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
빌헬름 뢴트겐 | 헨드릭 로런츠 | 피터르 제이만 | 앙투안 베크렐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
피에르 퀴리 | 마리 퀴리 | 존 라일리 | 필리프 레나르트 | |
<rowcolor=#cd9f51> 1906 | 1907 | 1908 | 1909 | |
조지프 톰슨 | 앨버트 마이컬슨 | 가브리엘 리프만 | 굴리엘모 마르코니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카를 브라운 |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 빌헬름 빈 | 닐스 달렌 | |
<rowcolor=#cd9f51> 1913 | 1914 | 1915 | ||
헤이커 오너스 | 막스 폰 라우에 | 헨리 브래그 | 윌리엄 브래그 | |
<rowcolor=#cd9f51> 1917 | 1918 | 1919 | 1920 | |
찰스 바클라 | 막스 플랑크 | 요하네스 슈타르크 | 샤를 기욤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닐스 보어 | 로버트 밀리컨 | 만네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
제임스 프랑크 | 구스타프 헤르츠 | 장 페랭 | 아서 콤프턴 | |
<rowcolor=#cd9f51> 1927 | 1928 | 1929 | 1930 | |
찰스 윌슨 | 오언 리처드슨 | 루이 드 브로이 | 찬드라세카라 라만 | |
<rowcolor=#cd9f51> 1932 | 1933 | 1935 |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폴 디랙 | 에르빈 슈뢰딩거 | 제임스 채드윅 | |
<rowcolor=#cd9f51> 1936 | 1937 | |||
빅터 헤스 | 칼 앤더슨 | 클린턴 데이비슨 | 조지 톰슨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3 | 1944 | |
엔리코 페르미 | 어니스트 로런스 | 오토 슈테른 | 이지도어 라비 | |
<rowcolor=#cd9f51> 1945 | 1946 | 1947 | 1948 | |
볼프강 파울리 | 퍼시 브리지먼 | 에드워드 애플턴 | 패트릭 블래킷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유카와 히데키 | 세실 파월 | 존 콕크로프트 | 어니스트 월턴 | |
<rowcolor=#cd9f51> 1952 | 1953 | 1954 | ||
펠릭스 블로흐 | 에드워드 퍼셀 | 프리츠 제르니케 | 막스 보른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발터 보테 | 윌리스 램 | 폴리카프 쿠시 | 윌리엄 쇼클리 | |
<rowcolor=#cd9f51> 1956 | 1957 | |||
존 바딘 | 월터 브래튼 | 리정다오 | 양전닝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
파벨 체렌코프 | 일리야 프란크 | 이고르 탐 | 오언 체임벌린 | |
<rowcolor=#cd9f51> 1959 | 1960 | 1961 | ||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 도널드 글레이저 | 로버트 호프스태터 | 루돌프 뫼스바우어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
레프 란다우 | 유진 위그너 | 마리아 메이어 | 한스 옌젠 | |
<rowcolor=#cd9f51> 1964 | 1965 | |||
찰스 타운스 | 니콜라이 바소프 |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 리처드 파인만 | |
<rowcolor=#cd9f51> 1965 | 1966 | 1967 | ||
줄리언 슈윙거 | 도모나가 신이치로 |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한스 베테 | |
<rowcolor=#cd9f51> 1968 | 1969 | 1970 | ||
루이스 앨버레즈 | 머리 겔만 | 한네스 알벤 | 루이 네엘 | |
<rowcolor=#cd9f51> 1971 | 1972 | |||
데니스 가보르 | 존 바딘 | 리언 쿠퍼 | 존 슈리퍼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
에사키 레오나 | 이바르 예베르 | 브라이언 조지프슨 | 마틴 라일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
앤서니 휴이시 | 오게 보어 | 벤 모텔손 | 제임스 레인워터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
버턴 릭터 | 새뮤얼 팅 | 필립 앤더슨 | 존 밴블랙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
네빌 모트 | 표트르 카피차 | 아노 펜지어스 | 로버트 윌슨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스티븐 와인버그 | 무함마드 살람 | 셸든 글래쇼 | 제임스 크로닌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벨 피치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아서 숄로 | 카이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82 | 1983 | 1984 |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윌리엄 A. 파울러 | 카를로 루비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시몬 판 데르 메이르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에른스트 루스카 | 게르트 비니히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1988 | ||
하인리히 로러 |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 카를 뮐러 | 리언 레더먼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
멜빈 슈워츠 | 잭 스타인버거 | 한스 데멜트 | 볼프강 파울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
제롬 프리드먼 | 헨리 켄들 | 리처드 테일러 | 피에르질 드 젠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조르주 샤르파크 | 러셀 헐스 | 조지프 테일러 | 버트럼 브록하우스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클리퍼드 슐 | 프레더릭 라이네스 | 마틴 펄 | 데이비드 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더글러스 오셔로프 | 로버트 리처드슨 | 윌리엄 필립스 | 스티븐 추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
클로드 코엔타누지 | 대니얼 추이 | 로버트 러플린 | 호르스트 슈퇴르머 | |
<rowcolor=#cd9f51> 1999 | 2000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마르티뉘스 펠트만 | 조레스 알표로프 | 허버트 크뢰머 | |
<rowcolor=#cd9f51> 2000 | ||||
잭 킬비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colbgcolor=#000,#000034><colcolor=#fff> FRS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சுப்பிரமணியன் சந்திரசேகர் Subrahmanyan Chandrasekhar | |
출생 | 1910년 10월 19일 |
영국령 인도 제국 펀자브 라호르 (現 파키스탄 펀자브 라호르) | |
사망 | 1995년 8월 22일 (향년 84세)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
국적 | [[인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이론물리학자 |
분야 | 천체물리학, 천문학 |
수상 | FRS (1944) 아담스 상 (1948) 로열 메달 (1962) 국립과학상 (1966) 파드마 비부샨 (1968) 대니 하이너먼 수리물리학상 (1974) 노벨물리학상 (1983) 코플리 메달 (1984) |
학력 | 첸나이 힌두교 고등학교 (1925년 졸업) 첸나이 프레지던시 칼리지 (물리학 / 1930년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물리학 / 1933년 박사)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clearfix]
1. 개요
인도[1] 출신의 미국인으로, 천문학자 겸 천체물리학자다.2. 생애
인도에서 대학교를 졸업 후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서 근무했으며 후에 여키스 천문대에서 근무하면서 시카고 대학교 교수로 재직한다. 케임브리지 수학시절의 스승은 그 유명한 천문학자 아서 스탠리 에딩턴과 랄프 하워드 파울러였다.주 연구분야는 천체물리로 주로 항성대기와 항성내부구조에 대한 연구에서 많은 성과를 냈는데, 특히 에딩턴의 제자였던 시절 백색왜성에 대해 연구하다가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발견하고 그 공로로 1983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다.
