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강남구도시관리공단 | 강동구도시관리공단 | 강북구도시관리공단 | 강서구시설관리공단 | 관악구시설관리공단 |
광진구시설관리공단 | 구로구시설관리공단 | 금천구시설관리공단 | 노원구시설관리공단 | 도봉구시설관리공단 | |
동대문구시설관리공단 | 동작구시설관리공단 | 마포구시설관리공단 | 서대문구도시관리공단 | 서울교통공사 |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 서울시설공단 | 서울에너지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
성동구도시관리공단 | 성북구도시관리공단 | 송파구시설관리공단 | 양천구시설관리공단 | 영등포구시설관리공단 | |
용산구시설관리공단 | 은평구시설관리공단 | 종로구시설관리공단 | 중구시설관리공단 | 중랑구시설관리공단 |
<colcolor=#fff> 중랑구시설관리공단 中浪區施設管理公團 Jungnang-gu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 |
| |
<colbgcolor=#1c7c38> 법인명 | 서울특별시중랑구시설관리공단 |
설립일 | 2003년 12월 1일 |
설립목적 | 서울특별시 중랑구청장이 지정하는 시설 및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함으로써 구민의 생활편익과 자치구정의 생산성 향상 서울특별시 중랑구 시설관리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
업종 | 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
대표자 | 이동열 |
주무부처 | 중랑구청 |
주요 주주 | 중랑구청: 100% (2024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지방공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162명(2024년 12월 31일 기준)[1] |
자본금 | 5억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158억 9,813만 1,727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해당사항 없음(2023년 기준) |
순이익 | 해당사항 없음(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12억 6,611만 149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7억 6,611만 149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153.22%(2023년 기준) |
미션 | 최고의 감동서비스, 행복한 구민 |
비전 | 안전한 도시! 행복한 구민! 고객감동을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공기업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15길 197, 4층 (묵동, 중랑구립정보도서관) |
홈페이지 | |
SNS | |
전화번호 | 1522-0659 |
▲ 중랑구시설관리공단 공식 홍보영상 |
1. 개요
서울특별시 중랑구 시설관리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지방공기업법」 제76조에 따라 서울특별시 중랑구 시설관리공단의 설립 및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법인격) 서울특별시 중랑구 시설관리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은 법인으로 한다. |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15길 197, 4층(지번 묵동 22, 중랑구립정보도서관)에 있다.
2. 연혁
- 2003년 7월 18일: 공단설립및운영에관한조례 제정
- 2003년 12월 1일: 중랑구시설관리공단 창립
- 중랑구민체육센터, 중랑구민회관, 중랑구립정보도서관, 관상복합청사, 중랑구립잔디운동장, 거주자우선주차, 공영주차장 시설 수탁
- 2005년 11월 11일: 중랑구립면목정보도서관 수탁
- 2006년 9월 28일: 중랑문화체육관 수탁
- 2007년 11월 1일: 용마폭포공원축구장 수탁
- 2008년 12월 1일: 신내다목적체육관 수탁
- 2009년 1월 2일: 견인차량보관소 수탁
- 2009년 2월 2일: 면목2동체육관, 주차장 수탁
- 2010년 7월 1일: 묵동다목적체육관 수탁
- 2012년 8월 1일: 견인차량보관소 민간위탁
- 2012년 8월 1일: 중랑숲어린이도서관 수탁
- 2015년 7월 1일: 중화어린이도서관 수탁
- 2016년 2월 13일: 중랑천물놀이시설 수탁
- 2017년 7월 7일: 이동식물놀이시설 수탁
- 2017년 7월 28일: 신내근린공원 물놀이시설 수탁
- 2017년 11월 1일: 신내차량기지운동장 수탁
- 2018년 1월 1일: 양원숲속도서관 수탁
- 2018년 7월 13일: 봉수대공원 물놀이시설 수탁
- 2019년 9월 10일: 중랑상봉도서관 수탁
- 2020년 2월 13일: 용마폭포공원테니스장 수탁
- 2021년 1월 1일: 도서관 사업 계약 해지(중랑문화재단 이관)
- 2023년 8월 7일: 묵2동문화체육복합센터 수탁
- 2023년 11월 1일: 중랑스포츠클라이밍장 수탁
- 2024년 2월 29일: 중랑구립파크골프장 수탁
- 2024년 3월 21일: 면목구립테니스장 수탁
3. 역대 이사장
- 초대 배복룡 (2003~2006)
- 2대 권주철 (2006~2011)
