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03:07:27

피에르 리멜루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리 FC 2025-26 시즌 스쿼드
1 리우 · 2 올리라 · 4 마르체티 · 5 음보우 · 6 오타비우 · 7 고리 · 8 두세 · 9 죄벨스
10 케발 · 11 크라소 · 12 디코 · 13 카파로 · 14 트라오레 · 15 콜로지에이타크 · 16 은캄바디오
17 카마라 · 19 상귀 · 20 J. 로페스 · 21 M. 로페스 · 22 알라쿠치 · 26 게예 · 27 사이먼
28 드 스메트 · 29 하멜 · 31 셰르기 · 33 리멜루 · 35 트랍 · 77 펨벨레 · 93 이코네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테판 질리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피에르 리멜루의 역임 직책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2025-26 시즌 구단별 주장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켈뱅
아미앵

파일:FC 낭트 로고.svg
단테
본핌

파일:OGC 니스 로고.svg
플로리앙
소토카

파일:RC 랑스 로고.svg
아루나
상강테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
코랑탱
톨리소

파일:올랭피크 리옹 로고.svg
뱅자맹
앙드레

파일:LOSC 릴 로고.svg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데니스
자카리아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팀요테
코워지에크자크

파일:파리 FC 로고.svg
브렌단
샤도네

파일:스타드 브레스투아 29 로고.svg
로랑
아베르젤

파일:FC 로리앙 로고.svg
고티에
헤인

파일:FC 메스 로고.svg
발렌틴
론지에

파일:스타드 렌 FC 로고.svg
엠마누엘
에메가

파일: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로고.svg
피에릭
카펠

파일:앙제 SCO 로고.svg
엘리샤
오우수

파일:AJ 오세르 로고.svg
지브릴
시디베

파일:툴루즈 FC 로고.svg
마르퀴뇨스
아오아스 코헤아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
피에르 리멜루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1200px-Logo_UNFP.svg.png
}}} ||
파일:GzcTgm7XkAAw9dE.jpg
<colbgcolor=#0a1133>
파리 FC No. 33
피에르 레스멜루
Pierre Lees-Melou
<colcolor=#fff> 출생 1993년 5월 25일 ([age(1993-05-25)]세)
프랑스 누벨아키텐 주 렁공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6cm / 체중 70kg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유스 클럽 렁공 FC (2011~2013)
소속 클럽 US 레제 캐프 페레 (2013~2015)
디종 FCO II (2015~2017)
디종 FCO (2015~2017)
OGC 니스 (2017~2021)
노리치 시티 FC (2021~2022)
스타드 브레스투아 29 (2022~2025)
파리 FC (2025~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같이 보기


1. 개요

프랑스 국적의 파리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미드필더

2. 선수 경력

2.1. 디종 FCO

US 레제 캐프 페레에서 데뷔한 리멜루는 2015-16 시즌을 앞두고 디종 FCO에 입단한다.

이적 초기에는 디종 FCO II에서 활약했으나 중반부터는 A팀 경기에 자주 소집되었고 막바지에는 아예 A팀으로 정착하여 주전으로 자리잡으며 팀의 리그 1 승격을 도왔다.

2016-17 시즌, 1부리그에서도 주전으로 출전한 리멜루는 리그 32경기 동안 7골을 기록하며 중원의 에이스로 거듭났다.

2.2. OGC 니스

2017년 7월, 250만 유로에 OGC 니스에 입단한다. 그리고 네 시즌 동안 풀타임 시즌을 소화하며 니스의 주전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3. 노리치 시티 FC

이후 2021년 7월 13일,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승격팀인 노리치 시티와 3년 계약에 700만 파운드의 이적료로 이적했다.

2.3.1. 2021-22 시즌

1R 리버풀전에 선발로 나오며 데뷔전을 치렀다. 나쁘지않은 경기력을 보여줬지만 팀은 3:0 패배를 하게되었다.

2R 맨시티전에도 선발 출전했으나 썩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팀은 맨시티에게 5:0으로 패배하였다.

