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청양 나들목 靑陽 나들목 Cheongyang Interchange | ||
청양 요금소 Cheongyang Tollgate | ||
부여 방면 부여JC ← -.- km | 익산평택선6 | 평택 방면 예산예당호IC -.- km → |
주소 | ||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정좌리 | ||
관리기관 | ||
익산평택선 | 서부내륙고속도로㈜ | |
개통 | ||
2024년 12월 10일 | ||
접속도로 | ||
구봉로 |
[clearfix]
1. 개요
익산평택고속도로 6번.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는 익산평택고속도로의 나들목.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청양군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평택 방향
- 진출 가능: 구봉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구봉로 양방향
2.2. 부여 방향
- 진출 가능: 구봉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구봉로 양방향
3. 역사
4. 특징
- 청양읍 중심지에서 가장 가까운 나들목이다. 행정구역상으로도 청양읍에 위치해있고 청양 읍내에서 직선거리로 2~3km밖에 안 떨어져있다. 기존 청양 나들목이었던 서천공주고속도로 칠갑산 나들목은 청양읍에서 상당한 거리가 떨어져 있었지만 그동안 청양군의 유일한 나들목이었기에 '청양'이라는 타이틀을 안고 지냈지만 결국 익산평택선 개통과 함께 '청양'이란 이름을 이 나들목에 넘겨주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는 음성 나들목/대소 나들목이 있다.[2]
- 이 나들목에서 진출해 간접 연계되는 36번 국도를 통해 대천해수욕장으로 갈 수 있다. 보령 시내 초입에서 교차하는 21번 국도를 통해 무창포해수욕장까지도 갈 수 있다. 즉, 이 나들목을 통해 상습 정체구간인 서해대교,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시 구간 등을 피할 수 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f3f7f><tablebgcolor=#3f3f7f> | 고속국도 제17호선 구간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익산평택고속도로 | (계획중) - - 부여JC( - - - 예산JC( - - - - 현덕JC( - - | |
평택파주고속도로 | - 평택JC( - - - - - - 정남IC1 2 - 화성JC( - 봉담IC2 - - - - - (공사중) - - - - 고양JC( - - - - - - (계획중) | ||
남광명-소하 지선 | 남광명TG - 성채IC/소하IC | ||
남고양-봉대산 지선 | 남고양IC - 봉대산JC | ||
월롱-문산 지선 | 산단TG - 내포IC | ||
1: 고속국도 제400호선과 중복 지정 구간.2: 지방도 제309호선과 중복 지정 구간. | }}}}}}}}} |
| ||
<colbgcolor=#5bb53c>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29번 국도, 36번 국도, 39번 국도 | |
지방도 | 70번 지방도, 96번 지방도, 604번 지방도, 606번 지방도, 610번 지방도, 619번 지방도, 625번 지방도, 645번 지방도, 723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청양군 농어촌버스, 청양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남도의 교통 |
[1] 국토부, 서부내륙고속도로 평택-부여구간 개통 BBC NEWS 241209[2] 대소 나들목이 개통 당시에는 음성군 관내의 유일한 나들목이었기에 음성 나들목이라는 이름으로 영업했으나, 평택제천고속도로 개통으로 음성읍과 보다 더 가까운 곳에 새로운 나들목이 생기자 '음성'이란 이름을 이 나들목에 넘겨주고 소재지인 대소면에서 이름을 딴 대소 나들목으로 개칭했다. 음성 나들목도 음성읍이 아닌 금왕읍에 있긴 하나 그나마 음성읍에 가장 가까운 편. 애초에 음성읍 관내에 고속도로라고는 평택제천고속도로가 단 50m 지나가는 것이 전부라서 사실상 나들목이 존재할 수 없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