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20:48:1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상 시나리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사전투표일 : KST 2024년 4월 5일 ~ 6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4년 4월 10일 6시 ~ 18시
선거 이전
변수 · 상황 · 선거제 개편 논의 · 선거구 획정 · 선거구 ·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및 기호 · 지역별 후보자 · 정당별 공천
선거 공약 · 선거 광고 · 선거 토론 및 연설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개표
결과 분석
기타 연령별 결과 · 가상 시나리오
관련 문서
제22대 국회 · 제22대 국회의원 · 논란 및 사건사고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1. 개요2. 도농복합 선거제
2.1. 전국 준연동형 비례대표제2.2.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
2.2.1. 6개 권역2.2.2. 17개 권역
3. 소선거구제
3.1. 병립형 비례대표3.2. 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
3.2.1. 3개 권역3.2.2. 6개 권역
3.2.2.1. 위성정당 미존재시
4.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
4.1. 전국 병립형 비례대표제
5. 현행 체제(소선거구제+전국 준연동형비례대표제)
5.1. 위성정당 미존재
5.1.1. 조국혁신당 미출범 시

[clearfix]

1. 개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결과에 기반해, 현행 선거제도와 다른 선거제가 적용되었을 경우의 가상 시나리오를 다룬 문서이다.

2. 도농복합 선거제

2.1. 전국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제21대 국회 선거제 개편 논의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측이 제안했던 도농복합 선거제가 시행되었을 경우의 시나리오를 다룬다. 실제 도농복합 선거제가 어떤 방식을 따를지 정해지지는 않았으나 계산에는 아래 원칙을 가정하여 따른다.
  • 7개 특/광역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는 중대선거구제 적용, 권역 지정은 무의미하므로, 단일선거구로 취급하여 각 정당의 광역자치단체 득표율대로 배분.
  • 시군구 당 지역구 의석이 3석 이상인 도시(수원, 성남, 안양, 부천, 평택, 안산, 고양, 남양주, 용인, 화성, 천안, 청주, 전주, 창원)는 중대선거구제 적용,
  • 위에 언급되지 않은 나머지 모든 시군구는 소선거구제 유지(세종, 강원, 전남, 경북, 제주는 전체 소선거구제), 비례는 조정하지 않음.
<colbgcolor=#fafafa> 정당 <colbgcolor=#fafafa> 서울 <colbgcolor=#fafafa> 경기 <colbgcolor=#fafafa> 인천 <colbgcolor=#fafafa> 강원 <colbgcolor=#fafafa> 부산 <colbgcolor=#fafafa> 울산 <colbgcolor=#fafafa> 경남 <colbgcolor=#fafafa> 대구 <colbgcolor=#fafafa> 경북 <colbgcolor=#fafafa> 대전 <colbgcolor=#fafafa> 세종 <colbgcolor=#fafafa> 충남 <colbgcolor=#fafafa> 충북 <colbgcolor=#fafafa> 광주 <colbgcolor=#fafafa> 전남 <colbgcolor=#fafafa> 전북 <colbgcolor=#fafafa> 제주 <colbgcolor=#fafafa> 비례 <colbgcolor=#fafafa> 총합
25 41 8 2 8 2 4 3 0 4 1 7 3 6 10 9 3 14 150석
23 18 6 6 10 3 12 9 13 3 0 4 5 1 0 1 0 18 132석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2 12석
[[개혁신당|
개혁신당
]]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 3석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1석
[[진보당(2020년)|
진보당
]]
0 0 0 0 0 1 0 0 0 0 0 0 0 1 0 0 0 0 2석

위 시나리오를 적용했을때 국민의힘은 수도권(19 -> 47) 의석이 대폭으로, 충청권(6 ->12) 의석이 소폭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더불어민주당은 영남권(5 -> 17) 의석이 대폭으로 증가한다. TK와 호남의 경우에도 국민의힘과 민주당으로의 의석 결집이 여전히 나타나지만, 100% 소선거구제를 시행할 때보다는 독점 현상이 완화됨을 알 수 있다.

서울/인천과 경기도 대도시의 중대선거구제 시행으로 인해 국민의힘이 소선거구제와 달리 수도권에서 대거 의석을 획득함에 따라 당연히 가장 큰 수혜를 받은 것은 국민의힘이었을 것이다. 득표율이 동일했다는 전제가 있긴 하나, 더불어민주당은 한 석 차이로 과반에 미달하고 국민의힘은 적어도 패스트트랙 저지(121석)에 필요한 의석은 확보할 수 있었다. 범보수 vs 범민주진보의 구도에서는 135 vs 165로, 실제 총선의 111 vs 189에 비하면 진보 진영의 승리 자체는 동일하나 그 격차가 상당히 줄어든다.

도시 지역만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되기 때문에 게리멘더링 논란이 일어날 수 있으며, 전국에 동일하게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지 않는 이상,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어보인다.[1]

2.2.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선에 관한 결의안 (의안정보시스템, 정치개혁특별위원장 발의 원안가결)의 3개의 안들 중 국민의힘이 선호한 안이다.