이 찬드라세카르 한계는 자연스럽게 블랙홀의 존재에 대한 예견으로 이어졌는데 정작 스승인 에딩턴은 찬드라세카르의 연구결과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승과 갈등을 빚게 된다. 자세한 것은 아서 스탠리 에딩턴 문서 참조. 에딩턴은 죽을 때까지 찬드라세카르의 연구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에딩턴 사후 블랙홀이 실제로 관측되면서 찬드라세카르가 맞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찬드라세카르는 뒤늦게 노벨상을 받게 되었다.
재밌는 것은 1930년 노벨상 수상자인 찬드라세카라 벵카타 라만[2]의 조카다. 퀴리 집안에 이어 몇 없는 노벨상 수상 가문.
3. 주요 업적
3.1. 백색왜성 연구
스승인 에딩턴과 함께 항성내부구조에 대한 연구를 했다. 현재 밝혀진 백색왜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이 사람의 연구결과다.3.2. 찬드라세카르 한계
자세한 내용은 찬드라세카르 한계 문서 참고하십시오.3.2.1. 슈퍼 찬드라세카르 백색왜성
그런데 지난 2003년 관측된 '샴페인 초신성'은 그 모체가 백색왜성임에도 불구하고 폭발직전 질량이 태양의 2.5~2.88배에 달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백색왜성들을 가리켜 '슈퍼 찬드라세카르 백색왜성'(Super-chandrasekhar white dwarf)이라 부른다. 이런 백색왜성을 모체로 하는 초신성은 지금까지 네 개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가설들이 나왔는데 그 중 유력한 가설로는 강력한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이 그 '한계치'를 높인다는 것으로, 이러한 새로운 '한계치'는 태양의 1.44배가 아닌 2.58배로 제기되었다.#3.3. 항성대기 내의 복사, 대류에 의한 에너지 전달
항성은 플라즈마로 이루어진 천체로, 유체의 성질을 갖는다. 내부의 핵으로부터 핵융합을 통하여 에너지가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에 대한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보통 태양과 비슷한 질량의 별은 핵은 복사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고, 껍데기(envelope)는 대류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그 증거로 쌀알무늬가 생긴다) 이에 대한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이에 대해 궁금하다면 찬드라세카르의 저서 <Radiative Transfer>(직역: 복사 전달)[3][4]를 읽어보면 된다. 물론 일반인이 읽기는 매우 어렵다.
4. 여담
시카고 대학에서 강의할 당시 중국계 학자인 리정다오와 양전닝[5]을 가르치기도 했는데, 이 두 사람은 스승보다 일찍 1957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달랑 2명이 수강신청한 강좌를 찬드라세카르 교수가 근성으로 강행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 수강신청을 한 학생이 바로 저 두 사람이었다고 한다. *찬드라세카르는 인도인 출신으로서는 의외로 무신론자였다.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인도는 워낙 다양한 종교와 사상이 난무하는 곳이기 때문에 개중에는 아예 종교도 신앙도 없는 사람이 꽤 있다. 주로, 과학계와 경제학 분야, 영화계 및 정치계[6]에 무신론자가 적지 않다. '경제학계의 테레사 수녀'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경제학자 아마르티야 센도 무신론자다.
우주덕들에게는 이분의 이름을 따온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으로 유명하다.
[1] 태어난 곳은 라호르로, 현재는 파키스탄 영토에 속해 있지만 그가 태어날 당시에는 인도, 파키스탄의 구분이 없었다. 때문에 찬드라세카르의 모국을 두고 인도와 파키스탄이 현재까지도 서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정작 찬드라세카르 본인은 이에 대해 딱히 언급한 바가 없다. 다만 본적지는 파키스탄 지역이 아닌 남인도의 타밀나두 지방이다.[2] 응집물리 및 분자계에서 사용되는 Raman Scattering 분석의 기초가 이 사람에게서 나왔다. 노벨상 역사에서도 꽤 의미있는 수상자이다. 최초로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한 아시아계 수상자이기 대문이다.[3] Radiative Transfer ,Subrahmanyan Chandrasekhar,Courier Corporation, 1960https://books.google.co.kr/books?id=K7YLRcTP_XUC&hl=ko&source=gbs_book_other_versions[4] Radiative Transfer ,Subrahmanyan Chandrasekhar, Dover edition,1960(1950)https://archive.org/details/radiativetransfe0000chan/page/n5/mode/2up?view=theater[5]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의 그 '양'이다.[6] 이는 인도 공산당 때문이다. 인도 공산당은 중국공산당을 제외하면 세계 최대 규모의 공산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