- 3대 이봉로 (2011~2014)
- 4대 김기선 (2014~2016)
- 5대 정행교 (2016~2018)
- 6대 박영섭[2] (2018~2020)
- 7대 정후근[3] (2020~2022)
- 직무대행 고형철[4] (2022)
- 직무대행 신은실[5] (2022)
- 8대 이동열[6] (2022~ )
4. 사업
중랑구시설관리공단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서울특별시 중랑구 시설관리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9조).- 구민 체육센터 및 잔디운동장 등 공공체육시설의 관리 및 운영 등에 관한 사업
- 구민회관, 문화·사회복지 등 공공시설물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사업
- 복합공공청사의 관리·운영 및 임대 등 경영에 관한 사업
- 거주자우선주차제 및 공영주차장관리·운영과 불법 주·정차 견인사업 등 교통분야 유지관리 등에 관한 사업
- 그 밖에 중랑구청장이 위탁 또는 지정하는 사업
- 이상의 사업과 관련된 부대사업
4.1. 체육시설사업
- 중랑구민체육센터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신내로15길 189
- 연면적: 6,302㎡
- 중랑문화체육관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사가정로72길 47
- 연면적: 5,075㎡
- 면목2동체육관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겸재로23길 27 공영주차장 4층
- 연면적: 1,731㎡
- 묵2동문화체육복합센터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묵동 243-1외 3필지
- 연면적: 3,499.76㎡
- 중랑구립잔디운동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망우본동 73-2번지(중랑구 나들이근린공원 내)
- 연면적: 13,304㎡
- 용마폭포공원축구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용마산로 250-12(배수지상단 용마폭포공원)
- 연면적: 8,547㎡
- 신내공원다목적체육관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신내로21길 115-14(신내근린공원 내)
- 연면적: 1,815㎡
- 신내차량기지 축구장·야구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용마산로136길 33(신내차량기지 내)
- 연면적: 13,637㎡
- 묵동다목적체육관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숙선옹주로 66
- 연면적: 2,021㎡
- 중랑구립테니스장 관리·운영
- 용마폭포공원테니스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용마산로 250-12
- 연면적: 1,506㎡
- 서울중랑워터파크 관리·운영
- 신내공원물놀이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신내동 653번지(옹기테마공원 입구 우측)
- 연면적: 1,300㎡
- 봉수대공원물놀이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신내동 602-1(중랑구청 뒤편)
- 연면적: 1,000㎡
- 중랑스포츠클라이밍경기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용마산로 250-12(용마폭포공원 내)
- 연면적: 360㎡
- 중랑구립파크골프장 관리·운영
- 면목구립테니스장 관리·운영
- 위치: 중랑천 둔치 면목동 727-94 일원(장평교 부근)
- 연면적: 3,635㎡
4.2. 주차시설사업
- 공영 주차장 관리·운영
- 노상
- 우림시장주차장[민간위탁]
- 위치: 중랑구 망우로62길 52-4
- 총 44면
- 노외
- 까치공원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사가정로49길 56
- 총 90면
- 면목5동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동일로 594
- 총 67면
- 은행나무 공영주차장[민간위탁]
- 위치: 중랑구 겸재로54가길 4
- 총 97면
- 늘봄 공영주차장[민간위탁]
- 위치: 중랑구 겸재로64길 9
- 총 72면
- 중곡초등학교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면목로23길 20
- 총 140면
- 봉수대공원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봉화산로45길
- 총 31면
- 용마폭포공원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용마산로 250-12
- 총 119면
- 면목2동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겸재로23길 27
- 총 199면
- 중랑초등학교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봉우재로6길 26
- 총 82면
- 면일초등학교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용마산길100길 13
- 총 80면
- 동원시장 주차장[민간위탁]
- 위치: 중랑구 상봉로11길 37
- 총 31면
- 면목시장 주차장[민간위탁]
- 위치: 중랑구 면목동 666-17
- 총 25면
- 망우본동 공영주차장[민간위탁]
