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01:09:59

펠릭스클레르 리델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천주교 서울대교구 엠블럼.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B0039,#7B0039><tablebgcolor=#7B0039,#7B0039>천주교 서울대교구
교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4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1831~1835)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범세형 라우렌시오

(1836~1839)
장조셉장밥티스트 페레올
(1843~1853)
시메온프랑수아 베르뇌*
장경일 시메온
(1854~1866)
앙투안마리니콜라 다블뤼*
안돈이 안토니오
(1866)
<rowcolor=#fff,#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펠릭스클레르 리델
이복명 펠릭스

(1869~1884)
마리장귀스타브 블랑
백규삼 마리오
(1884~1890)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민덕효 구스타보

(1890~1933)
아드리앙장 라리보
원형근 하드리아노

(1933~1942)
노기남 바오로
(1942~1967)
<rowcolor=#fff,#fff> 교구장 서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윤공희 빅토리노
(1967~1968)
김수환 스테파노
(1968~1998)
정진석 니콜라오
(1998~2012)
염수정 안드레아
(2012~2021)
정순택 베드로
(2021~)
}}}}}}}}}
<colbgcolor=#7B0039><colcolor=#fff> 제6대 천주교 조선대목구장
이복명 리델
李福明 | Félix-Clair Ridel
M.E.P.
파일:이복명주교.png
본명 펠릭스클레르 리델
(Félix-Clair Ridel)
출생 1830년 7월 7일
프랑스 왕국 낭트
선종 1884년 6월 20일 (향년 53세)
일본 제국 나가사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재임기간 제6대 조선대목구장
1870년 6월 5일 ~ 1884년 6월 20일
주교 임명일 1870년 6월 5일 대목구장 임명 (필리포폴리스 명의 주교)
링크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창작물에서
3.1. 드라마 닥터 진에서
4. 같이보기

1. 개요

프랑스 낭트 출생의 가톨릭 주교로 제6대 조선대목구장을 역임했다. 한국식 이름은 이복명(李福明).[1]

2. 생애

1857년에 사제품을 받고 1859년에 파리 외방전교회에 입회했으며, 1860년 7월 조선 선교사로 파견 임명되어 조선을 향해 출발했다. 1861년 랑드르[2] 신부, 조안노[3] 신부 등과 함께 조선에 입국해 충청도 공주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고,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날 때 살아남아 청나라로 탈출했다. 7월 6일 추푸 항에 도착, 프랑스 함대 사령관인 피에르 로즈 제독이 톈진에 주재하고 있자 한국 가톨릭교회의 실정과 프랑스인 사제들의 순교 소식을 전한다.

살아남은 페롱 신부와 칼레 신부의 보호를 위해 프랑스 해군 함대 출항을 요청했다. 이에 피에르귀스타브 로즈 제독인도차이나에서 일어난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출격한 주력 함대가 귀환하는 대로 조선을 공격하기로 하고 조선인 신자들과 함께 승선해 길 안내를 하면서, 결국에는 병인양요가 일어난다.

1869년 제6대 조선대목구(지금의 천주교 서울대교구)장으로 임명되어 주교로서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석했으며, 1877년에 조선에 입국했지만 7개월 만에 체포되면서 감옥에 갇혔다. 이때 자신의 수감 생활과 회고록을 담은 《나의 서울 감옥 생활 1878》을 저술했다.

이후 청나라의 주선으로 석방되어 만주로 추방되었다가 일본으로 건너가서 한불자전[4], 한어문전 등을 저술해 1880년 나가사키에서 간행했다. 그러나 결국 조선 땅에 다시 발을 딛지는 못한 채 1884년에 일본에서 선종했다. 그의 사후 2년이 지난 1886년에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고, 이때부터 한국에서도 가톨릭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었다. 을사 추조 적발 사건 때 순교한 김범우 토마스를 필두로 그 숫자를 추산하기조차 힘든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한 지 101년 만의 일이었다. 언어학에서 업적을 남기고 파리외방전교회 설립의 단초를 제공한 220여 년 전의 베트남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 신부를 연상케 하는 말년이다.