3R 레스터전 역시 선발 출전하였고, 후반 28분 루카스 루프와 교체되었다.

6R 에버튼전도 선발 출전하였다.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팀은 2:0으로 패배하게 되었다.

7R 번리전에도 선발 출전하여 후반 35분 루카스 루프와 교체되었다. 추가로 팀은 0:0으로 비기며 리그 첫 승점을 따냈다.

8R 브라이튼전에 선발 출전하였다.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이번 경기 또한 0:0으로 비겼다.

9R 첼시전도 선발 출전하였으나 전반전에만 3실점을 한 뒤 밀로트 라시차와 교체되었다.[1]

11R 브렌트포드전 역시 선발 출전하여 중원에서 강한 압박 상대 중원을 부스며 좋은 활약을 보였다. 추가로 팀은 2:1 승리를 하며 첫 리그 승리를 거뒀다.

이후에도 거의 매 경기 선발로 나와 활약했지만 안습한 전력을 가진 소속팀은 빠르게 EFL 챔피언십 강등을 확정짓고 말았다.

2.4. 스타드 브레스투아 29

2022년 7월 23일, 스타드 브레스투아 29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2.1M이며 3년 계약. 등번호는 20번을 배정받았다.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뛰며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고, 다음 시즌에는 리그 탑급 미드필더로 거듭나며 브레스트의 돌풍[2]에 상당한 기여했다. 이에 데뷔 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리그 1 올해의 팀에 선정되는 쾌거를 누렸다.

2024년 10월 24일,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3R에서 지난 시즌 리그 무패 우승 팀인 바이어 04 레버쿠젠을 상대로 전반 38분 멋진 발리슛을 성공시키며 동점을 만들었다. 그의 골에 힘입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나면서 강호를 상대로 귀중한 승점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2.5. 파리 FC

2025년 8월 28일, 파리 FC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5M이며 2년 계약.

3. 플레이 스타일

주로 3선에서 활약하는 미드필더로, 리멜루가 가장 두각을 드러내는 플레이는 바로 리그 내에서도 손꼽히는 오른발 킥. 공격 전개 시 수비 라인 앞에 위치하여 공을 받는데, 공을 받고 나서 시원시원한 중장거리 패스를 보내주거나, 상대 수비 여럿을 벗기는 스루패스를 넣어주는 등 빌드업 전개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킥 퀄리티가 워낙 좋다 보니, 패스 전개뿐만 아니라 간헐적으로 올라와서 위협적인 중거리 슈팅을 시도하기도 한다.

리멜루는 공격 전개뿐만 아니라, 수비적인 헌신도 또한 뛰어난 미드필더다. 공격 시에는 중원의 사령관으로서 공을 연결하고 빌드업의 방향과 템포를 조율한다면, 수비 시에는 중원에서 열심히 움직이면서 저돌적인 수비를 펼친다. 중원에서 많이 뛰어주는 것에 더해, 체격도 다부져서 적극적으로 볼 경합을 시도하거나, 1대1로 달라붙어서 상대 공격수나 미드필더가 돌아서지 못하게 만든다. 공수밸런스가 상당히 좋은 미드필더로, 2023-24 시즌 리그 앙 태클 성공 상위권, 필드 플레이어 롱패스 성공 1위를 기록하는 등 브레스트의 돌풍을 이끌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같이 보기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리 FC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0a113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1e2d,#dddddd
파리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레미 리우 25-26.png 파일:튜오마스 올리라 25-26.png 파일:뱅상 마르체티 25-26.png 파일:무스타파 음보우 25-26.png 파일:파리 FC 로고.svg
<rowcolor=#fff> 1 2 4 5 6
레미 리우
Rémy Riou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1987.08.06
2024~2025
튜오마스 올리라
Tuomas Ollila

파일:핀란드 국기.svg | DF
2000.04.25
2024~2027
뱅상 마르체티
Vincent Marchetti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7.07.04
2024~2026
무스타파 음보우
Moustapha Mbow