2.2.1. 6개 권역

2.2.2. 17개 권역

<colbgcolor=#fafafa> 정당 <colbgcolor=#fafafa> 서울 <colbgcolor=#fafafa> 경기 <colbgcolor=#fafafa> 인천 <colbgcolor=#fafafa> 강원 <colbgcolor=#fafafa> 부산 <colbgcolor=#fafafa> 울산 <colbgcolor=#fafafa> 경남 <colbgcolor=#fafafa> 대구 <colbgcolor=#fafafa> 경북 <colbgcolor=#fafafa> 대전 <colbgcolor=#fafafa> 세종 <colbgcolor=#fafafa> 충남 <colbgcolor=#fafafa> 충북 <colbgcolor=#fafafa> 광주 <colbgcolor=#fafafa> 전남 <colbgcolor=#fafafa> 전북 <colbgcolor=#fafafa> 제주 <colbgcolor=#fafafa> 총합
지역구 25 41 8 2 8 2 4 3 0 4 1 7 3 6 10 9 3 136석 150석
비례대표 2 4 1 0 1 0 1 1 1 0 0 1 0 0 1 1 0 14석
지역구 23 18 6 6 10 3 12 9 13 3 0 4 5 1 0 1 0 114석 132석
비례대표 3 4 1 1 1 1 1 1 1 1 0 1 1 0 0 0 1 18석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
]]
비례대표 2 3 1 0 1 0 1 0 0 0 1 0 0 1 1 1 0 12석
[[개혁신당|
개혁신당
]]
지역구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석 3석
비례대표 1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석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지역구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1석
[[진보당(2020년)|
진보당
]]
지역구 0 0 0 0 0 1 0 0 0 0 0 0 0 1 0 0 0 2석

3. 소선거구제

3.1. 병립형 비례대표

파일:22대총선병립형시나리오.jpg

위성정당의 영향으로 결과의 차이가 거의 없다.

3.2. 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

제21대 국회 선거제 개편 논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측이 제안했던 준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가 시행되었을 경우의 시나리오를 다룬다. 실제 준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가 어떤 방식을 따를지 정해지지는 않았으나 계산에는 아래 원칙을 가정하여 따른다.

1. 정당 득표율에 따라 각 당 비례대표 의석수를 정한 뒤 지역구 당선자가 그에 미치지 못할 경우 비례대표로 유지하는 준연동형이다.
2. 전국을 3개 또는 6개의 권역으로 배분한다. 22대 총선 선거구 인구 기준일(2023년 1월 31일) 기준으로 권역별 의석 수를 배분한다.
  • 3개의 권역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중부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 대구, 경북, 강원), 그리고 남부권(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2]
  • 6개의 권역은 서울/인천-경기-강원/대전-세종-충북-충남/대구-경북/광주-전북-전남-제주/부산-울산-경남이다.[3]
3. 지역구는 소선거구제이고 지역구의 숫자는 22대 총선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비례대표의 총 숫자도 똑같다.
4. 봉쇄조항 3%는 각 권역별로 적용한다. 전체 비례대표 득표율이 3%를 넘지 못해도, 득표율이 3%를 넘는 권역이 있으면 해당 권역에 비례대표 의석을 가져갈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아래의 문제들로 인해서 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의 취지인 지역의 득표율과 비슷한 비율의 지역별 의석 수 확보가 힘들다는 것을 보여준다.
1. 위성정당의 존재 때문에 사실상 병립형으로 제도가 작동한다.
2. 지역구에 비해 너무 적은 비례대표 의석 수 때문에 비례대표 의석으로 지역구 당선자가 적은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을 배정해도 여전히 득표율과 의석 비율의 차이가 크다. 준연동형이기 때문에 초과의석으로 비례성을 보정하지도 못한다.
3. 봉쇄조항인 전국 득표율 3%의 규정을 지역 득표율 3%의 규정으로 적용하면 소수정당들에게 보다 더 큰 장벽이 되어서 소수정당 배분이 실질적으로 힘든다.

3.2.1. 3개 권역

<colbgcolor=#fafafa> 정당 <colbgcolor=#fafafa> 수도권[4] <colbgcolor=#fafafa> 중부권[5] <colbgcolor=#fafafa> 남부권[6] <colbgcolor=#fafafa> 총합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102 - 23 - 36 - 161 -
더불어민주연합 - 7 - 3 - 4 - 14
19 - 37 - 34 - 90 -
국민의미래 - 9 - 6 - 4 - 19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
]]
0 6 0 2 0 4 0 12
[[개혁신당|
개혁신당
]]
1 1 0 0 0 0 1 1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0 0 1 0 0 0 1 0
[[진보당(2020년)|
진보당
]]
0 - 0 - 1 - 1 -

