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7:26:43

한국방송공사/사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방송공사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82b9><colcolor=#fff> 지주회사 <colbgcolor=#fff,#1f2023>e-KBS
방송 KBS미디어 (KBS America, KBS Japan) | KBS N | KBS미디어텍 | KGCS 문화산업전문회사 | 몬스터유니온
공연 · 서비스 KBS비즈니스 (방송차량서비스) | KBS아트비전 | KBS시큐리티 | KBS교향악단
}}}
||<-4><tablewidth=100%><bgcolor=#2282b9><color=#fff> 둘러보기 틀 ||
송출 채널 지역 방송국 본사 아나운서 지역 아나운서
전직 아나운서 성우 공채 탤런트 코미디언
}}}}}} ||


1. 여의도 통합 사옥 (1976. 12. 1.(본관) / 1988. 6.(신관)~현재)2. 여의도 별관 (1980. 12. 1.~현재)3. 수원센터 (2000. 11.~현재)4. 상암 미디어센터 (2007. 12.~현재)

1. 여의도 통합 사옥 (1976. 12. 1.(본관) / 1988. 6.(신관)~현재)

파일:사본%20-%20KBS전%203[1].jpg
KBS 여의도 통합 사옥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여의도동)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5px -10px -5px -10px; padding: 2.5px 0px 0px 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본관 ]
층수 Information
7 감사실, 대외협력국
6 사장실, 임원실, 비서실, 인적자원실, 노사협력주간, 대회의실
5 라디오센터장실, 라디오제작국, RS-1~17, 라디오기술국, 성우실, 남북교류협력단, 경영정보국, KBS 교향악단, KBS ON (미니박물관,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4 라디오편성기획국, 라디오생방센터, 시청자센터, 콘텐츠아카이브부, KBS ON (홍보관, 가상스튜디오, 미디어교육장, TV부조정실, 만화영화더빙, 9시 뉴스앵커)
3 TS-6~7, 인터뷰룸, 제작편집실-1~9, TV기술국, 음향디자인실, 전략기획국, 예산국, 아나운서실, 인사기획부, 제작기획2부, 제1회의실
2 TS-1~5, 라이브 스튜디오 콩, 성평등센터, 총무시설부, 보헤미안 커피
1 안전관리실, 도서관, 의무실, 치과, KBS시큐리티, 방송차량서비스
B1 본관식당, 아나운서교육장, 사진스튜디오
}}}}}}
[ 신관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0000><bgcolor=#2282b9> 층수 ||<width=90%><bgcolor=#dcdcdc> Information ||
9 시사제작국
8 제작1본부장실, 시사교양1국, 제작기획1부, 제작운영부
7 편성본부장실, 멀티플랫폼전략국, 멀티플랫폼편성국, 국제방송국, 일본 NHK 서울지국, 중국 CCTV 서울지국
6 예능센터
5 이사회, 시사교양2국, 협력제작국, 기술관리국, 미디어인프라국, 총무시설국, 국제회의실
4 보도본부장실, 통합뉴스룸 (정치국제, 경제, 디지털뉴스), 스포츠국, 해설위원실
3 NS-1~2·4, 멀티스튜디오, 재난미디어센터, 통합뉴스룸 (사회, 방송뉴스), 보도영상국, 보도그래픽부, 보도기술국
2 로비, TS-15, KBS홀, KBS아트홀
1 영상제작국, 시청자사업부, 신관식당
B1 TS-11~14, 중계기술국, 제작편집실-11·12, SMR-11~15
B2 미디어플랫폼주간, 미디어송출부
}}} ||
파일:/100/400/96/100796.jpg
KBS홀과 신관 공개홀[1]
파일:20160530_140705_HDR[1].jpg
KBS 연구동.[2][3]
파일:m_pop_img1[1].jpg
파일:128403_165187_0338[1].jpg
KBS 미래방송센터 조감도
  • 본관: 지하 1층, 지상 7층, 연면적 112,396.7m² 규모로 1976년 12월 1일 준공되었으며, 현재 전략기획실, 경영본부, 라디오센터, 아나운서실 등이 사용하고 있다. 또 견학관인 KBS ON도 4~5층에 자리잡고 있다.
  • 신관: 지하 2층, 지상 9층, 연면적 63,987m² 규모로 1988년 6월 준공되었다.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국제방송센터(IBC) 용도로 지어졌으며 현재 편성본부, 보도본부, 제작1본부, 예능센터, 기술본부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4]
  • 공개홀
  • 연구동: 지상 2~5층 규모의 건물 4동(3~5동, 관리동. 1~2동은 결번, 연면적 15,487.63m²)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7년에 완공되었다. 본래 국회 의원회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을 1990년에 양도받은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나 사택으로 생각하는 그 건물이다.[6] 현재 미디어기술연구소, 심의실 및 본사 건물에 입주하지 못한 각종 부서들의 사무실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개그콘서트 연습실도 있었으나, 종방 이후 사용되지 않고 있다.

