상, 김희정, 박성근, 김정영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6월 19일,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 6월 24일, 대본 리딩 현장이 공개되었다. #
- 6월 25일, 정일우의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6월 26일, 정인선의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1일, 티저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 7월 2일, 윤현민의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3일, 정일우와 정인선의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4일, 천호진의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7일, 이태란의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8일, 메인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 7월 9일, 정일우와 윤현민의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10일, 1차 티저가 공개되었다. #
- 7월 11일, 정일우의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7월 15일, 가족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 7월 16일, 정인선의 캐릭터 스틸 및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 7월 17일, 2차 티저가 공개되었다. #
- 7월 18일, 윤현민의 캐릭터 스틸 및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 7월 21일, 이태란의 캐릭터 스틸 및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 7월 22일, 단체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 7월 23일, 정인선, 김정영, 양혁의 가족 스틸이 공개되었다. #
- 7월 24일, 3차 티저가 공개되었다. #
- 7월 25일, 윤현민, 이태란, 박성근, 박정연의 가족 스틸이 공개되었다. #
- 7월 28일, 김형석 PD의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 7월 29일,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의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 7월 30일, 배우들이 꼽은 작품 키워드가 공개되었다. #
- 7월 31일, 포스터 촬영 비하인드가 공개되었다. #
- 8월 1일, 종합 예고가 공개되었다. #
- 8월 4일, 주요 인물 관계성이 공개되었다. #
- 8월 5일, 하이라이트가 공개되었다. #
- 8월 7일, 관전 포인트가 공개되었다. #
- 8월 8일,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의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8월 9일, 정일우, 정인선의 1회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1.1. 예고편
▲ 1차 티저 | ▲ 2차 티저 |
▲ 3차 티저 | ▲ 종합 예고 |
▲ 하이라이트 | ▲ 제작발표회 |
1.2. 포스터
▲ 티저 포스터 | ▲ 메인 포스터 |
▲ 가족 포스터 | ▲ 단체 포스터 |
1.3. 메이킹
1.4. 콘텐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자체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ffffff> 분류 | 제목 | 출연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자기소개 | [세로] 화려한 날들 숏폼 자기소개🌟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신수현, 손상연 | | |
챌린지 | [세로] 깁미더머니 챌린지 (feat. 막내 속이기ㅋㅋㅋ)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 ||
첫방송 | [세로] 화려한 날들 첫 방송 8/9일 많관부😘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이태란,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 | | |
게임 | [세로] 셀카를 피해라 게임! (벌칙 영상 맨 뒤에 나옴🤭)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 | | |
[세로] 벨런스 게임 (feat. 하나도 안 맞음 주의)😏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 |||
디데이 | [세로] D-7 8/9일 첫 방송 예정! 많관부🫰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신수현, 손상연 | | |
인터뷰 | [세로] Q. 내 인생의 화려한 날들은?✨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신수현, 손상연 | | |
디데이 | [세로] D-5 화려한 날들! 5일 남았어요🖐🏻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윤현민, 신수현 | | |
챌린지 | [세로] 너 뭐해? 챌린지 8/9일 첫 방송 예정! 많관부😽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윤현민 | | |