파일:세네갈 국기.svg | DF
2000.03.08
2023~2026
오타비우
Otávio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002.04.21
2025~2030
파일:알리마미 고리 25-26.png 파일:로한 두세 25-26.png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일:일란 케발 25-26.png 파일:장필리프 크라소 25-26.png
<rowcolor=#fff> 7 8 9 10 11
알리마미 고리
Alimami Gory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6.08.30
2022~2026
로한 두세
Lohann Doucet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2.09.14
2024~2027
윌렘 죄벨스
Willem Geubbels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1.08.16
2025~2030
일란 케발
Ilan Kebbal

파일:알제리 국기.svg | MF
1998.07.10
2023~2028
장필리프 크라소
Jean-Philippe Krasso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FW
1997.07.17
2024~2027
파일:누하 디코 25-26.png 파일:마티외 카파로 25-26.png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일:티모테 콜로지에이차크 25-26.png 파일:오베드 은캄바디오 25-26.png
<rowcolor=#fff> 12 13 14 15(C) 16
누하 디코
Nouha Dicko

파일:말리 국기.svg | FW
1992.03.14
2024~2026
마티외 카파로
Mathieu Cafaro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7.03.25
2025~2027
아마리 트라오레
Hamari Traoré

파일:말리 국기.svg | DF
1992.01.27
2025~2027
티모테 콜로지에이차크
Timothée Kolodziejczak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1.10.01
2023~2026
오베드 은캄바디오
Obed Nkambadio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2003.02.07
2023~2027
파일:아다마 카마라 25-26.png 파일:노아 상귀 25-26.png 파일:줄리앙 로페즈 25-26.png 파일:막심 로페스 25-26.png 파일:소피앙 알라쿠치 25-26.png
<rowcolor=#fff> 17 19 20 21(VC) 22
아다마 카마라
Adama Camara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6.10.18
2023~2027
노아 상귀
Nhoa Sangui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6.02.27
2025~2030
쥘리앙 로페스
Julien López

파일:알제리 국기.svg | FW
1992.03.01
2017~2026
막심 로페스
Maxime López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7.12.24
2024~2027
소피앙 알라쿠치
Sofiane Alakouch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1998.07.29
2024~2026
파일:라미네 게예 25-26.png 파일:모지스 사이먼 25-26.png 파일:티볼트 드 스메트 25-26.png 파일:피에르이브 하멜 25-26.png 파일:사미르 셰르기 25-26.png
<rowcolor=#fff> 26 27 28 29 31
라미네 게예
Lamine Gueye

파일:세네갈 국기.svg | FW
1998.03.13
2023~2026
모지스 사이먼
Moses Simon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5.07.12
2025~2028
티볼트 드 스메트
Thibault De Smet

파일:벨기에 국기.svg | DF
1998.06.05
2025~2025
피에르이브 하멜
Pierre-Yves Hamel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4.02.03
2022~2026
사미르 셰르기
Samir Chergui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9.02.06
2021~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일:앤디 펨벨레 25-26.png 파일:파리 FC 로고.svg 파일:파리 FC 로고.svg
<rowcolor=#fff> 33 35 77 93
피에르 리멜루
Pierre Lees-Melou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3.05.25
2025~2027
케빈 트랍
Kevin Trapp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90.07.08
2025~2028
앤디 펨벨레
Andy Pembél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0.07.04
2020~2026
조나단 이코네
Jonathan Ikon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8.05.02
2025~2027
구단 정보
회장: 피에르 페라시 · 감독: 스테판 질리 · 구장: 스타드 장부앵
{{{#ffffff 출처: 파일:파리 FC 로고.svg PARIS FC 공식 웹사이트 ·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리그 1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4일}}}

}}}}}}}}}}}}}}} ||

[1] 교체 이후에 팀은 4실점을 더하며 7:0으로 대패하였다...[2] 리그 3위 및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 대항전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