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차대회 (1946년) | 2차대회 (1948년) | 3차대회 (1956년) | 4차대회 (1961년) |
| 5차대회 (1970년) | 6차대회 (1980년) | 7차대회 (2016년) | 8차대회 (2021년) | |
| 9차대회 (2026년) | ||||
| 1차와 2차대회는 북조선로동당 시절 개막 |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조선로동당 총비서 | ||
| ↑ 대표자 선거 | |||
| 조선로동당 대회 (대표자회) | |||
|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 비서국 (제1비서 · 비서) · 전문부서 | 중앙군사위원회 | 중앙검사위원회 | |
| ↑ 대표자 선거 | |||
| 도당 대표회 | |||
| 위원회 집행위원회 · 비서처 (책임비서 · 비서) · 전문부서 | 군사위원회 | 검사위원회 | |
| ↑ 대표자 선거 | |||
| 시·군당 대표회 | |||
| 위원회 집행위원회 · 비서처 (책임비서 · 비서) · 전문부서 | 군사위원회 | 검사위원회 | |
| ↑ 대표자 선거 | |||
| 초급당 총회 | (초급당 대표회) | (분초급당 총회) | |
| 위원회 (집행위원회) · 비서 · 부비서 | 위원회 (집행위원회) · 비서 · 부비서 | 위원회 (집행위원회) · 비서 · 부비서 | |
| (부문당 총회) | |||
| 위원회 비서 · 부비서 | |||
| 당세포 총회 비서 · 부비서(1인) | |||
| }}}}}}}}} | |||
| 조선로동당 대회 朝鮮勞動黨 大會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 ||
| [[조선로동당 제1차대회| | ||
| ▲ 제1차 대회 (1946년) | ||
|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 ||
| ▲ 제8차 대회 (2021년) | ||
|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약칭 | 당대회 | |
| 설립 | 1946년 8월 26일 | |
| 설립 근거 | 조선로동당 규약 (제14조 제1항) | |
지위 당의 최고지도기관[비상설] | ||
| 하위 조직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검사위원회 | |
| 행 사 |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최초 | 제1차 (1946년 8월 26일 ~ 31일) |
| 최근 | 제8차 (2021년 1월 5일 ~ 12일) | |
| 개최장소 | (평양시 모란봉구역 장현동) | |
1. 개요
조선로동당의 최고지도기관이자 전당대회.2. 상세
조선로동당의 당대회라는 이름만 보았을 때는 그냥 대한민국에서도 흔하게 하는 각 당의 전당대회를 떠올리기 쉽지만 북한은 일당제 국가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더욱이 (명목적이지만) 사회주의 국가이므로 당이 국가보다 상위적 위치에 있다.[2]따라서 북한의 경우 국가의 헌법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보다 당헌인 <조선로동당규약>이 더 우선시되며[3], 조선인민군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국가의 군대가 아닌 '조선로동당'이라는 당의 군대다. 북한에서는 당≥국가인 것이다. 따라서 조선로동당의 당대회는 당의 사업 결정, 당의 강령 및 규약 제정, 당의 노선과 정책ㆍ전략ㆍ전술에 있어 기본 문제 토의 결정, 당 총비서 추대 등을 진행하는 남한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정도의 동급인 행사이다.
3. 설립 근거
조선로동당의 규약을 보면 다른 모든 마르크스 레닌주의 정당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당대회를 '비상설 기관'으로서, 중앙위원회에 앞서는 '당의 최고지도기관'으로 규정하고 있다.당대회에서는 당을 지도할 당중앙위원회 위원, 후보위원, 당중앙검사위원회 위원들을 선거한다. 또한 조선로동당 총비서 역시 당대회에서 선거된다. 원래는 정치국 위원들처럼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선거했는데 당대회에서 선거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은 총비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조치로 추정된다.
명목상 당의 최고지도기관이지만 모든 사회주의 국가에서 당대회는 형식상의 추인 쇼에 불과했고, 북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김일성 시대, 김정일 시대 내내 당대회 소집 회기는 무시되었으며 김정일은 집권 기간 내내 당대회를 소집하지 않았다. 이후 김정은이 집권하면서 당대회의 소집 주기가 정상화되고 있으나 당대회가 실질적인 지도기능을 발휘하진 못할 것이다.
4. 역대 대회
- 조선로동당 제1차대회 (1946년)
- 조선로동당 제2차대회 (1948년)
- 조선로동당 제3차대회 (1956년)
- 조선로동당 제4차대회 (1961년)
- 조선로동당 제5차대회 (1970년)
- 조선로동당 제6차대회 (1980년)
-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2016년)
-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2021년)
- 조선로동당 제9차대회 (2026년 예정)
[비상설] [2] 이건 옆 나라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인 공화제 국가에서 행정부 역할을 수행하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보다 중국공산당이 상위 기관이고, 이쪽은 그나마 일인독재가 아닌 일당독재체제라서 5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당대회를 연다. 시진핑이 중국 내 서열 1위인 이유는 국가주석이라서가 아니라 명목상으로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기 때문이고, 실질적으로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기 때문이다. 명목과 실질적 이유가 다른 까닭은 중국공산당 규약에 따라 중국인민해방군의 통수권은 당 중앙군사위 주석에게 있음에서 비롯된다. 즉, 중앙군사위 주석에 못 오르면 군대를 장악할 수 없으므로 권력이 크게 약화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후진타오는 중앙군사위 주석직은 국가주석 취임 한참 이후에야 물려받았기 때문에 집권 초기에는 한동안 장쩌민의 입김이 있었다. 시진핑은 2012년 국가주석직과 당 총서기직, 당 중앙군사위 주석직에 동시에 올랐다. 아무튼 중국에서 "국가주석"직은 적어도 외교적으로 다른 나라의 국가원수에 대응되는 명예직일 뿐이다.[3] 이것보다 더 우선시되는 것이 바로 당의 유일적 령도체계확립의 10대 원칙이다.[참고] 김인태(2021), '김정은 시대 10년: 「노동당 중앙지도기관」의 구성과 변화', 『INSS전략보고 No.133』, pp.1, 서울:국가안보전략연구원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