제작발표회 | KBS 주말 드라마 '화려한 날들' 제작발표회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천호진, 이태란,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 | | |
디데이 | [세로] 8월 9일 저녁 8시, <화려한 날들> 첫 방송 D-2!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 | |
인터뷰 | [#화려한날들] 우리 큰 오빠 고민 좀 들어주세요 (댓글 예쁘게 달아라💢) | 정일우, 정인선 | | |
제작발표회 | [#화려한날들] 화려함 가득했던 제작발표회 포토타임📸 ✨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천호진, 이태란,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 | | |
[#화려한날들] 화려하고 사랑스러웠던 제작발표회 포토타임📸 ✨ | | |||
디데이 | [세로] D-1 드디어 내일! 8/9일 첫 방송 많관부😘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 | | |
제작발표회 | [#화려한날들] 화려했던 제작발표회 속 비하인드.mp4📹💛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이태란, 신수현, 손상연, 박정연 | | |
챌린지 | [#화려한날들] 누구도 예상할 수 없는 What's In My Bag with 정일우 🥳✨ | 정일우 | | |
메이킹 | [세로] 고백 공격! 고백은 역시 E-mail ^^ (결말 포함)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 | |
[세로] 뜻밖의 큰돈 💰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인선, 이태란 | | ||
챌린지 | [#화려한날들] 난 박수만 쳤을 뿐인데 눈이 밝아졌슨...💛 | 정일우, 정인선 | | |
[#화려한날들] 화려함이 팡 터지는 What's In My Bag with 정인선 🎊 | 정인선 | | ||
메이킹 | [세로] 더 상처받는 말은? 🥊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손상연 | | |
[세로] 지혁 선배의 내가 이룬 것✨ [화려한 날들] | KBS 방송 | 정일우, 정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ffffff> 분류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비하인드 | | [정인선] 우리의 '화려한 날들'에 대한 이야기🍀| 화려한 날들 포스터 촬영 BeHind | 정인선 | | |
방송 | [[KBS 1TV| KBS 1TV | 아침마당-화요초대석 | 정일우, 정인선 | | |
라디오 | | 이은지의 가요광장 |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 | | |
방송 | [[KBS 2TV| KBS 2TV | 옥탑방의 문제아들 | 정일우, 이태란 | | |
유튜브 | | 조현아의 평범한 목요일 밤 | 정일우, 윤현민 | | |
| [박정연] KBS 2TV '화려한 날들'을 꼭 봐야하는 이유! | 박정연 | |
2. 기획의도
1. 너도 아프냐? 나도 아프다. 가족 멜로 X세대라는 말이 90년대에 처음 등장한 이후 밀레니얼, MZ 세대까지, 이런 감각적인 용어는 항상 젊은이들의 전용 같았다. 그런데 드.디.어 기성세대도 그들을 대표하는 용어를 갖게 되었으니 이름하여 ‘마처세대’ 다. 마처세대란,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면서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를 일컫는 신조어다. ‘부모를 봉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식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 주로 1960년대생에 속하는 중.장년층으로, 이들은 현재 노부모가 생존해 있고 아직 독립하지 못한 자녀가 있을 확률이 크다. 그래서 은퇴했지만 부양 책임이 남아있고 본인들도 노후 준비가 덜 되었기에, 은퇴와 동시에 다시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세대이다. 반면 소위 ‘88만원 세대’로 불리는 1980~90년대생인 자녀 세대는 극심한 취업난과 높은 물가, 벌어져가는 소득격차 등으로 인해 경제적 독립이 쉽지 않다. 그 탓인지 30대 결혼율은 점점 저조해지고 있다. 각자 힘든 두 세대, 즉 부모 자식 세대가 겪는 각각의 고난과 아픔, 희노애락을 통해 서로의 입장을 헤아려보게 하고 싶다. 우리는 모두 아프다. 사는 건 원래 아프다. 너만 아픈게 아니라 나도 아프다. 그러니 날 조금만 봐주세요. 2. 왜 가족인가? 가족 탐구. ‘가족’이라는 낱말이 주는 느낌은 참 따뜻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가족도 많다. 가족이어서 더 괴롭고 가족이어서 더 아프고 이러지도 못하는 가족. 혈연으로 연결됐기에 끊을 수 없게 느껴지는 가족. 그 가족의 모습을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 해보고자 한다. 혈연이 가족인가? 서로 위하는 게 가족인가? 사랑하면 가족인가? 가족 사이에 필요한 건 무엇인가? 진정한 가족이란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싶다. |
|
3.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려한 날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려한 날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음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려한 날들/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려한 날들/음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rowcolor=#ffffff> 파트 | 표지 | 발매일 | 곡명 | 아티스트 | 링크 |