- 위치: 중랑구 망우로62길 52-4
- 총 97면
- 중화제1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73-5
- 총 94면
- 중화제2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73-4
- 총 87면
- 중화제3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73-3
- 총 102면
- 중화제4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73-10
- 총 89면
- 중랑역 제1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73-6
- 총 152면
- 중랑역 제2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73-7
- 총 65면
- 망우3동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겸재로61길 40
- 총 55면
- 면목유수지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사가정로 322
- 총 567면
- 봉화산역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신내로 208
- 총 100면
- 동부시장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동일로109길 35
- 총 129면
- 망우역사문화공원 제1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망우로91길 2
- 총 28면
- 망우역사문화공원 제2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망우동 112-10
- 총 37면
- 망우역사문화공원 제3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망우동 94-1
- 총 56면
- 봉화산역(남)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신내동 647
- 총 86면
- 중랑캠핑숲 제1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망우동 56
- 총 45면
- 중랑캠핑숲 제2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망우동 71-3, 4, 5 외
- 총 45면
- 중랑캠핑숲 제3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망우동 산30-63
- 총 37면
- 중화1동 공영주차장[직영]
- 위치: 중랑구 중화동 29-2
- 총 230면
- 거주자 우선 주차제 관리·운영
- 총 6,180면
- 면목견인차량보관소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면목5동 168-2(면목유수지 공영주차장 내)
- 총 64구획
4.3. 시설운영사업
- 중랑구민회관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면목로 238
- 연면적: 7,714㎡
- 중랑구청 제2청사 관리·운영
- 위치: 중랑구 봉화산로 190
- 연면적: 11,314㎡
5. 노동조합 현황
2024년 12월 기준- 중랑구시설관리공단 노동조합(제1노조): 한국노총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 소속, 교섭대표노조.
-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 서울본부 중랑공단재단분회(제2노조):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소속.
6. 여담
- 서울특별시 타 공단에 비해 시설 이용료가 저렴한 편이다. 그럼에도 다른 지역 체육시설에 비해 인기는 없는 편으로 역세권과 다소 멀거나 언덕에 자리 잡은 위치가 한 몫 하는 것으로 보인다.
- 이용료가 저렴하다는건 강사 처우도 좋지 못함을 의미한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폐강이 잦은 편이고 강사도 자주 바뀐다.
- 웹사이트 관리가 잘 안 되는 편으로 수강신청 당일 오전에는 접속이 매우 어렵다. 중랑구 모든 시설을 한 사이트에서 통합 관리 하고 있고 수강신청 시 결제까지 완료해야 신청완료 처리 되므로 결제 시 접속 오류가 뜨면 먼저 선점하고도 다시 진행해야 되는 속터지는 상황이 발생된다. 더구나 타 공단에 비해 대기 시스템이 존재 하지 않아 정원 마감 후 신청이 불가능 하다.
아랫 동네 광진구는 대기하다가 자리가 나면 친절하게 문자로 알려 주는데
[1] 정규직 현원 102명, 무기계약직 현원 28명, 비정규직 현원 32명.[2] 전 종로구청 부구청장.[3] 전 관악구청 부구청장.[4] 당시 중랑구청 행정국장. 이사장 및 본부장이 공석인 관계로 중랑구시설관리공단 직제규정 제9조에 따라 중랑구청 행정국장이 이사장 직무대행을 맡았다.[5] 당시 중랑구청 기획재정국장. 이사장 및 본부장이 공석인 관계로 중랑구시설관리공단 직제규정 제9조에 따라 중랑구청 기획재정국장이 이사장 직무대행을 맡았다.[6] 전 중랑문화원 사무국장, 전 금천구청 안전건설국장.[민간위탁] [직영] [직영] [민간위탁] [민간위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민간위탁] [민간위탁] [민간위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 [직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