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30 03:00:36

탁주/북한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양조주 맥주 · 포도주 · 탁주
증류주 소주 ( 금술 ) · 위스키 · 보드카
혼성주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리큐르 들쭉술 · 개성고려인삼술 · 뱀술 · 령지술 · 송이버섯술 · 장뇌삼술
브랜디 인풍술 · 백로술
둘러보기

공휴일 | | 스마트폰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막걸리집.jpg

1. 개요2. 상세3. 여담4. 종류

1. 개요

북한에서 생산되는 탁주를 다룬다. 현재 북한에서 생산되는 탁주류는 몇 종류의 막걸리가 전부다. 하필 막걸리가 유명한 지역이 남쪽의 사리원 같은 탈북민을 찾기 어려운 지역이라 정보를 얻기 힘들다.

2. 상세

원래 북한 지역에서는 곡창지대[1]황해도 일대를 제외하고 막걸리보다는 소주가 많이 소비되어왔고 그런 기조가 분단 이후에는 더욱 가속화되었다.[2] 물론 북한 초기에 막걸리는 특색있는 서민주로서 어느정도의 입지는 있었고, 특히 황해도 지역에서는 북한 치하에서도 명맥이 끊기지는 않았다.

그러나 70년대 들어 북한의 악화된 쌀 사정, 유통망으로 인해 막걸리보다는 돈이되는 소주 생산에 치중하면서 북한의 막걸리 생산은 최근까지 매우 위축되어 있었다.[3] 황해북도의 사리원에서는 2010년대 기준 '40년 동안' 막걸리를 생산한 사람도 있다고 하는데 북쪽에서는 이런 사정을 거의 알지 못했다. #

그나마 2000년대 들어 한민족의 전통주라며 북한 정부 차원의 막걸리 띄우기가 실시됨에 따라 어느정도 유의미한 생산이 시작되었다. 한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막걸리가 활발하게 생산, 소비되고 있기도 했고, 정주영 회장이 방북할 때 막걸리를 가져간 것 역시 북한의 막걸리 생산에 자극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3. 여담

  • 2012년 새로 신설된 북한의 '비물질민족유산'에도 막걸리 담그기가 등재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한국의 무형문화재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
  • 예전에 금강산 관광이 이루어질 때는 한국 관광객을 상대로도 판매에 나섰었다. 물론 관광 중단 이후엔 얄짤없이 다른 북한술들 이상으로 구하기 힘들어졌다. #

4. 종류

  • 청향막걸리(삼일포수출품가공공장) - 알콜함량 12%의 막걸리로 한국에 비해 도수가 높은 편이다. 물을 적게 섞었는지 많이 진하고 걸죽한 느낌이 난다고 한다.
  • 대봉막걸리
  • 락백막걸리
  • 문수식당 막걸리
  • 경계막걸리
  • 삼일포막걸리

[1] 특히 재령군의 재령평야는 면적으로 보면 분단 전에는 호남평야 다음 가는 평야였다. 이곳에서 태어난 송해는 생전에 고향을 쌀이 많은 풍요로운 고장으로 인식했다.[2] 막걸리 외의 탁주류는 한국과 비슷하게 거의 전멸한 상황이었다.[3] 민간에서 쌀뜨물이나 옥수수로 간간히 해먹기는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