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1 14:33:57

할리우드 드림 더 라이드 ~백드롭~


문서가 존재하는 일본의 롤러코스터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dd,#383b40><tablebgcolor=#fff,#1c1d1f><width=190> 제트 코스터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66
||<width=33%> 자이언트 코스터
[[후지큐 하이랜드|
F
]]
1966~1996
||<width=33%> 콕스크류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78
[R] ||
셔틀 루프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80
더블 루프
[[후지큐 하이랜드|
F
]]
1980~2005
루핑 스타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82
문설트 스크램블
[[후지큐 하이랜드|
F
]]
1983~2000
칠드런 코스터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83
스페이스 마운틴
[[도쿄 디즈니랜드|
DL
]]
1983
빅선더 마운틴
[[도쿄 디즈니랜드|
DL
]]
1987
슈팅 코스터 졸라[2]
[[후지큐 하이랜드|
F
]]
1988~2002
울트라 트위스터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89
[R]
부기 우기 스페이스 코스터
S
1990~2017
블랙홀 스크램블
S
1990~2017
칩과 데일의 가젯코스터
[[도쿄 디즈니랜드|
DL
]]
1996
타이탄 MAX
S
1994~2017
화이트 사이클론[4]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94~2018
클리퍼
S
1995~2017
비너스 GP
S
1996~2017
더블 와일드 마우스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1996
후지야마
[[후지큐 하이랜드|
F
]]
1996
피레네
[[시마 스페인무라|
SV
]]
1997
매드 마우스
[[후지큐 하이랜드|
F
]]
1998~2019
니아와 애니멀 코스터
[[후지큐 하이랜드|
F
]]
1998
버드맨[A]
[[후지큐 하이랜드|
F
]]
2000~2001
스틸 드래곤 2000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2000
도돈파[6]
[[후지큐 하이랜드|
F
]]
2001~2016
플라운더의 플라잉피쉬 코스터
[[도쿄 디즈니씨|
DS
]]
2001
할리우드 더 드림 라이드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USJ
]]
2001
졸라 7
[[후지큐 하이랜드|
F
]]
2002~2010
폭신한 하늘의 대모험[A]
[[후지큐 하이랜드|
F
]]
2003~2017
레이징 스피릿츠
[[도쿄 디즈니씨|
DS
]]
2005
자턴
S
2006~2017
에에쟈나이카
[[후지큐 하이랜드|
F
]]
2006
스누피의 그레이트 레이스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USJ
]]
2001
타카비샤
[[후지큐 하이랜드|
F
]]
2011
피터 래빗 코스터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2012
할리우드 드림 더 라이드 ~백드롭~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USJ
]]
2013
아크로뱃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2015
더 플라잉 다이너소어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USJ
]]
2016
아라시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2017
도 도돈파
[[후지큐 하이랜드|
F
]]
2017~2021
리사와 가스파르의
하늘 여행 일기

[[후지큐 하이랜드|
F
]]
2017
하쿠게이
[[나가시마 스파 랜드|
N
]]
2019
조콘
[[후지큐 하이랜드|
F
]]
2023
동키콩의 크레이지 트램카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USJ
]]
2024
지표별 일본 롤러코스터 순위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R] 2012년 리뉴얼 오픈[2] 現 졸라 7[R] [4] 現 하쿠게이[A] 現 리사와 가스파르의 하늘 여행 일기[6] 現 도 도돈파[A]





할리우드 드림 더 라이드 ~백드롭~
파일:gdfg5.jpg
<colbgcolor=#fff><colcolor=#000> 유형 롤러코스터
이름 할리우드 드림 더 라이드 ~백드롭~
위치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탑승인원 한비클 36명
탑승시간 2분
트랙길이 약 1,200m
개장일 2013년 3월 15일
최고속도 약 90km/h
최고높이 약 44m
낙하각도 50도
제작사 B&M (Bolliger & Mabillard)

1. 개요2. 특징3. 여담4. 탑승 영상

1. 개요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에 있는 롤러코스터.