사옥 개방은 다른 지상파 3사에 비해 개방이 자유로운 편에 속한다. 오전 5시부터 밤 12시까지 건물 개방이 된다. 출입가능 범위는 신관, 본관 1층 로비 등은 자유로이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나 라디오 스튜디오가 오픈스튜디오 방식이라서 매일밤 DJ 진행자의 팬들이 모여서 팬미팅을 하기도 한다. 주말에도 크게 문제없이 이용이 가능하긴 하나, 일부 위치는 시간이 지나면 문이 잠긴다.

2016년 고대영 사장 시절 기존의 연구동 자리에 지하 3층, 지상 8층, 연면적 66,891.30㎡ 규모의 '미래방송센터'를 세우고 이후 기존 본관과 신관을 리모델링하여 여의도 별관과 수원센터의 기능을 죄다 흡수하려 했으나,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과 이듬해 고 사장 퇴진으로 표류 상태이다. 게다가 양승동 사장 체제 이후에도 재원조달 문제가 지속되고 있고 이로 인해 관련 부서인 미래방송센터추진단이 아예 공중분해까지 되어 신사옥 건립은 사실상 무산되었다.[7]

사실 KBS의 여의도 신규 사옥 건립은 여러 번 추진된 바 있으나, 본관과 별관의 거대한 규모로 인해 번번히 무산돼왔다. 본관은 40년이 넘은 노후 건조물이지만, 연면적이 11만 제곱 미터가 넘고, 신관의 연면적은 63,000제곱미터이다. 2014년 개장한 MBC 글로벌미디어센터의 연면적조차도 15만 제곱 미터에 못미치기 때문에, KBS는 과거는 물론이고 현재까지도 신규 사옥의 필요성으로 '공간 부족'을 절대로 주장할 수 없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BS N(케이블 채널)은 2007년 기어이 상암 미디어센터를 건설해 본사를 옮겼기 때문에(#)[8] 여의도 사옥의 대규모 리모델링이나 신축은 앞으로도 쉽지 않을 것이다.

TV스튜디오는 본관에 7개(1~7), 신관에 4개(11~14), 별관에 3개(A, C, D)가 위치해 있다. 라디오스튜디오는 본관에만 있다.

2. 여의도 별관 (1980. 12. 1.~현재)

파일:KBS별관.jpg
KBS 여의도 별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59 (여의도동)

1980년 4월 준공되어 동양방송의 본사로 사용하고 있었다가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방송이 사라지자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드라마센터, 공영미디어연구소, 콘텐츠사업 관련부서, KBS 사우회, KBS한국어진흥원 사무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수원센터 (2000. 11.~현재)

파일:attachment/KBS경인방송센터/nisi20100912_0003400905_web_whdgml1239.jpg
KBS 수원센터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로 123 (인계동)

연면적 75,460.47㎡ 규모로 2000년 11월 준공되었다. 현재 드라마센터[9], KBS경인방송센터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교양 및 예능도 여기서 녹화한다. 인재개발원, 방송박물관, KBS수원아트홀도 같은 부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계동행정복지센터도 세들어서 위치하고 있다.