유튜브 채널에서 다룬 리델 신부의 이야기
"아!! 이 아름다운 조선이 얼마나 오래 전부터 카타콤 속에서 살아왔던가!! 또 얼마나 많은 박해를 겪었던가!! 그런데 지금도 여전히 단말마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지 않은가!! 고통과 눈물 속에서 신음하고 있다. 얼마나 많은 파괴가 있었던가!! 이 얼마나 긴 순교자의 행렬인가!! 그런데 이제 나까지 또 어쩔 수 없이 멀리 떠나야만 하는가!! 우리 신자들은 앞으로 어떻게 되나?? 나의 동료 신부님들은 어떻게 될까??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큰 고통과 얼마나 큰 불안감을 그들은 겪었을까!! 하느님, 당신의 거룩하신 뜻이 모두 이루어지소서!! 당신이 원하시는 방법으로 저를 이끄소서!! 저는 온전히 당신의 것[5]이며 영원히 당신의 것이고, 저는 저희의 선하신 스승님을 따라서 더 큰 고통도 참고 받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온전히 순명하여, 저의 모든 생각의 규범과 모든 행동의 규범을 당신의 거룩하신 뜻에 맞추고, 당신의 더욱 큰 영광을 위하여, 당신의 사랑을 위하여, 고난의 잔을 마지막 한 방울까지 마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는 극진한 대우를 받아서, 나를 호송해 준 이들에 대하여 불평할 것이 조금도 없습니다. 나는 그분들에게 감사할 뿐이고, 또 조선 정부에도 감사를 드립니다. 나에게 베풀어 주신 이 호의로 나는 천만 번 더 조선을 사랑하는 마음이 드니, 이토록 아름다운 나라와 나를 위하여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않았던 이 나라 백성들의 곁을 떠날 수밖에 없는 회한이 더욱 커질 뿐입니다. 부디 언젠가 조선 정부가 우리에게 입국을 허락하는 날[6]이 오기를 희망하며, 그런 날이 오면 나는 반갑게 다시 달려오겠습니다."
우리는 무사히 을 건너 첫 번째 섬에 닿았다. 그 섬의 한쪽에서는 조선의 대형 선박들이 오르내리고 있었고, 섬의 다른 쪽, 즉 같은 강의 다른 지류 쪽으로는 수없이 많은 중국 배들의 돛이 강 위를 누비고 다니는 것이 보였다. 뭍으로 올라온 나는 다시 한 번 뒤를 돌아 이 아름다운 조선, 나의 사랑하는 선교지를 한참 동안 바라보았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경치인가!! 얼마나 눈부시게 아름다운 전경인가!! 그것은 마치 어쩔 수 없이 작별해야 하는 나에게 보내는 조선의 미소와도 같았다. 나는 마음속으로 조선을 포옹하며, "잘 있어라!! 곧 다시 보자!!"라며 조선을 향하여 나의 가장 다정한 강복을 주었다.
《나의 서울 감옥 생활 1878》中

3. 창작물에서

병인양요와 관련있는 인물이다보니 최근 한국에서 나오는 대역물에는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3.1. 드라마 닥터 진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델(닥터 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델(닥터 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델(닥터 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같이보기


[1] 많은 초창기 선교사들은 한국어 이름을 정할 때 성씨 또는 세례명을 한국어 및 중국어로 적당히만 음차하여 만드는 경우가 많았는데, 리델 주교는 자신의 성명과 라틴어 어원의 뜻을 매치시킨 한자 인명인 복명(福明)을 지었다. 이런 언어적 감각은 훗날 조선에서 추방된 후에도 한불자전의 편찬으로 이어진다.[2] 1863년 9월 16일 병으로 사망.[3] 1863년 4월 13일 폐결핵으로 사망.[4] 최초의 한불사전이다. 참고로 최초의 불한사전은 1901년 샤를 알레베크가 편찬하였다.[5] 라틴어로 Totus tuus ego sum이라 한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목 표어이기도 하다.[6]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면서, 프랑스인 사제들과 수도자들의 선교 활동이 허용되었다.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종교의 자유가 전적으로 보장되는 것은 더 시간이 흐른 후의 일이었지만, 당시 조선의 천주교 선교는 프랑스인 신부들이 주도했기 때문에 조선의 천주교 신자들은 사실상 이 조약을 기점으로 백여 년에 걸친 참혹한 박해의 세월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