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0:26:59

직속상관

1. 개요2. 군대에서

1. 개요

직속상관(直屬上官 / immediate superior[1])은 자신이 직접 속한 부서의 상관이다.

자신이 속한 곳이 이라면 팀장이 직속상관이 될 것이고 부라면 부장, 과라면 과장이 될 것이다. 선임과는 다른 개념이다. 같은 부서에 선임은 여럿이 있을 수 있지만 직속상관이라고 하면 보통 부서의 장(으뜸)을 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신이 속한 분대의 분대장, 소대의 소대장, 중대의 중대장, 대대의 대대장 등이 직속상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보통은 상관들의 지시가 겹칠 경우 직속상관 지시가 우선이다. 한 예시로, 당신이 행정부 소속 9급 국가공무원일 경우, 국회의장 지시보다 당신의 직속상관이 8급이라고 해도 그 직속상관의 명령이 우선이다. 물론 이런 극단적 상황이 나올 리가 없긴 하지만(.......).

2. 군대에서

직속상관 관등성명으로 나타나게 된다. 대체로 아래의 순서를 따른다.
참모총장 이하 지휘관은 소속 부대에 따라 다르다.
지휘관 사무실에서 볼 수 있고, 1단계+2단계 상위 지휘관까지 적혀 있다. 즉, 중대장 사무실에 걸려있는 직속상관 현판에는 대대장과 여단장이 적혀 있다.[8] 그러나 2단계 상위 지휘관이 없으면 1단계 상위 지휘관까지만 적혀 있다.
  • 군단 직할대
    • 군단장실: 작전사령관
    • 단장실 및 연대장실: 작전사령관, 군단장
    • 대대장실: 군단장, 단장(연대장)[9]
    • 중대장실: 단장(연대장), 대대장[10]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단장/연대장), 중대장
  • 군단 휘하 독립여단
    • 여단장실: 작전사령관, 군단장
    • 대대장실: 군단장, 여단장
    • 중대장실: 여단장, 대대장[11]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여단장), 중대장
  • 사단 직할대
    • 사단장실: 작전사령관, 군단장[12]
    • 대대장실: 군단장(작전사령관), 사단장
    • 중대장실: 사단장, 대대장[13]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사단장), 중대장
  • 사단 휘하 여단
    • 여단장실: 군단장(작전사령관), 사단장
    • 대대장실: 사단장, 여단장
    • 중대장실: 여단장, 대대장[14]
    • 생활관 및 소대장실: 대대장(여단장), 중대장

자신의 위에 직접 속한 상관만이 직속상관이다. 옆 부대 사단장이라든지, 옆 중대장, 다른 예하부대 지휘관 등은 직속상관은 아니며 가끔 장난삼아 지휘관이 아닌 지휘자 분대장을 넣기도 한다.

주요 지휘관 사무실 등에는 대통령이나 국방부장관 사진이 걸리는데, 이 기준은 다음과 같다(부대관리훈령 제320조, 제325조).
대통령 사진국방부장관 사진
국방부장관실×
합동참모의장실
한미연합군사령관 및 부사령관실×
각군참모총장실 및 육군작전사령관실, 해병대사령관실
해외파병부대 부대장실×
재외 무관부×

[1] 이렇게도 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에게 보고한다(report to)’를 쓴다. ‘나의 직속상관은 사장이다’라고 쓰는 대신 ‘나는 사장에게 보고한다(I report to the CEO)’라고 쓰는 셈이다.[2] 국방부 직할부대라면 소속 부대장(일반적으로 "국군○○사령관 ○○중장 ○○○", 합동참모본부라면 "합동참모의장 ○○대장 ○○○", 한미연합군사령부라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육군대장 ○○○"[3] 제2작전사령부 소속부대는 군단이 없으므로 생략[4] 2020년 12월부터 야전부대에서는 연대편제가 사라졌지만 특공연대, 육군훈련소 신병교육연대 등 일부 부대에는 아직까지 연대편제가 존속하고 있다.[5] 포병대에서는 포대장[6] 방공포여단에는 없으므로 생략[7] 사령부 직할 여단·단에서는 생략[8] 사단 직할대에는 대(대)장과 사단장이 적혀있다.[9] 군단 직할대대인 경우 단장실(연대장실)과 동일하다.[10] 단(연대) 직할중대의 경우 대대장실과 동일하다.[11] 여단 직할중대인 경우 군단장과 여단장의 관등성명이 적힌다.[12] 제36보병사단, 제55보병사단, 제2작전사령부 소속 사단들은 군단장이 존재하지 않기에 작전사령관 관등성명만 적힌다.[13] 사단 직할중대인 경우 군단장(혹은 작전사령관)과 사단장의 관등성명이 적힌다.[14] 여단 직할중대인 경우 사단장과 여단장의 관등성명이 적힌다.[15] 신병교육대가 아닌 육군훈련소 산하 각 연대.[16] 제3수송교육연대는 거기에 더해 연대장의 관등성명까지 적혀있다. 마장교육대는 3개의 중대가 같은 막사를 사용하고 생활관 배치도 유동적이므로 중대장의 관등성명도 3명이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