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퀴즈(Quiz)는 지식, 능력 또는 이해도를 시험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질문에 올바르게 답하는 형태의 놀이, 시합 또는 간략한 평가를 의미한다. 개인이 참여하거나 여러 명이 팀을 이루어 진행하기도 하며, 교육 현장에서 학습 내용을 점검하는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단어의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나, 오늘날에는 라틴어 'Qui es?'(당신은 누구입니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과거 구두 시험에서 첫 질문으로 사용되었던 데서 비롯되었다는 설명이다. 18세기 후반에 '괴상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먼저 사용되었다는 기록도 있으며, 하루 만에 단어를 유행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제임스 달리의 일화는 널리 알려진 전설이지만 사실일 가능성은 낮다.
퀴즈는 그 형태와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특정 분야의 지식을 묻는 상식 퀴즈나 트리비아(Trivia)가 가장 일반적이며, 객관식, 주관식, OX 퀴즈 등 문제 형식에 따른 분류도 가능하다. 또한, 참가자의 성향이나 특성을 파악하는 심리 퀴즈(Personality Quiz), 빠른 답변을 겨루는 스피드 퀴즈, 방송 프로그램 형식의 퀴즈 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실시간으로 다수의 참여자가 정답이나 의견을 선택하는 형태의 퀴즈도 등장했다.
여러 언어권에서 '퀴즈'라는 외래어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며, 각 문화권의 특성에 맞춰 발전된 퀴즈 문화나 고유의 명칭이 존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퀴즈를 스포츠의 한 형태로 여기는 '경기 퀴즈' 문화가 발달하기도 했다.
1.1. 정답퀴즈
퀴즈의 유형중에 가장 오래된 퀴즈유형이다. 퀴즈자체에 정답이 있고, 누군가는 출제하고, 상대방은 맞혀야 하는 일종의 지적 게임에 사용된다. 지식퀴즈, 상식퀴즈, 비상식퀴즈 등으로 나뉜다.지식퀴즈
지식퀴즈는 학문분야의 사실적인 지식, 혹은 전문 업무분야의 전문지식을 묻는 퀴즈이다. 학교에서는 학문분야의 지식을 묻는 퀴즈를 생각할 수 있고, 회사연수등을 위한 실무지식 퀴즈등이 이에 해당된다. 우리말겨루기 등이 대표적인 지식퀴즈를 활용한 퀴즈쇼가 된다. 지식의 수준을 겨루고,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형태로 사용되며 오락성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Q1. 상대성이론을 발명한 과학자는? (답. 아인슈타인)
상식퀴즈
상식퀴즈는 엄밀한 학문적 분야나 업무분야의 전문지식을 제외하고 일상적인 생활과 관련된 퀴즈이다. 사람들의 관찰력이나, 관심도를 겨루는 퀴즈게임에 적합하다. 전문적인 가치가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은 약하지만 오락성은 다소 높다. 지식퀴즈와 상식퀴즈의 경계가 애매한 문제들도 존재한다.
Q1. 삼프티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가수들의 원래 소속팀은? (답:피프티피프티)
비상식퀴즈 넌센스 퀴즈라고도 하는데, 논리적으로 딱 맞는 답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그럴듯한 추론으로 인정할 수 있는 답을 묻는 퀴즈이다. 일부 사람들은 비상식퀴즈만을 퀴즈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Q1. 아침엔 네발, 점심엔 2발 저녁엔 3발로 걷는 동물은? (정답: 인간)
Q2. 초록 주머니에는 은화가 열냥, 빨강 주머니에는 금화가 열냥인 것은? (정답:고추)
비상식퀴즈는 사람들의 재치와 기지를 겨루는 퀴즈로, 상대를 속이기 위한 기만술이 적용되는 독특한 퀴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수수께끼"라고 불리기도 하며, 오락성이 상당히 높다.
