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 사전투표일 : 2024년 10월 16일~10월 26일 08:30~20:00 투표일 : 2024년 10월 27일 07:00~20:00 | |
선거 이전 | ||
주요 상황 · 선거구 획정 · 선거구 | ||
후보자 | ||
지역별 | ||
정당별 | ||
선거 진행 | ||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선거 공약 · 선거 광고 · 선거 토론 및 연설 · 여론조사 · 출구조사 | ||
개표 | ||
결과 분석 | ||
관련 문서 | ||
}}}일본의 주요선거 }}}}}} |
1. 개요
자유민주당의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를 정리한 문서.2. 상세
자민당은 지역구에서 132석, 비례대표에서 59석을 얻어 총 191석으로 지난 선거의 261석에 한참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었다. 지난 선거와 비교하면 70석, 중의원 해산 직전 의석수와 비교해도 약 50석에서 60석가량 줄어들면서 의석 상실 규모가 꽤 컸다. 비례대표 득표수로 봐도 지난 중원선 대비 약 540만표 줄어들어 26.8%나 감소했으며,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과의 표차는 3백만표 언저리로 좁혀졌다.#1993년 제40회 중원선 그 이상의 참패로, 단독 과반 실패를 넘어 자민-공명 연립 정권의 과반 붕괴가 확정되었다. 이 정도의 참패는 민주당에 참패한 2009년 제45회 중원선에 이어 창당 이래 두 번째 수준이다.
자민당은 지역구에서 지난 선거 당시 확보했던 189석은 커녕 전체 지역구(289석)의 절반인 145석에도 미치지 못하는 의석을 얻어 참패에 가까운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니가타현에서는[1] 전멸을 당하는 충격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가장 많은 의석수가 걸린 도쿄도 역시 입헌민주당에 제1당을 내주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게다가 현역 내각 각료 2명이[2] 낙선하기까지 했다.[3]
이외에도 자민당은 비례대표에서도 지난 선거의 72석보다 13석 줄어든 59석을 얻어 70석대에서 50석대로 주저앉으면서, 국민들 사이에서의 지지율 하락을 실감해야 했다.
아베 신조 전 총리의 피살 사건 이후 불거진 통일교 게이트와 정치자금 파문에 더해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의 증세와 인플레이션 대응 실패로 인한 민생경제의 악화로 인해 기시다 내각은 내내 흔들렸다. 결국 일본 국민들은 자민당에 대한 비토가 심해지고 입헌민주당은 정권심판론을 고조시키고 있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비주류 이시바 시게루가 5번 도전 끝에 총리가 되었고, 젊고 개혁적인 이미지를 가진 고이즈미 신지로를 앞세우면 정권 심판 바람을 잠재울 수 있다 보고 총리에 취임하자마자 의회 해산과 총선거를 강행했다. 이런 급작스러운 행보는 야권에 단일화 등의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선거 당일인 10월 27일 오후 8시. 방송사들이 일제히 발표한 출구조사에서 12년 만의 자민당 단독 과반 실패, 자민-공명 연립 여당의 과반 의석 확보 역시 불확실하다는 충격적인 예측이 나오면서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더니 개표 결과 최종적으로 연립 여당이 215석을 획득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면서 혹시라도 야당들이 일치단결할 경우 정권을 유지하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당 관계자는 일본유신회, 국민민주당 등과도 연정 구성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이 즉각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상황이 자민당의 기대와는 여러모로 어긋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현 시점에서는 일본유신회보다는 국민민주당이 자민당과 협력할 가능성이 더 높은데, 국민민주당의 다마키 대표는 연립 정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혀 각외 협력(신임 공급) 형식이 아닌 이상 연립여당에 참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로써 이시바 시게루의 총리직 유지와 당 장악력에 적신호가 켜진 모양새다. 이시바 총리가 총재선 이전까지 견지한 의견을 뒤집고 간판이 되어 치른 선거가 참패[4]로 끝난 만큼 당내 반 이시바 의원들로부터 총리 퇴진 요구가 분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여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불발되면서 여소야대 국회가 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피해졌다.
