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7f59e9> 역사 | <colcolor=#000,#fff>진국 · 준왕 (준왕의 마한 정복) · 삼한 (마한 · 진한 · 변한) · 삼한정통론 |
정치·외교 | 삼한의 군장 · 고조선-진국 관계 | |
수장국 | 만경강 유역 소국 · 건마국 · 목지국 | |
구성국 | 마한의 국가 · 진한의 국가 · 변한의 국가 | |
건축 | 고인돌 · 소도 · 여·철자형 주거지 | |
문화 | 비파형 동검 · 세형 동검 · 팔주령 · 정문경 · 거친무늬거울 · 상투 · 솟대 · 덩이쇠 |
1. 개요
팔주령(八珠鈴)ㆍ팔두령(八頭鈴)ㆍ팔령구(八鈴具)ㆍ가지방울 등으로 부른다. 석관묘(石棺墓) 같은 무덤에서 한 쌍으로 나오곤 하는데, 한반도에서만 발견되는, 모양새가 특이한 방울이다.2. 상세
백제 마한시대의 청동유물로 분류되는 팔주령은 제작시기는 초기철기 시대인 서기전 3~1세기라고 추정한다. 또한 구슬 8개에 태양을 본뜬 형태임이 가장 큰 특징인데, 최남선은 청동검ㆍ청동거울과 함께 청동방울을 천부인의 하나라고 주장했다.[1]3. 의례용 청동방울
팔주령이 발견된 백제의 마한 지역은 농사와 관련된 시기마다 하늘에 제사를 드렸다는 기록이 있다. 하늘, 또는 태양에 제사를 지내던 마한의 주술사들이 제사에서 사용하고자 청동방울을 태양 모양으로 제작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당시 마한에서는 신령의 뜻을 알아야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다고 여겨 주술사가 중재자 역할을 하였는데, 팔주령은 당시 마한의 샤머니즘과 연관지어 당시 마한의 신에게 올리는 제사에서 의례용으로 사용됨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마한 사람들이 제사를 지내던 장소인 소도에는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았다는 기록이 전해진다.4. 특징
상기하듯 비슷한 시기의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출토되지 않고 유일하게 한반도에서만 발견된 우리나라 특유의 유물이다. 이를 근거로 팔주령은 청동검, 청동거울과 함께 창작물에서 천부인 중 하나로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당시 고대국가와 주술적 샤머니즘과 관련되어 검과 거울과 방울을 선택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오목한 불가사리꼴 모양에 태양을 상징하는 형태의 여덟 방향 방사꼴로 퍼진 돌기 끝에 둥근 방울이 하나씩 달린, 마치 태양과도 비슷한 형상이다. 앞면에는 거친민무늬거울처럼 고사리 무늬[2]로 청동기시대 무늬인 기하학적 무늬가 가득 새겨졌다. 뒷면은 민무늬이고 중앙에는 끈을 꿸 수 있는 반원형 작은 고리가 달렸다. 또한 방울은 뒷쪽이 납작한 만두형으로 각각 2개씩 투공이 뚫렸다. 그림에서처럼 초록색뿐만 아니라 노란색, 자주색 등 다양한 색깔이 있다.
팔주령과 유사한 소재로는 배불림된 둥근 청동막대 양끝으로 방울이 달리거나 막대를 둥글게 굽혀 서로 엇갈리게 한 쌍두령, 부채꼴을 한 오두령, 장대 끝에다가 꽂아서 사용하는 간두령 등이 존재한다.
5. 대중매체
대중매체에서는 대체로 언급이 안 된 물건이라 그다지 안 알려졌는데, 2005년 어린이 역사 드라마 점프 시리즈에서 소개되었다. 드라마에서는 매우 중요한 아이템인데 이 팔주령이 과거의 시간으로 가는 타임머신과 같은 역할을 한다. 물론 원래 용도였던 제사용으로 사용하는 에피소드가 있다.1990년대에 웅진에서 나온 총 18권짜리 <한국의 역사> 시리즈(이희재 화백이 대표작화를 맡음)에서는 이 물건의 용례가 비교적 자세히(정확히는 천부인 모두) 그려진다. 마을의 족장이 의식을 치르면서 청동검을 휘두르고, 팔주령을 손에 쥐고 쩔그렁거리며 춤을 추다가 마지막에는 청동거울을 들어 햇빛을 번쩍번쩍하게 반사시킨다. 그 때 신탁을 얻어 마을사람들을 규합하고 적대하는 이웃 마을과의 전투의지를 다진다.
섬네일에서 주인공이 들고 있는 물건. 동영상에서는 0:13초부터 등장
묘하게도
아스달 연대기에서 아사신이 남긴 보물의 정체가 바로 이 물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