1.2. 투표퀴즈
투표퀴즈는 2010년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로 라이브퀴즈앱의 등장으로 나타난 새로운 퀴즈형식이다. 정해진 정답이 없다는 점과 사람들의 기지와 재치를 겨루는 퀴즈라는 측면을 놓고 볼때 비상식퀴즈에 비견할 수 있으며, 퀴즈형식의 게이미피케이션을 포함하면서도 다중의 인식조사를 겸한 토크게임형식에 사용되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개발한 세계최초의 라이브 퀴즈앱인 땡기지에서 최초로 선보였다. 이후 늦게 서비스를 시작한 라이브 퀴즈앱 후발 플랫폼 가운데 일부가 서비스를 제공했다.투표퀴즈는 사람들이 퀴즈에 참여하고, 퀴즈 결과를 알아맞히는 형태의 퀴즈이다. 애초부터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고, 투표를 통해서 정답을 정해지는 퀴즈방식이다. 투표퀴즈는 대부분 객관식으로 출제된다.
밸런스 퀴즈
많은 선택을 받은 답이 정답이 되는 퀴즈방식이다. 라이브 퀴즈앱을 이용한 최초의 밸런스 퀴즈는 KBS가 2014년 제작한 나를따르라방송이었으며 땡기지앱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2가지 선택지가 있는 딜레마 퀴즈가 제시되면 시청자들은 한가지 답에 투표를 했다. 투표한 결과 많은 사람의 선택을 받은 선택지를 정답으로 정했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자신의 의견에 투표하기 보다는 패널들의 말을 듣고 어떤 것이 많은 선택을 받을지 고민하면서 투표하게 되는 역선택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참가자가 자신의 의견에 반하여 투표할 수 있는 역선택 문제로 인해, 투표데이터의 분석가치가 없다는 평가였으나, 예능토크게임으로서는 상당한 완성도를 보였고, 4만명의 시청자가 동시에 참여할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Q. 다음에 다시 태어난다면... 여자 vs 남자 (많은 선택을 받는 선택지가 정답)
Q. 타이머신을 한번 탈수 있다면... 과거 vs 미래 (많은 선택을 받은 선택지가 정답)
투표순위퀴즈
투표결과 순위 값을 맞히는 퀴즈방식이다.
2016년 EBS 과학퀴즈쇼 "간다면간다"에서 최초로 선보인 퀴즈형식이다. 여러개의 선택지를 넣고, 투표를 한 후에, 투표결과 많이 나오는 것 순으로 숫자를 답하는 방식이었다.
P. 다음중 초등학교 1학년 입학선물로 가장 좋은것은? (컴퓨터, 휴대폰, 게임기)
Q. 많이 선택된 순서로 숫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
참가자는 자신의 의견을 선택한 후 많이 나올 것으로 예측되는 항목의 순서를 차례대로 정해서 321, 312 등의 숫자를 입력하여 결과를 예측하도록 했다. 이 형식의 퀴즈는 EBS과학퀴즈쇼 <간다면간다>에서 수차례 사용했으나, 사람들이 복잡하게 생각해서 오래 사용하지 않았다.Q. 많이 선택된 순서로 숫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
또다른 투표순위퀴즈는 동일한 선택지를 갖지만 질문지는 다른 두개의 질문을 던지는 방식의 투표순위게임이다.
P. 애완동물을 입양한다면 (고양이, 강아지, 거북이)
Q. 어떤 답변이 가장 많이 나올까요 (고양이, 강아지, 거북이)
이런 형식은 처음 질문은 투표질의인것이고, 두번째는 퀴즈질의인것이다.Q. 어떤 답변이 가장 많이 나올까요 (고양이, 강아지, 거북이)
실질적으로 방송제작에 밸런스게임의 역선택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고안된 방식이지만 같은 선택지를 포함하는 두번의 질의때문에 혼돈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동의율퀴즈
투표결과 나와 같은 항목에 투표한 사람들의 투표율(참가자마다의 동의율)을 맞히는 게임이다.
투표순위퀴즈와 밸런스 퀴즈는 오래 반복하면서 뜻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참가자들이 맨 먼저 나오는 보기를 선택하자고 담함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참가자들의 담합은 어떠한 밸런스게임도 투표순위게임도 무력화할 수 있는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동의율퀴즈는 담합과 역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동의율퀴즈는 투표문제가 주어지면 참가자들은 자신의 의견에 투표하고, 자신의 의견에 몇 퍼센트의 사람이 투표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퀴즈였다. 이 퀴즈는 선택하는 투표 다음에 0에서 100사이의 숫자를 키보드로 입력하는 퀴즈답변 절차로 구성된다. 다시말해 동의율퀴즈는 첫번째 문제는 투표하는 단계로 객관식이며, 두번째 퀴즈는 숫자를 입력하는 주관식 퀴즈가 된다.