Part 1 | 2025. 08. 07. | <colbgcolor=#f5f5f5,#2d2f34> 별처럼 수없이 빛나는 | 빈(VIN) | | |
Part 2 | 2025. 08. 17. | Hello | 유서하 | | |
Part 3 | 파일:화려한 날들 OST Part 3.jpg | 2025. 08. 24. | SOMEHOW | 박세정 | |
Part 4 | 2025. 08. 30. | 그대 내 곁에 와준다면 | 정일우 | | |
Part 5 | 2025. 09. 07. | 화려한 날들 | 황인욱 | | |
Part 6 | 2025. 09. 14. | 그대인가 봐 | 조현아 (어반자카파) | | |
Part 7 | 2025. 09. 21. | Be with you | 최솔지 | | |
Part 8 | 2025. 09. 27. | 사랑이었다 | E.HEH | | |
Part 9 | 2025. 10. 05. | 너에게 난 | 가엘 (에코비) | |
※ 미발매 트랙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 |
5. 방영 목록 및 시청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려한 날들/방영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려한 날들/방영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ffffff,#ffffff> 회차 | 방영일 | 시청률 | 비고 | |
<rowcolor=#ffffff,#ffffff> 전국 | 수도권 | |||
<colbgcolor=#f5f5f5,#2d2f34> 1회 | 2025.08.09. | 13.9 | 12.5 | |
2회 | 2025.08.10. | 13.4 | 11.5 | |
3회 | 2025.08.16. | 12.6 | 11.4 | |
4회 | 2025.08.17. | 13.8 | 12.0 | |
5회 | 2025.08.23. | 13.2 | 11.9 | |
6회 | 2025.08.24. | 15.6 | 14.1 | |
7회 | 2025.08.30. | 13.7 | 12.4 | |
8회 | 2025.08.31. | 15.9 | 14.5 | |
9회 | 2025.09.06. | 14.5 | 13.3 | |
10회 | 2025.09.07. | 14.8 | 13.5 | |
11회 | 2025.09.13. | 14.1 | 13.1 | |
12회 | 2025.09.14. | 15.7 | 14.1 | |
13회 | 2025.09.20. | 13.9 | 13.1 | |
14회 | 2025.09.21. | 15.8 | 14.3 | |
15회 | 2025.09.27. | 13.7 | 12.5 | |
16회 | 2025.09.28. | 15.3 | 14.1 | |
17회 | 2025.10.04. | 13.3 | 12.3 | |
18회 | 2025.10.05. | 12.2 | 11.3 | |
19회 | 2025.10.11. | % | % | |
20회 | 2025.10.12. | % | % | |
21회 | 2025.10.18. | % | % | |
22회 | 2025.10.19. | % | % | |
23회 | 2025.10.25. | % | % | |
24회 | 2025.10.26. | % | % | |
25회 | 2025.11.01. | % | % | |
26회 | 2025.11.02. | % | % | |
27회 | 2025.11.08. | % | % | |
28회 | 2025.11.09. | % | % | |
29회 | 2025.11.15. | % | % | |
30회 | 2025.11.16. | % | % | |
31회 | 2025.11.22. | % | % | |
32회 | 2025.11.23. | % | % | |
33회 | 2025.11.29. | % | % | |
34회 | 2025.11.30. | % | % | |
35회 | 2025.12.06. | % | % | |
36회 | 2025.12.07. | % | % | |
37회 | 2025.12.13. | % | % | |
38회 | 2025.12.14. | % | % | |
39회 | 2025.12.20. | % | % | |
40회 | 2025.12.21. | % | % | |
41회 | 2025.12.27. | % | % | |
42회 | 2025.12.28. | % | % | |
43회 | 2026.01.03. | % | % | |
44회 | 2026.01.04. | % | % | |
45회 | 2026.01.10. | % | % | |
46회 | 2026.01.11. | % | % | |
47회 | 2026.01.17. | % | % | |
48회 | 2026.01.18. | % | % | |
49회 | 2026.01.24. | % | % | |
50회 | 2026.01.25. | % | % | |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 [범례] 최저 시청률 ・ 최고 시청률 |
- 〈다리미 패밀리〉와 비슷한 수치로 출발했지만, KBS 2TV 주말 드라마의 첫 방송 시청률로는 가장 낮다. 방영 1주차이기는 하지만, 일요일이 13.4%로 오히려 토요일보다 낮은 시청률을 보이며 또 다시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 게다가 3회에서는 시청률이 더 떨어져 12%대까지 기록하는 등 초반 추이가 매우 좋지 않은 편이다.
- 6회에서는 15.6%로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전작의 초반 시청률로 조금이나마 회복하며 반등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여전히 낮은 수치이며, 그 이후로 정체 상태를 유지하며 14회가 방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6%에 도달하지 못했다.[3] 14회에서는 같은 시간대에 케이블 미니시리즈에 수도권 시청률 1위를 빼앗기기도 했으며, 전국 시청률은 해당 케이블 미니시리즈와 동일한 수치를 기록했다.
