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주산역 (폐역) | ||
역명 표기 | ||
장항선 | 주산 Jusan 珠山 / チュサン | |
주소 | ||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금암리 산15-2 | ||
관리역 등급 | ||
폐역 | ||
개업일 | ||
충남선 | 1931년 8월 1일~불명 | |
장항선 | 1960년 3월 11일~ 2006년 6월 22일 | |
철도거리표 | ||
천안 방면 ← 1.5 ㎞ | 舊 장항선 (폐역) | 장항 방면판 교 9.1 ㎞ → |
1. 개요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금암리에 위치했던 무배치간이역.2. 역 정보
|
2대 역사 (1960년대 준공 추정) |
1931년 8월 1일 간이정차장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나 한 차례 폐지되었다, 폐지된 날짜는 불명.
그렇게 1960년 3월 1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영업을 재개하였다.[1]
1963년 10월 1일에 역원무배치간이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까지 했다.[2] 1973년 1월 1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됨으로써 원래 자리로 돌아갔다.
1970년대 중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는 승차 인원과 강차 인원이 각각 10~15만명을 왔다갔다 할 정도로 괜찮은 수요를 가진 역이었다. 실제로 역 위치도 주산면소재지에 붙어 있었기 때문에[3] 수요가 날 만한 위치였다.
1980년대 중반을 지나며 이용객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1988년 1월 1일자로 소화물 취급까지 중지되었다. 주산면소재지를 관통하는 21번 국도에 이용객을 빼앗긴 탓이었다.
1997~8년경 비둘기호 폐지 및 2004년 통일호 폐지 이후에도 극히 일부의 무궁화호 열차가 이 역에 정차했으나, 수요가 거의 없어서인지 2004년 7월 16일자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어 모든 열차가 통과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6년 6월 23일에 공식적으로 폐지 조치되었다.
3. 기타
- 버스정류장을 연상시키는 역사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의 관심을 조금 끌기도 했지만 2017년 2월 장항선 남포~판교 구간의 개량화 공사로 인해 역사 위로 선로가 지나게 되며 철거됐다.#
- 전성기 때는 역 주변에 식당이 하나 있었으나 주산역의 수요가 줄어들며 식당이 문을 닫고, 그 상태로 20년이 넘게 방치 중이다. 현재는 출입 자체가 불가할 정도로 수풀이 자랐다. 애초에 건물 자체가 무너지기 일보 직전 정도로 낡아서 들어가는 건 굉장히 위험하다.
4. 둘러보기
장항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화양† - - 신성† - - - 원죽† - - 주포† - - - 남포† - - - - - - - - - - - - - - - - - - - 목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