2. 특징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에 있는 롤러코스터로 할리우드 더 드림 라이드보다 대표적인 롤러코스터 중 하나로 탑승자가 트랙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뒤를 보면서 주행하는 독특한 컨셉을 채택하고 있다.한국에서는 비슷하게 레이싱 코스터가 있다.공식 안내에 따르면 이 버전은 높이 44m까지 오른 뒤 뒤를 보면 곧장 급강하한다는 표현이 사용될 정도로 후방 주행이 주는 예측불가능성과 스릴감이 강조된다.

이 어트랙션의 원형인 할리우드 드림 더 라이드는 2007년 3월 9일에 개장하였으며, 스위스 출신의 롤러코스터 전문 제작사 Bolliger & Mabillard(B&M)가 설계·제작하였다. 이후,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측은 “한 번 봤던 경로를 뒤에서 타면 어떤 느낌일까?”라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2013년 3월 15일부터 제한 기간형으로 Backdrop 버전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 버전의 운행은 당초 2013년 7월 7일 종료 예정이었으나, 높은 인기로 인해 2013년 9월 30일까지 연장되었다는 보도도 있다. 이후 현재까지도 트랙 구성이나 운행 형태가 이벤트나 시즌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가 있으며, Backdrop 버전이 항상 운행 중이라는 보장은 없으므로 방문 시 최신 정보 확인이 필요하다.

일반 버전과 동일한 트랙을 사용하지만, Backdrop 버전에서는 탑승석이 후방을 향해 있어 “무엇이 앞에 펼쳐질지 모르는” 긴장감이 그 핵심이다. 실제로 공식 소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즉, 일반 버전이 앞으로 달리며 시야 앞쪽의 풍경과 함께 자유로운 공중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었다면, Backdrop은 뒤를 보면서 달리기 때문에 ‘앞이 보이지 않음’이라는 점에서 공포와 스릴이 배가된다.

기계적 사양으로는 원형 버전이 최고 속도 약 90 km/h, 높이 약 44 m, 길이 약 1 200 m라는 수치가 공개되어 있으며 일부 수치는 Backdrop도 동일하다. 특히 이 버전에서는 탑승 중 선택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이 강점으로, 탑승 전에 5곡 중 하나를 선택해 탑승 중 음악과 함께 라이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차량 측면에 LED 조명이 장착되어 있고, 밤에는 조명이 더해진 경주감도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3. 여담

탑승 체험을 묘사하면, 출발 직후 리프트 힐을 올라가는 동안 긴장감이 고조되고, 갑작스럽게 뒤를 향해 급강하하면서 “내가 지금 어디로 떨어지는가?”라는 혼란과 함께 몸이 뒤에서 앞으로 튕기는 듯한 충격감을 맛보게 된다. 이어서 러프하게 방향이 바뀌거나 헬리컬(나선) 회전 구간, 캐멀백(언덕 위로 솟구쳤다가 낙하하는 언덕) 등이 이어지면서, 시각적 정보가 제한된 상태에서 몸으로만 스릴을 느끼게 된다. 리뷰어들은 Backdrop 버전에 대해 “더 소리를 지르게 된다” “앞을 보지 못하므로 스릴이 더 강하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탑승 전 고려해야 할 사항도 있다. 먼저 대기 시간이 길어지기 쉬운데, 특히 Backdrop 버전은 수요가 많아 운영차량이 제한적이라는 언급이 있다. 때문에 아침 조기 입장 직후 바로 공략하거나, 가능하면 익스프레스 패스(Express Pass)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다만 Reddit 등의 후기에 따르면 익스프레스 패스가 일반 버전에만 적용되고 Backdrop에는 별도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패스 구매 시 “Backdrop 포함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음악 선택 기능이 있다 하더라도 탑승열차마다 혹은 방향(앞 / 뒤)에 따라 선택 가능한 곡이 다르다는 정보가 있으므로 탑승 전 탑승차량이 어떤 버전인지, 음악 선택 가능 여부는 현장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카메라나 작은 소지품이 차량 탑승 중 분실되거나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용 보관함을 이용하거나 패스하려는 탑승객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 안전벨트·잠금장치를 확실히 점검하는 것이 권장된다.

건강상태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공식 안내문에는 “몸을 곧게 세울 수 없거나 목·척추에 불안이 있는 경우, 탑승할 수 없다”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으며, 반짝이는 조명, 큰 소리, 급격한 낙하 등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멀미에 민감하거나 심장이 약한 사람은 탑승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탑승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