- 16회에서는 15.3%를 기록했지만, tvN 토일 드라마 〈폭군의 셰프〉가 기록한 17.1%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시청률 전체 1위의 자리를 빼앗기게 되었다. tvN 토일 드라마에게 전체 1위 자리를 내어준 건 〈눈물의 여왕〉 방영 당시 〈미녀와 순정남〉 이후 두 번째다.
6.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6.1. 방영 이전
- 전작이 어느 정도 평을 회복하기는 했지만, 근본적인 시청률 문제는 크게 해결되지 못 한 상황에서 이번 작품에서 얼마나의 성적을 낼 수 있을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소현경 작가가 썼던 주말극들[4]이 빠른 전개와 좋은 평가로 시청률과 화제성을 높은 수치로 끌어올렸기에 기대가 많은 편이다. 다만 이전에도 평은 나빴을 지언정 시청률만큼은 보장하던 김사경 작가가 시청률로 쓴 맛을 봤던 전적이 있기도 하고, 최근 몇 년간 KBS 주말 드라마의 문제점으로 지적받는 게 항상 비슷한 장르의 드라마가 편성되는 것에서 발생하는 매너리즘인 만큼 6년만에 드라마를 집필하게 된 소현경 작가가 이를 얼마나 극복할지가 관건이다.
6.2. 방영 이후
- 작가의 전작들과 달리 다소 느린 전개가 원성을 사고 있다. 이 시간대 주 시청층인 어르신들의 반응이 대체 무슨 내용이야일 정도로 명확한 스토리가 없고 스토리를 전개하는 과정도 탄력이 부족한 것이 소현경 작가답지 않아 실망이 크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소현경 작가 입장에서는 꽤 긴 공백기 끝에 나온 신작인 만큼 공백기의 영향으로 감이 다 죽은 것이 아니냐는 반응이 중론. 다만 워낙 뒷심이 좋은 편이어서 중반까진 지켜봐야 한단 의견도 있다.
7. 기타
7.1. 드라마 관련
- 전작까지는 드라마 방영 이전에 후속작의 작품 소식이 공개되었는데, 이번에는 전작이 방영을 시작한 이후에 후속작이 공개되었다.
- 〈진짜가 나타났다!〉를 시작으로 〈미녀와 순정남〉, 〈다리미 패밀리〉가 넷플릭스 동시 공개 작품이었는데, 이번 작품도 넷플릭스에서 공개 예정이다. 또한, 2025년 KBS의 첫 넷플릭스 동시 공개 작품이다.
- 2021년 작품 신사와 아가씨부터 이어졌던 볼보 계열사의 협찬이 종료되었으며, 본작에서의 차량 협찬은 아예 없다. 그래서 제네시스, 지프, BMW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등장한다.
7.2. 출연진 관련
- 정일우와 천호진은 〈돌아온 일지매〉 이후 16년 4개월 만에 재회한다.
- 정일우와 반효정은 〈49일〉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재회한다.
- 정인선과 고원희는 〈으라차차 와이키키〉 이후 7년 4개월 만에 재회한다.
- 정인선과 박성근은 〈DNA러버〉 이후 10개월 만에 재회한다.
- 정인선과 이태란은 〈순풍산부인과〉 이후 24년 8개월 만에 재회한다.
- 고원희와 윤주상은 〈오케이 광자매〉 이후 3년 11개월 만에 재회한다.
- 윤현민과 김희정은 〈내 딸, 금사월〉 이후 9년 6개월 만에 재회한다.
- 천호진과 이태란은 〈애정만세〉 이후 21년 4개월 만에 재회한다.
- 천호진과 김희정은 〈육룡이 나르샤〉 이후 9년 5개월 만에 재회하며, 2번째로 부부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5]
- 이태란과 반효정은 〈결혼의 여신〉 이후 11년 10개월 만에 재회한다.
- 이태란과 김희정은 〈소문난 칠공주〉 이후 18년 7개월 만에 재회하며 주말드라마는〈왕가네 식구들〉 이후 11년 6개월 만에 재회한다.
- 반효정과 김희정은 〈불어라 미풍아〉 이후 8년 6개월 만에 재회한다.
- 반효정과 손상연은 〈그놈은 흑염룡〉 이후 5개월 만에 재회한다.