4. 상암 미디어센터 (2007. 12.~현재)

파일:KBS미디어센터.jpg
KBS 상암 미디어센터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45 (상암동)
{{{#!folding [ 정보 펼치기 · 접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층수 Information
21
20 몬스터유니온, 미스틱스토리, OH!BROTHERS
19 클론미디어텍
18
17 KBS 미디어 HRD센터, 유한양행 서부지점
16 대우정보시스템 e호조교육장
15 Metabranding, 태광선식, 티제이물류
14 덕은도시개발, EHK E&S, 코반
13 세이온미디어, SM C&C
12 Avnet Korea
11 아이윌미디어, 프라임운송, Avnet Korea
10 BHS Korea, 범진석갤러리, KCP
9 KBS N (정책기획본부, 마케팅본부), 에이텍에이피
8 KBS 미디어 (감사, 감사팀, 인터넷서비스부, 전략기획서비스부)
7 KBS 미디어 (노조사무실, 휴게도서실), 씨티이안, JINLIN CULTURE
6 KBS 미디어 (사장실, 부사장실, 스마트사업본부, 디지털미디어센터, 경영센터, 회의실)
5 KBS 미디어 (경영지원부, 미디어랑, 심석홀, 콘텐츠판매센터, 콘텐츠자료실, 복사실, 통신실, 체력단련실)
4 KBS 미디어 (지원사업부, 해외사업부, 국내사업부, 플랫폼사업부, 디지털제작부, 미디어커머스부, 문화교육부)
3 KBS N (사장실, 감사실, 편성제작본부, 경영관리실), KBS 방송아카데미 (강의실A~E, TV-Studio, R-Studio, 교무실, 교수실, 노조사무실)
2 KBS N (기술국, OAP실, 주조정실, 부조정실, 편집실, 녹음실, NLE실, 노조사무실)
1 KBS N SPORTS, KBS N (스튜디오, 대기실, 분장실, 소품창고), 신한은행
B1 드림디포, 상암지앤미치과의원, 드림마트, 한국미디어종합예술원
B2~B5 주차장
}}} ||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위치한 KBS 미디어센터 사옥. KBS N, 몬스터유니온 등 자회사와 계열사들이 사용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1991년 개관하였다. 본관 왼쪽에 있다. 왼쪽 전경에서는 본관과 신관 중간에 있는 동그란 건물.[2] 5동 5층에 희극인실이 있으며, 원칙적으론 KBS 공채 코미디언이면 기수와 관계 없이 언제나 방문해서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개그콘서트 방영 시기 땐 희극인실에서 출연 코미디언들이 아이디어 회의, 연습 공간으로 활용했었다. 2018년 미래방송센터 착공 전에 상반기부터 연구동을 철거할 예정이었다. 원래는 여의도 청자아파트 이름으로 설계됐다. 참고 개그맨 박대승이 연구동 5층 여자화장실에 몰래카메라를 설치하였다가 1심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3] 건너편 건물이 국회의원회관이다.[4] 이 신관 건물의 설계자는 바로 김중업이다.[5]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는 TS-15와 TS-D를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6]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 건물은 애초에 라이프주택개발이 '청자아파트'라는 이름으로 민간에 분양하기 위해 짓던 주거용 건물이었고, 실제 라이프주택개발은 청자아파트 분양 공고를 신문에 내고 입주자까지 모집했으나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국회 사무처에서 건축중이던 아파트 단지 전체를 반강제로 징발해 용도 및 설계를 변경하고 완공 후 국회의원 회관으로 사용한 것이다. 출입구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 있고 전체적인 건물 구조가 주거용에 가깝게 되어 있는 것이 본래 아파트로 계획된 건물임을 시사하는 부분.[7] 사실 연구동 자리에 지하 4층, 지상 9층, 32500평의 종합사무동을 신축하려던 계획은 1995년에도 있었다.(KBS 연감 1996)[8] 이마저도 디지털미디어시티가 서울특별시의 정책사업이었기 때문에 겨우 할 수 있었던 일이다.[9] 주 사무실, 편집실 등은 서울에 있는 별관에 위치, 수원센터는 스튜디오 위주로 사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