다만 이시바가 재임한 기간은 채 1개월도 되지 않았고, 전임 기시다 내각에 대한 여론이 워낙 안 좋았기에 이시바에게만 책임을 돌리기는 어렵다. 엄밀히 따지자면 이시바 내각이 출범한 이후 정치자금 논란에 가장 많이 연루된 구 세이와 정책연구회(아베파) 출신 인사들을 최대한 공천에서 배제했는데도 자민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 못했으므로 이 선거는 자민당의 패배라고 해석해야 맞지, 이시바 총리의 패배라고 해석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또한 정치자금 논란 여파로 구 아베파 출신 의원의 2/3가 선거에서 낙선한데다 아소 다로의 구 지공회도 이번 선거에서 적지 않은 피해를 보았고, 일본 국민 여론 또한 이시바가 사임할 필요까지는 없다는 여론이 다수이기에 차기 선거까지는 이시바가 자민당을 계속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민당이 군소 극우정당(참정당, 일본보수당)과 자민당 출신 무소속 당선자들을 끌어들여 정권을 이어나갈 수도 있겠지만 극우 정당들은 현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 정서가 강한 것을 감안해 연정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고 특히나 대안 우파 성향인 참정당은 애초에 자민당과는 성향이 맞지 않다. 일본보수당 또한 아베 사망 이후 온건화된 자민당에 실망한 친아베 성향 인사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는 것을 보면 자민당과 맞을 리가 없다. 무소속 의원들은 정치자금 문제로 탈당해 선거에 임한 만큼 정치자금 문제로 심판을 받은 자민당이 다시 저들을 복당시키면 국민들의 비판이 심해질 거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 자금 문제에 연루된 후보들은 니시무라 야스토시, 세코 히로시게, 하기우다 고이치를 제외하면 대부분 낙선했고, 셋 다 아베 전 총리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인물들이었기에 이시바와도 계속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이래저래 자민당 입장에선 난감한 상황이 되었다.
3. 지역별 결과
3.1. 홋카이도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홋카이도 | 6석 | 3석 | -3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홋카이도 | 4석 | 3석 | -1 |
3.2. 도호쿠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아오모리현 | 3석 | 2석 | -1 | |
이와테현 | 2석 | 1석 | -1 | |
미야기현 | 4석 | 1석 | -3 | |
아키타현 | 2석 | 1석 | -1 | |
야마가타현 | 3석 | 3석 | 0 | |
후쿠시마현 | 2석 | 1석 | -1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도호쿠 | 6석 | 5석 | -1 |
3.3. 기타칸토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이바라키현 | 5석 | 3석 | -2 | |
도치기현 | 4석 | 3석 | -1 | |
군마현 | 5석 | 5석 | 0 | |
사이타마현 | 12석 | 8석 | -4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기타칸토 | 7석 | 7석 | 0 |
3.4. 미나미칸토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치바현 | 9석 | 7석 | -2 | |
가나가와현 | 11석 | 8석 | -3 | |
야마나시현 | 2석 | 1석 | -1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미나미칸토 | 7석 | 7석 | 0 |
3.5. 도쿄도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도쿄도 | 16석 | 11석 | -5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도쿄도 | 6석 | 5석 | -1 |
3.6. 호쿠리쿠신에쓰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니가타현 | 2석 | 0석 | -2 | |
도야마현 | 3석 | 3석 | 0 | |
이시카와현 | 3석 | 2석 | -1 | |
후쿠이현 | 2석 | 1석 | -1 | |
나가노현 | 4석 | 2석 | -2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호쿠리쿠신에쓰 | 6석 | 4석 | -2 |
3.7. 도카이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기후현 | 5석 | 4석 | -1 | |
시즈오카현 | 5석 | 4석 | -1 | |
아이치현 | 11석 | 3석 | -8 | |
미에현 | 3석 | 2석 | -1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도카이 | 9석 | 7석 | -2 |
3.8. 긴키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시가현 | 4석 | 2석 | -2 | |
교토부 | 2석 | 2석 | 0 | |
오사카부 | 0석 | 0석 | 0 | |
효고현 | 8석 | 7석 | -1 | |
나라현 | 2석 | 2석 | 0 | |
와카야마현 | 2석 | 1석 | -1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긴키 | 8석 | 6석 | - 2 |
3.9. 주고쿠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돗토리현 | 2석 | 2석 | 0 | |
시마네현 | 2석 | 1석 | -1 | |
오카야마현 | 4석 | 3석 | -1 | |
히로시마현 | 5석 | 3석 | -2 | |
야마구치현 | 4석 | 3석 | -1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주고쿠 | 6석 | 5석 | -1 |
3.10. 시코쿠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도쿠시마현 | 1석 | 2석 | +1 | |
카가와현 | 1석 | 1석 | 0 | |
에히메현 | 4석 | 2석 | -2 | |
고치현 | 2석 | 2석 | 0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시코쿠 | 3석 | 3석 | 0 |
3.11. 규슈·오키나와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후쿠오카현 | 8석 | 7석 | -1 | |
사가현 | 0석 | 0석 | 0 | |
나가사키현 | 3석 | 2석 | -1 | |
구마모토현 | 3석 | 4석 | +1 | |
오이타현 | 2석 | 1석 | -1 | |
미야자키현 | 2석 | 2석 | 0 | |
가고시마현 | 2석 | 1석 | -1 | |
오키나와현 | 2석 | 2석 | 0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규슈·오키나와 | 8석 | 7석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