- 정일우는 〈굿잡〉 이후 2년 10개월 만에 복귀하며, 〈49일〉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소현경 작가와 2번째로 협업한다. 또한,〈아가씨를 부탁해〉 이후 16년 만에 KBS 작품에 출연하며,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정인선은 〈DNA러버〉 이후 7개월 만에 복귀하며, 〈맨몸의 소방관〉 이후 8년 6개월 만에 출연하는 KBS 작품이다. 또한,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윤현민은 〈보라! 데보라〉 이후 2년 2개월 만에 복귀하며, 〈그놈이 그놈이다〉 이후 4년 11개월 만에 출연하는 KBS 작품이다. 또한,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하며, 〈내 딸, 금사월〉 이후 9년 5개월 만에 주말극에 출연한다.
- 천호진은 〈착한 사나이〉 이후 바로 복귀[6]하며, 〈내 딸 서영이〉, 〈투윅스〉, 〈황금빛 내 인생〉에 이어 소현경 작가와 4번째로 협업한다. 또한, 〈꼭지〉, 〈내 딸 서영이〉, 〈파랑새의 집〉, 〈황금빛 내 인생〉, 〈한 번 다녀왔습니다〉에 이어 6번째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이태란은 특별출연한 〈이로운 사기〉 이후 2년 만에 복귀하며, 〈왕가네 식구들〉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출연하는 KBS 작품이다. 또한, 〈내 사랑 누굴까〉, 〈소문난 칠공주〉, 〈내 사랑 금지옥엽〉, 〈왕가네 식구들〉에 이어 5번째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반효정은 〈결혼하자 맹꽁아!〉 이후 4개월 만에 복귀하며, 〈현재는 아름다워〉 이후 2년 11개월 만에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찬란한 유산〉, 〈49일〉, 〈내 딸 서영이〉, 〈두번째 스무살〉에 이어 5번째로 소현경 작가와 협업한다.
- 윤주상은 〈빨간풍선〉 이후 3년 6개월 만에 복귀하며, 〈오케이 광자매〉 이후 3년 11개월 만에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김희정은 〈허식당〉 이후 3개월 만에 복귀하며, 〈왕가네 식구들〉 이후 10년 5개월 만에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소문난 칠공주〉, 〈수상한 삼형제〉, 〈왕가네 식구들〉에 이어 4번째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수지맞은 우리〉 이후 10개월 만에 줄연하는 KBS 작품이며, 〈신과의 약속〉 이후 6년 5개월 만에 주말극에 출연한다.
- 박성근은 〈DNA러버〉 이후 10개월 만에 TV 드라마에 복귀하며,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김정영은 〈우리영화〉 이후 1개월 만에 복귀하며,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양혁은 〈선재 업고 튀어〉 이후 1년 만에 복귀하며,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신수현은 〈스터디그룹〉 이후 6개월 만에 복귀하며, 〈멀리서 보면 푸른 봄〉 이후 4년 1개월 만에 KBS 작품에 출연한다. 또한,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손상연은 〈그놈은 흑염룡〉 이후 5개월 만에 복귀하며, 〈혼례대첩〉 이후 1년 8개월 만에 KBS 작품에 출연한다. 또한, 〈황금빛 내 인생〉에 단역으로 출연한 것에 이어 소현경 작가와 2번째로 협업한다. 또한,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또한 배우의 실제 나이에 비해 다소 나이가 있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7]
- 박정연은 〈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와 동시기에 출연하며, 처음으로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 고원희는 특별출연한 〈나의 완벽한 비서〉 이후 복귀하며, 〈오케이 광자매〉 이후 3년 11개월 만에 KBS 2TV 주말 드라마에 출연한다.
7.3. 제작진 관련
- 김형석 PD와 소현경 작가가 〈황금빛 내 인생〉에 이어 2번째로 협업하는 작품으로, 후술하듯이 둘 다 긴 공백기를 보낸 후의 복귀작이다.
- 김형석 PD는 〈바람피면 죽는다〉 이후 4년 6개월 만에 복귀하며, 〈넝쿨째 굴러온 당신〉, 〈황금빛 내 인생〉에 이어 3번째로 연출하는 KBS 2TV 주말 드라마이다.
- 소현경 작가는 〈황금빛 내 인생〉 이후 7년 4개월 만에 집필하는 작품으로[8], 〈내 딸 서영이〉, 〈황금빛 내 인생〉에 이어 3번째로 집필하는 KBS 2TV 주말 드라마이다.