동의율퀴즈는 투표결과 자신의 동의율을 정확히 맞히면 만점을 받지만, 오차가 클수록 점수가 작아지다가 정답범위를 벗어난 답은 0점 처리한다.
각각의 동의율퀴즈에서 참가하는 사람 가운데는 확신이 클수록 동의율을 과다 추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동의율을 맞히기 위해 다른 의견을 귀담아 듣게되는 효과 때문에 필터버블과 확증편향을 예방하는 소통교육 프로그램으로도 인기가 높다.
P. 사내 팀빌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확실한 업무분장 vs 격의없는의견개진)
Q. 동의율을 입력하세요.
정해진 정답은 없고,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에 따라 투표하고, 자신이 투표한 항목의 예상 비율인 동의율을 맞혀야 한다.Q. 동의율을 입력하세요.
동의율퀴즈는 동의율게임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동의율게임의 중요 요소를 결정하는 단위 퀴즈로 불리기도 한다.
2. 퀴즈 프로그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퀴즈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퀴즈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퀴즈 게임
퀴즈를 응용하여 만든 게임. 아케이드 게임으로도 나온 적이 있으며 아케이드 게임의 역사와 함께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시대 이후는 온라인 게임인 경우가 많으며, 장르 특성상 족보를 이용한 편법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퀴즈 문제가 자주 업데이트되어야 이를 막을 수 있다.퀴즈 게임은 수출입의 한계가 가장 심각한 장르다. 그도 그럴 것이 국가적 특성과 시대적 특성을 많이 타기 때문. 국가적 특성의 경우 언어의 장벽과 정서적 장벽 등이 맞물려 있고, 시대적 특성의 경우 법률 개정이나 유행의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일이 많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MAME에서도 퀴즈는 국가별/언어별로 장르를 구분하고 있다.
그래도 시대적 특성이나 문제 업데이트에 관련된 한계점은 네트워크 실시간 연동이 도입된 게임의 경우 어느 정도 해결된 편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나마도 제작/운영 측이 손을 놓는다면 이조차도 장담할 수 없게 된다. 2018년 이후에는 주로 모바일 퀴즈 형태로 운영되고 있지만, 2019년부터 인기가 하락하면서 서비스 종료를 하는 프로그램이 늘고 있다.
3.1. 퀴즈 게임 목록
범례 | |
ⓔ | 영어 퀴즈 |
ⓚ | 한국어 퀴즈 |
ⓙ | 일본어 퀴즈. 한글화된 것은 ★ 표시. |
💰 | 간금 제도 또는 사행성 요소가 있는 경우[1] |
- Quiz Show(아케이드, 1976, Kee games/아타리[2]) ⓔ
- Fax(아케이드, 1983, Exidy) ⓔ
- 위즈 퀴즈(아케이드, 1985, 코나미[3]) ⓔ
- 퀴즈 올림픽(아케이드, 1985, 서울 코인) ⓚ
- 퀴즈 펀치 시리즈 (아케이드, 1989, 스페이스) ⓚ
- 나카니혼 DYNAX 퀴즈 시리즈
- 퀴즈 TV합중국 Q&Q (아케이드, 1992, 나카니혼) ⓙ★[4]
- 퀴즈 채널 퀘스천 (아케이드, 1993, 나카니혼) ⓙ★
- 퀴즈 365 (아케이드, 1994, 나카니혼) ⓙ★[5]
- 열답 퀴즈 챔피언 (아케이드, 1995, 나카니혼) ⓙ★[6]
- 자레코 퀴즈 시리즈
- 빨리누르기 퀴즈 왕좌 결정전 (아케이드, 1993, 자레코) ⓙ
- 빨리누르기 퀴즈 열투 생방송 (아케이드, 1994, 자레코) ⓙ
- 빨리누르기 퀴즈 그랜드 챔피언 대회 (아케이드, 1994, 자레코) ⓙ
- 퀴즈 세상은 SHOW by 쇼바이!! (아케이드, 1993, 타이토) ⓙ[7]
- 매지컬 데이트 (아케이드, 1996, 타이토) ⓙ
- 데이트 퀴즈 고고 (아케이드, 1998, 세미콤) ⓚ
- 리모트 컨트롤 (코모도어 64/패미컴, 1989, 리델 소프트웨어[8]/하이테크 익스프레스) ◎ [9]
- 서바이벌 OX 퀴즈(아케이드, 유니코) ⓚ
