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1:37:17

파르살루스 전투

파르살루스 회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0201, #a00201 20%, #a00201 80%, #800201)"{{{#!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00201><tablebgcolor=#a00201> 파일:카이사르 투명.svgCAIVS IVLIVS CAESAR
율리우스 카이사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대중매체
가족관계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b0000>가족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어머니 아우렐리아 코타 · 고모부 가이우스 마리우스 · 첫째 아내 코르넬리아 킨나 · 둘째 아내 폼페이아 술라 · 셋째 아내 칼푸르니아 · 딸 율리아 · 양아들 옥타비아누스 · 사생아 카이사리온
전투
<colbgcolor=#fff,#1f2023>일레르다 전투 · 디라키움 공방전 · 파르살루스 전투 · 알렉산드리아 전쟁 · 젤라 전투 · 탑수스 전투 · 문다 전투 · 코르도바 공방전
대외 전쟁 갈리아 전쟁
휘하 군단 3군단 갈리카 · 4군단 마케도니카 · 5군단 알라우다에 · 6군단 페라타 · 7군단 클라우디아 · 8군단 갈리카 · 9군단 히스파나 · 10군단 에퀴스트리스 · 11군단 클라우디아 · 12군단 빅트리스 · 13군단 게미나 · 14군단 게미나
관련 기록 갈리아 전기 · 내전기
기타
정책 삼두정치,(로마 공화정의 삼두정치), · 독재관
사건 · 사고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사건
기타 율리우스력 · 카이사르(칭호),(차르 · 카이저),
}}}}}}}}} ||

카이사르의 내전의 전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전선
코르피니움 공방전 브룬디시움 공방전
마실리아 - 히스파니아 전선
마실리아 공방전 타우로엔토 해전 일레르다 전투
1차 아프리카 전선
우티카 전투 바그라다스 전투
발칸 전선
쿠릭타 공방전 살로나 공방전 오리쿰 공방전 디라키움 공방전
곰피 공방전 파르살루스 전투 타우리스 해전
이집트 - 아시아 전선
알렉산드리아 전쟁 니코폴리스 전투 젤라 전투
2차 아프리카 전선
루스피나 전투 아스쿠룸 전투 탑수스 전투 히포 레기우스 해전
2차 히스파니아 전선
카르테이아 해전 문다 전투 코르도바 공방전 라우로 전투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바수스의 반란
아파메이아 공방전 }}}
파르살루스 전투
영어: Battle of Pharsalus
시기 기원전 48년 8월 9일
장소 그리스 파르살루스
원인 카이사르의 내전의 일부
교전 세력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카이사르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폼페이우스
지휘관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1]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티투스 라비에누스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 스키피오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크루스
병력 총원: 23,000명
군단병: 22,000명
기병: 1,000기
총원: 41,000 ~ 43,000명
군단병: 36,000명
기병: 5,000 ~ 7,000기
피해 사망: 200 ~ 1,200명사망: 6,000명
결과 카이사르의 승리.
영향 폼페이우스의 죽음과 카이사르의 내전의 종결.
클레오파트라 7세의 파라오 즉위.

1. 개요2. 배경3. 양 진영의 규모 비교4. 전선 배치5. 회전6. 결과

1. 개요

파르살루스 전투는 율리우스 카이사르폼페이우스 사이에 벌어진 내전의 최후를 결정지었다고 할 수 있는 전투로, 기원전 48년 8월 9일 그리스의 파르살루스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큰 수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던 폼페이우스의 군대를 격파한 카이사르는 이 시점부터 로마 내전의 승리자로 설 수 있었다. 사실상 로마 공화정은 여기서 끝장났다고 봐도 된다.

2. 배경

내전 발발 이후 폼페이우스는 압도적인 해군력에서의 우위를 바탕으로 그리스 방향으로 이동, 대규모의 군대를 편성하게 된다. 해군력에서의 열세로 인해 당장 그리스로의 출격이 불가능했던 카이사르는 로마 입성 이후 집정관에 선출되어 자신의 법적 지위를 확보한 이후 지금의 스페인 지역에 해당하는 히스파니아 속주를 평정하여 폼페이우스가 구성한 범 지중해적인 포위망의 한 귀퉁이를 무너뜨린다.

그와 비슷한 시점, 때마침 폼페이우스의 함대를 지휘하고 있던 사령관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가 열병으로 사망하면서 잠시 그리스 일대에 대해 펼친 폼페이우스의 저지망에 구멍이 뚫리게 되었고 이 틈을 타 카이사르는 아드리아 해를 건너 그리스에 상륙했다. 하지만 여전히 해군력에서 압도적인 열세를 겪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었고, 카이사르는 보급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폼페이우스의 보급 거점인 디라키움에 대해 포위 공세를 취했다. 하지만 디라키움 공방전은 사실상 폼페이우스의 승리로 끝나고, 이 전투를 기점으로 공세의 주도권은 폼페이우스에게 넘어갔다.