8. 둘러보기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font-size: .97em"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친밀한 리플리 | 화려한 날들 | ||||||
마리와 별난 아빠들 | |||||||
은수 좋은 날 | |||||||
| |||||||
태양을 삼킨 여자 19:05 | |||||||
달까지 가자 21:50 | |||||||
| |||||||
키스는 괜히 해서! 11/12 | |||||||
우주메리미 10/10 | |||||||
종합편성채널 | |||||||
마이 유스 | |||||||
퍼스트레이디 | 컨피던스맨 KR | ||||||
백번의 추억 | |||||||
| |||||||
신사장 프로젝트 | 태풍상사 | ||||||
일반 케이블 자체 제작 편성 | |||||||
착한 여자 부세미 | |||||||
{{{#fff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background: #cbfdc7; color: #373a3c" dark-style="background: #073300; color: #e0e0e0"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000000>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 대박부동산 | 메이퀸픽쳐스 | |
달리와 감자탕 | 코퍼스코리아 | ||
연모 | 이야기사냥꾼→아크미디어 | ||
| 엉클 | 하이그라운드 | |
| 꽃 피면 달 생각하고 | 꽃피면달생각하고문화산업전문회사, 피플스토리컴퍼니 | |
| 태종 이방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000000>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 으라차차 내 인생 | ||
| 미남당 | 피플스토리컴퍼니, AD406 | |
| 내 눈에 콩깍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000000>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 금이야 옥이야 | - | |
| 가슴이 뛴다 | 위매드 | |
| 하이쿠키 | 아크미디어 | |
| 고려 거란 전쟁 | 비브스튜디오스 | |
| 우당탕탕 패밀리 | 아센디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000000>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 환상연가 | 판타지오 | |
피도 눈물도 없이 | 마이네스트컴퍼니 | ||
멱살 한번 잡힙시다 | 프로덕션에이치 | ||
| 수지맞은 우리 | 삼화네트웍스 | |
| 다리미 패밀리 | 키이스트 | |
드라마 스페셜 2024 - 모퉁이를 돌면 | - | ||
| 가족계획 | 키이스트, 오디너리젬, 보더리스필름 | |
| 결혼하자 맹꽁아! | DK E&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25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000000> 방송사 | 제목 | 공동 제작사 |
| 대운을 잡아라 | 박스미디어 | |
| 디어엠 | 플레이리스트 | |
| 24시 헬스클럽 | CJ ENM STUDIOS, 본팩토리, 키이스트 | |
| 사계의 봄 | 스튜디오S, FNC스토리, FNC엔터테인먼트 | |
| 미지의 서울 | 하이그라운드 | |
|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 스튜디오N | |
화려한 날들 | 스튜디오커밍순, 스튜디오봄 | ||
| 마리와 별난 아빠들 | 엘아이엔터테인먼트 | |
| 마지막 썸머 | 슬링샷스튜디오 |
둘러보기 2016~2020 | 2021~2025 |
[1] 〈KBS 드라마 스페셜 - 영복, 사치코〉 연출[2] 〈오 마이 비너스〉, 〈황금빛 내 인생〉 등을 담당.[3] 전작의 경우 시청률 15.3%로 시작해 단 14회 만에 빠르게 20%에 도달한 반면, 다리미 패밀리의 경우 6화에서 16%에 도달했다.[4] 찬란한 유산, 내 딸 서영이, 황금빛 내 인생[5] 천호진이 태조 이성계 역, 김희정이 신덕왕후 역으로 부부 호흡을 하였다.[6] 일부 방영시기가 겹친다[7] 만으로 23살밖에 되지 않은 나이에 30살 역할을 맡았는데, 당장 주연 배우들인 정일우, 정인선, 윤현민이 손상연보다 나이가 훨씬 많음에도 맡은 캐릭터의 나이대가 손상연과 크게 차이나지 않거나 아예 동갑인 역할이다. 다른 젊은 배우들 역시 손상연보다 나이가 많음에도 더 어린 역할을 맡은지라 은근히 괴리감이 느껴지는 부분.[8] 2019년 이국종의 에세이를 원작으로 하는 메디컬 드라마를 집필하려다 엎어진 후 상당히 긴 공백기를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