- 큐플레이(온라인 게임) ⓚ(2015년 12월 31일에 서비스 종료)[10]
- 골든벨 온라인(온라인 게임, 서비스 종료) ⓚ
- 프린세스 메이커 Q ⓙ★
- 퀴즈 치비 마루코쨩 ⓙ
- 스퀴즈런 (온라인 게임, 2020, DEVHEAD) ⓚ
- 퀴즈 아카데미 6000 (아케이드, 1994, 선아전자) ⓚ[11]
- 퀴즈 킹 오브 파이터즈 ⓙ★
- 퀴즈 사립탐정 시리즈(아케이드, SNK) ★(1편 한정)
- 퀴즈 매직 아카데미(네트워크 아케이드, 코나미)
- 마법사와 검은 고양이 위즈 ⓙ
★[12](네트워크 모바일, colopl) - 캡콤 퀴즈 시리즈
- 퀴즈&드래곤(아케이드, 캡콤) ⓔⓙ(92년판, 94년판은 일본어)
- 퀴즈 삼국지(아케이드, 캡콤)
- 퀴즈 나나이로 드림스(아케이드, 캡콤) ⓙ
- 퀴즈 캡콤 월드 1,2 - 퀴즈 하테나의 모험
- 땡기지(세계 최초의 라이브 퀴즈앱으로 2012년 출시, 현재 서비스 중, KBS나를따르라, EBS보니하니, 장학퀴즈 와도 콜라보함.) 퀴즈쇼, 토크게임쇼를 지원하며, 기업이나 기관의 팀빌딩 이벤트에 사용되고 있음.
- 잼 라이브 💰(스노우) - 2021년 11월 10일 서비스 종료, 쇼핑앱으로 변경
- 드랍 더 큐(틱톡) - 앱 안에 내장됨, 현재 시즌1 종료
- 더 퀴즈 라이브 💰(캐시슬라이드), 시즌1 2020.02.29 종료 → 덕길워즈 시작
- 렛츠 퀴즈(콰이) - 앱 안에 내장됨, 시즌1 20180430 종료
- 와글퀴즈, 시즌1 20180427 종료
- 뇌이득퀴즈쇼 1215 → 퍼프픽 💰(퍼프)
- 페이큐(팟티, NHN엔터테인먼트) 💰 - 앱 안에 내장됨. 시즌1 2018.09.20 종료[13]
- 라이브팝 💰
- 큐피트 💰, 시즌2 2020년 초 종료
- 칠국지(인디게임) ⓚ
- 잭박스 게임즈의 잭 시리즈 ⓔ[14]
- 전설의 퀴즈 고등학교 ⓚ
- 퀴즈 학문의 스스메(아케이드, 1993, 코나미) ⓙ
- 퀴즈 통째로 THE 월드
- 퀴즈 봄버맨
- 퀴즈DE학원제
- 퀴즈의 별
- 퀴즈 에비뉴
4. 기타 관련 문서
5. 대학에서의 쪽지시험
대학에서는 간단히 치르는 쪽지시험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중고등학교 교사들도 쪽지시험 수행평가를 퀴즈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있으나[15], 대학교만큼 잘 쓰이지 않고 수행평가나 쪽지시험이라는 단어가 더 쓰이는 편. 고로 분반처럼 대학에서 단어의 뜻이 바뀌는 사례 중 하나이라고 볼 수 있다. 사전 예고를 하고 실시하는 퀴즈도 있지만[16], 사전 예고 없이 실시하는 퀴즈[17]도 많다. 중학교 · 고등학교에서 하는 수행평가의 대학교 버전이라 보면 된다. 퀴즈 외에 수시 시험, 수시 고사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빈도는 1주일 내지는 2주일에 한 번. 학생들이 마냥 놀다가 시험기간에 벼락치기로 학점만 따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평소에 꾸준히 공부하게 만드는 의도로 사용된다. 그 때문에 퀴즈의 점수도 학점 평가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불규칙성과 예측 불가능성 때문에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 중에 하나가 된다. 대부분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에 비해서는 학점 반영 비율이 작아 학점컷에만 걸리지 않는다면 학점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정기적으로 본 퀴즈를 중간고사, 기말고사보다 더 크게 학점에 반영하는 케이스도 있다. 심지어 아예 중간/기말고사 없이 퀴즈, 과제, 출결만 보는 과목도 있다. 이럴 경우 정말 답 없이 그 과목은 학기 내내 죽어라고 공부해야 하는 셈. 퀴즈 범위를 알려주고 수업 시작 전에 퀴즈 보는 경우, 복습 성실하게 잘 하는 학생에게는 학점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꿀강좌...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수업 도중 혹은 끝날 때 대뜸 퀴즈를 보면 여기저기서 패닉에 빠져 갈려나가고 절망하는 광경을 목도할 수 있다.