포위를 풀고 테살리아 지방으로 이동하는 카이사르를 폼페이우스는 추격했고, 결국 폼페이우스는 카이사르와 파르살루스 평원에서 대치한다. 사실상 양군의 모든 것을 건, 로마 공화정의 미래를 건 한 판 승부가 벌어진다.

3. 양 진영의 규모 비교

수적으로는 폼페이우스가 압도적인 우세를 가졌다. 역사상 로마군이 자신들보다 몇 배 많은 병력을 가진 적들을 이긴 적은 많으나 이번에는 이미 망치와 모루 전술을 익숙하게 습득한 로마군로마군이 싸우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2배 넘게 차이나는 보병 전력도 문제인데 7:1 수준의 압도적인 기병 전력 열세(!)는 절망적인 수준이었다.

그나마 카이사르 측에게 유리했던 것은 카이사르의 휘하 군대는 얼마 전까지 오랜 전쟁을 치르며 경험을 쌓아 대부분이 고참 정예병이었으나 폼페이우스군은 지휘관 폼페이우스부터가 전투 지휘에서 손을 뗀 지 오래되었고, 휘하 군대도 경험이 극도로 부족했다는 점이었다.[2]

4. 전선 배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ttle_of_Pharsalus.png

폼페이우스는 좌익에 기병을 집중 배치했고, 중무장 보병을 크게 3분하여 좌익에 한때 카이사르의 휘하에서 싸웠던 1군단과 3군단(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가 지휘),[3] 중앙부에 시리아 주둔군(메텔루스 스키피오), 우익(루키우스 아프라니우스 혹은 렌툴루스)에 킬리키아 주둔군과 로마식으로 훈련된 히스파니아 용병들을 포진시켰다. 좌익 끝에는 라비에누스가 지휘하는 6400기의 기병이 집결해 있었다. 전형적인 망치와 모루 전술 형태의 배치였다.

카이사르 역시 비슷한 편성을 취했다. 우익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10군단, 좌익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8, 9군단, 중앙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가 맡았다.

단 우익의 경우 술라는 명목상의 지휘관이었고, 카이사르가 10군단과 함께 전투 내내 그곳에 머물며 중요한 전술적 결정을 직접 내렸다.[4] 절대적인 기병 전력에서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고참병 2천여 명을 따로 분리해 별동대를 편성했고, 기병과 경보병을 결합해 폼페이우스의 기병을 차단하고자 시도했으며, 이 시도는 회전에서 제대로 먹혀들었다.

5. 회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ttle_of_Pharsalus%2C_48_BC.png

8월 9일 카이사르의 선제공격으로 전투에 불이 붙었다. 카이사르군의 주력인 중무장 보병대가 폼페이우스군을 향해 돌격하기 시작했다.

서로의 포진 사이에 상당한 거리가 있었기에 폼페이우스는 돌격하지 말고 대기하고 있다가 먼 거리를 질주해 와서 지친 카이사르군을 요격하려 했지만, 카이사르군 보병대는 폼페이우스의 부대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보고 돌격을 잠시 멈춘 후 전열을 가다듬어 돌격을 재개했다. 최고 지휘관의 명령 없이 자체 판단으로 돌격을 멈추고 전열을 가다듬고 돌격을 재개한 이 사례는 카이사르 군단병들의 숙련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폼페이우스의 계획은 여기서 일단 한 번 어그러졌다.

어쨌든 당시 지중해 최고의 정예라고 할 수 있는 카이사르군 중무장 보병의 맹공이었지만, 수적으로 월등히 앞서는 폼페이우스군의 보병대는 그 돌격을 그럭저럭 막아낼 수 있었다. 여기서 폼페이우스는 승부수를 던졌다. 폼페이우스는 티투스 라비에누스가 지휘하는 7천여 기에 이르는 대규모 기병대를 돌격시켜 거대한 망치를 휘둘렀다. 이 전략 자체는 정석에 충실한 것으로, 라비에누스도 카이사르 밑에서 8년간 갈리아 전쟁을 치르고 온 경험이 풍부한 장군이었으므로, 폼페이우스의 상대가 평범한 지휘관이거나 폼페이우스 측의 병사들이 카이사르의 의중을 파악은 못해도 임기응변으로 대처할 만큼의 경험이 있었다면 승리했을 것이다.

그러나 폼페이우스 기병들의 수준은 낮은 편이었고, 카이사르는 이를 이용해 투석병을 기병 뒤에 태워 도발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경험이 부족하고 수준 낮은 폼페이우스 기병들은 그 도발에 넘어갔고, 그들이 카이사르 기병을 따라잡을 즈음 별동대 2천 명의 창병이 매복하고 있다가 폼페이우스 기병들을 기습하면서 아비규환에 빠졌다.[5]

물론 수가 많아서 섬멸하지는 못했지만 라비에누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번 무너진 전열을 재조직하지 못해 기병이 보병을 지원하는 일은 실패했고, 그 결과 폼페이우스군의 좌익이 뻥 뚫리는 결과를 낳았다. 카이사르는 즉시 적의 좌익으로 찔러 들어가 돌파했다. 그다음 카이사르는 기병대와 예비대를 동원해 폼페이우스군의 우측으로 돌아 들어가면서 포위 섬멸을 위한 진형을 형성하고 공격을 개시했다.

