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라토사우루스 Ceratosaurus | |
| | |
| 쥐라기 후기 옥스포드절 161,200,000 년 전~145,000,000 년 전 북아메리카 | |
| 학명 | |
| Ceratosaurus Marsh, 1884 |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 상목 | 공룡상목Dinosauria |
| 목 | 용반목Saurischia |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 계통군 | †케라토사우루스류Ceratosauria |
| 과 | †케라토사우루스과Ceratosauridae |
| 속 | †케라토사우루스속Ceratosau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
| |
| |
| 케라토사우루스 나시코르니스의 복원도 |
| |
| 케라토사우루스 나시코르니스의 골격도 |
| |
| 케라토사우루스 덴티술카투스의 골격도 |
1. 개요
케라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 아프리카와 유럽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이다. 속명은 '뿔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그리스어로 '뿔'을 뜻하는 '케라스(κέρας, keras)'와 도마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사우로스(σαῦρος, sauros)'를 합쳐 만든 것이다. 영어 발음은 '세라토사우루스'. 'ce' 부분이 '케'가 아니라 '세'로 읽히는 것은 트리케라톱스 역시나 동일하다.[1][2]2. 특징
|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 대형 수각류들과의 크기 비교도 |
| |
| 알로사우루스 프라길리스(A. fragilis)의 최대 크기(AMNH 680) - 토르보사우루스 탄네리(T. tanneri) - 알로사우루스 프라길리스의 평균 사이즈(UUVP 6000) - 케라토사우루스 덴티술카투스의 표본들 |
속명이 '뿔 도마뱀'이란 뜻인 만큼 머리에 있는 뿔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고생물덕후 혹은 눈썰미 좋은 사람이 아니라면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이 녀석의 뿔은 1개가 아니라 3개다. 눈 앞의 뿔은 상당히 작아서 사람들이 눈치를 잘 채지 못하지만, 그래도 알로사우루스 눈 앞의 볏 정도 크기는 된다. 이 뿔들은 무기로 쓰기에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종족 식별용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케라토사우루스의 윗이빨은 매우 길고 날카로웠으며, 유타 주에서 발견되어 케라토사우루스 덴티술카투스(C. dentisulcatus)로 명명된 화석 표본의 경우 긴 이빨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긴 이빨들을 지탱하기 위해 깊은 턱을 가지고 있었다.
유연한 꼬리 때문에 한 때는 반수생 동물이라는 설이 있었으나, 꼬리 외의 신체적 특징은 전혀 반수생에 맞지 않기 때문에 이 가설은 사장되었다. 반수생 까지는 아니었어도 육상동물 외에도 물고기 등의 수생동물을 사냥했을 수는 있다.[7]
상당히 원시적인 형질을 유지하고 있는 수각류 중 하나로 앞발가락이 4개다.
해당 공룡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캐릭터인 둘리같은 초능력은 없지만 1~2년만에 성체가 될 정도로 초성장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3. 대중문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라토사우루스/창작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라토사우루스/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트리케라톱스의 영어 발음은 '트라이세라톱스'다.[2] 또 다른 비슷한 사례로 켄트로사우루스(각룡) 역시 영어발음으로 센트로사우루스라고 한다. 다만 검룡류인 켄트로사우루스(검룡)과 구분짓기 위해 센트로사우루스로 자주 불린다. 단, 검룡 켄트로사우루스는 C가 아닌 K로 시작된다.[3] 다만 케라토사우루스의 종들은 모두 모식종과 동일하다는 의견도 있기에 사실상 덴티술카투스종의 크기가 모식종의 크기라고 봐도 되는 의견도 있으며, 2013년 연구에서는 모식종의 무게 추정치가 거의 1톤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4] 아마도 현생의 표범이 사자에게 자주 공격받는 것처럼 케라토사우루스도 자기보다 큰 육식공룡들에게 위협을 자주 받았을 것이다.[A] 하지만 이 지역의 화석은 케라토사우루스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한다.[A] [7] Changyu Yun. (2019). "Comments on the ecology of Jurassic theropod dinosaur Ceratosaurus (Dinosauria: Theropoda) with critical reevaluation for supposed semiaquatic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