때문에 학기 중에 퀴즈를 자주 보는 교수님들은 수강신청을 꺼리는 대상이 된다. 중간/기말고사를 치지 않겠다고 하면서 중간/기말 기간에 퀴즈를 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퀴즈=시험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다.
하지만 퀴즈 내용이 중간 기말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시험기간에 복습 부담이 줄어들거나, 중간 기말 고사를 퀴즈로 대체해서 시험 기간에 다른 과목을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이런 스타일을 선호하는 학생들도 있다.
물론 학생들만 고생하는 것은 아니다. 채점하는 조교들 또는 교수님들도 죽어난다.
북미 일부 지역에서는 대학교뿐만 아니라 정부에서 지정한 시험이 아닌, 반의 선생이 내는 모든 쪽지시험을 퀴즈라고 한다. 정부나 학교에서 날짜를 정해서 보는 정기시험은 주로 이그잼(Exam)이라 한다.
6.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퀴즈(유희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퀴즈(유희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가면라이더 지오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면라이더 퀴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면라이더 퀴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가수 정세운의 미니 6집 음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Quiz#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Quiz#|]]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이런 경우에는 참여 가능 연령(보통 만 15세 or 만 19세 이상)이 정해져 있다.[2] 세계 최초의 퀴즈 비디오 게임으로 알려져있다. 퍼블리셔는 아타리지만 실제 개발은 키 게임즈가 하였다. 게임 자체는 원시적이라 텍스트 only 수준이지만 이 게임의 한 가지 의의가 있다면 세계 최초로 아타리 폰트라 불리는 8비트 폰트 규격을 사용한 게임이다. 이후 아타리 폰트 초창기에 있는 원시적 레이싱 게임인 Sprint 2 역시 같은 해에 키 게임즈가 개발한 게임이다.[3] Zilec-Zenitone에서 발매.[4] 한국판은 CATOS 상표를 달고 나왔으며, 제목은 〈월드 퀴즈&퀴즈〉. 아직 한국판 롬은 덤프되지 않았다. (한글판 실기 플레이 영상)[5] 한국판은 금영의 계열사 (주)에이티 상표를 달고 나왔으며, 제목은 〈매일 바뀌는 퀴즈 프로 - 퀴즈365〉. 아직 한국판 롬은 덤프되지 않았다. (한글판 실기 플레이 영상)[6] 한국판 제목은 〈세계횡단 울트라 챔피언〉. 대만판 제목은 〈稱霸世界 超時空冠軍〉(칭패세계 초시공관군).[7] 동명의 TV 프로그램을 모티브로 했다.[8] RWS의 전신중 하나.[9] 동명의 MTV 쇼를 소재로 한 퀴즈게임.[10] 그 뒤 모바일 게임으로 부활했으나 2017년 3월 7일에 서비스 종료.[11] 〈퀴즈 학문의 스스메〉의 표절. 사운드까지 그대로 빼왔다.[12] 2018년 2월 23일에 한글판만 서비스 종료.[13] 한게임 신맞고 등과 콜라보레이션할 경우 19세 미만 참가 금지.[14] 이쪽은 퀴즈 성향이 잡다한 지식 퀴즈에 가깝다.[15] 특히 수학 과목에서 그 경향이 강하다.[16] 요일과 시간대를 정해서 본다.[17] 돌발 퀴즈(기습 퀴즈로도 통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