결국 폼페이우스군은 압도적인 수적 우위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후퇴했다. 그나마 카이사르의 병력이 부족했고, 폼페이우스 군대를 자기 병력으로 끌어들여 상비군으로 삼으려는 카이사르의 의도로 인해 전멸은 면할 수 있었다.

카이사르군의 전사자는 2백여 명, 폼페이우스군은 1만 5천여 명 또는 6천여 명이 전사하고[6] 2만 4천여 명이 포로로 잡혔다. 카이사르의 압승이었고, 내전은 사실상 이 시점에서 종막으로 접어든다.

6. 결과

폼페이우스는 기병대와 좌익이 뚫리는 것을 보고 즉시 말을 가지고 오게 해서 전선을 이탈했으며, 다른 원로원 의원들도 함께 도주했다. 왜 이렇게 빨리 도망간지는 폼페이우스가 남긴 기록이 없으니 알 수 없으나, 그 상태에서 카이사르에게 잡히기 전 근거를 두고 있는 동방의 병력들을 긁어 모아 재회전을 노린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회전의 결과를 본 다른 속주들이 폼페이우스에게 협조하기를 거부하면서, 폼페이우스는 이집트로 넘어가 권토중래를 노리게 된다. 또한 카이사르는 내전의 확대를 막기 위해 폼페이우스를 추격해 이집트로 향한다.

당시 이집트는 저 유명한 클레오파트라 7세프톨레마이오스 13세의 권력 투쟁 중이었기 때문에, 프톨레마이오스 13세 측은 폼페이우스가 다시 카이사르와 내전을 벌이면 자신들의 세력이 소모될 것을 우려하였다. 결국 그들은 카이사르의 환심을 사기 위해 폼페이우스를 암살하였고, 그의 목은 카이사르에게 보내진다.

그러나 승자에게 바치는 선물이라며 이집트가 들고 온 폼페이우스의 목을 본 카이사르는 매우 슬퍼했고, 이를 빌미로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전쟁을 벌여 개박살을 내버린다.[7] 이때 프톨레마이오스 13세와 대적하던 클레오파트라 7세가 이끄는 세력은 카이사르에게 협력하였고, 클레오파트라는 이후 이집트의 여성 파라오가 된다.


[1]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조카.[2] 다만 폼페이우스 휘하에도 갈리아 전쟁 때 종군한 카이사르의 군대가 있기는 했다. 그 외에도 과거 폼페이우스를 따랐던 약 2천 명의 에보카티, 즉 퇴역한 뒤 다시 복무한 군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실제로 전선을 유지하며 잘 싸웠으나, 숫자가 적었고 원체 나이가 많았던지라...[3]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 당시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는 휘하 군단을 크라수스 휘하에 파견할 것을 결의했는데, 이에 카이사르가 독박(...)을 쓴 셈이 되었다. 과거 폼페이우스의 군단 편성 권한을 빌려 편성한 군단을 폼페이우스가 파견한다고 선언한 것(...). 결국 카이사르는 자신의 군단을 빼앗긴 셈이 되었다. 물론 이 군단들은 폼페이우스가 꽉 틀어쥔 돌이 되었다.[4] 사실상 군대 전체 지휘를 카이사르가 했다고 보는 편이 옳다. 안토니우스는 그렇다고 치더라도, 술라나 칼비누스 둘 다 군사적으로 뛰어난 편이 아니었다. 특히 도미티우스는 이 전쟁 이후에 짬이 좀 찼는데도 불구하고 몇 번이나 참패를 당했다. 그러나 처음부터 카이사르 편에 섰던 몇 안 되는 귀족 가문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옥타비아누스 시절까지 중용받았다.[5] 당연하지만 말은 뾰족한 것을 매우 싫어한다. 2천이나 되는 보병대가 창을 앞세워 기습했으니 라비에누스의 기병대는 창에 찔려죽거나 투석병들이 던지는 돌에 맞아죽을 수 밖에 없었다.[6] 전자는 내전기의 기록, 후자는 폴리오의 기록을 인용한 플루타르코스의 기록. 단, 내전기 기록에 따르면 백인대장이 30명이 전사했다. 그만큼 치열한 격전이었던 셈.[7] 카이사르 본인이 진심으로 슬퍼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당시 로마의 오랜 전통인 파트로누스-클리엔테스 관계에서 클리엔테스인 이집트가 자신들의 파트로누스인 폼페이우스를 죽였다는 사실은 로마인들에게 있어서는 패륜과 맞먹는 엄청난 충격이었다. 이집트를 징벌해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