3.2.2. 6개 권역

<colbgcolor=#fafafa> 정당 <colbgcolor=#fafafa> 서울[7] <colbgcolor=#fafafa> 인천, 경기, 강원[8] <colbgcolor=#fafafa> 대전, 세종, 충북, 충남[9] <colbgcolor=#fafafa> 대구, 경북[10] <colbgcolor=#fafafa> 광주, 전북, 전남, 제주[11] <colbgcolor=#fafafa> 부산, 울산, 경남[12] <colbgcolor=#fafafa> 총합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37 - 67 - 21 - 0 - 31 - 5 - 161 -
더불어민주연합 - 2 - 5 - 2 - 1 - 2 - 2 - 14
11 - 14 - 6 - 25 - 0 - 34 - 90 -
국민의미래 - 3 - 6 - 2 - 3 - 1 - 3 - 18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
]]
- 2 - 4 - 1 - 1 - 2 - 2 - 12
[[개혁신당|
개혁신당
]]
0 0~1[A] 1 1 0 - 0 - 0 - 0 - 1 1~2[A]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0 0 0 0 1 0 0 0 0 0 0 0 1 0
[[진보당(2020년)|
진보당
]]
0 - 0 - 0 - 0 - 0 - 1 - 1 -
녹색정의당 0 0~1[A] 0 0 0 0 0 0 0 0 0 0 0 0~1[A]
3.2.2.1. 위성정당 미존재시
<colbgcolor=#fafafa> 정당 <colbgcolor=#fafafa> 서울[17] <colbgcolor=#fafafa> 인천, 경기, 강원[18] <colbgcolor=#fafafa> 대전, 세종, 충북, 충남[19] <colbgcolor=#fafafa> 대구, 경북[20] <colbgcolor=#fafafa> 광주, 전북, 전남, 제주[21] <colbgcolor=#fafafa> 부산, 울산, 경남[22] <colbgcolor=#fafafa> 총합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지역구 비례
37 0 67 0 21 0 0 1~2[A] 31 0 5 2 161 3~4[A]
11 3 14 7 6 2 25 0 0 1 34 - 90 13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
]]
- 4 - 8 - 2 - 1~2[A] - 4 - 4 - 23~24[A]
[[개혁신당|
개혁신당
]]
0 0~1[A] 1 1 0 1 0 1 0 0 0 0 1 4~5[A]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0 0 0 0 1 0 0 0 0 0 0 0 1 0
[[진보당(2020년)|
진보당
]]
0 - 0 - 0 - 0 - 0 - 1 - 1 -
녹색정의당 0 0~1[A] 0 0 0 0 0 0 0 0 0 0 0 0~1[A]
자유통일당 0 0 0 0 0 0 0 1 0 0 0 0 0 1

4.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

4.1. 전국 병립형 비례대표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선에 관한 결의안 (의안정보시스템, 정치개혁특별위원장 발의 원안가결)의 3개 안들 중 정의당이 선호하는 안이다.

5. 현행 체제(소선거구제+전국 준연동형비례대표제)

5.1. 위성정당 미존재

대한민국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취지에 맞게 거대양당인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이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국민의미래를 창당하지 않고 그대로 선거를 치렀을 경우 실제 치뤄진 22대 총선에서의 위성정당의 득표율을 그대로 반영한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가 더불어민주연합에 합류하지 않고 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로 참여했겠지만, 비례대표 의석할당을 위한 최소 득표율인 봉쇄조항 3%를 넘기지 못했다고 가정한다.

다만 이 시나리오는 실제로는 조국혁신당의 존재로 인해 이번 총선에서는 실현되기 어려운 시나리오였을 것으로 보이며, 조국혁신당에서도 비례대표를 25명만을 등록하였기에 26명 이상 선출될 수는 없다. 공직선거법상 등록후보보다 초과당선자가 나오면 결원(공석) 처리하고 국회를 개원하게 되어있다.
<rowcolor=#580009,#d2af6d> 정당 지역구 정당득표율 비례대표 총합 비율 실제결과 증감
{{{#!wiki style="margin: 0 -10px"
161석
26.69%
0석
161석
53.67%
175석
▼14석
{{{#!wiki style="margin: 0 -10px"
90석
36.67%
11석
101석
33.67%
108석
▼7석
[[조국혁신당|
조국혁신당
]]
- 24.25% 31석 31석 10.33% 12석 ▲19석
[[개혁신당|
개혁신당
]]
1석 3.61% 4석 5석 1.67% 3석 ▲2석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1석 - 0석 1석 0.33% 1석 -
[[진보당(2020년)|
진보당
]]
1석 - 0석 1석 0.33% 1석 -
254석 91.22% 46석 300석 100% 300석 ±0

[ 계산 | 펼치기 · 접기 ]
||<tablebordercolor=#ccc><bgcolor=#eee,#1f2023> 의석
할당
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61석, 비례 26.7%)
국민의힘(지역구 90석, 비례 36.7%)
조국혁신당(지역구 0석, 비례 24.3%)
개혁신당(지역구 1석, 비례 3.6%)||
비할당 새로운미래(지역구 1석, 비례 1.7%)
진보당(지역구 1석)
기타(지역구 0석, 비례 7%)

국회의원
정수
-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 연동
대상
300 2 298
연동
대상
× 정당 득표율[31] = 비율에 따른
의석수
298 ● 29.26%
● 40.19%
● 26.58%
● 3.97%
● 87.19
● 119.78
● 79.21
● 11.82
비율에 따른
의석 수
- 지역구
당선인
= 연동형
의석수
● 87.19
● 119.78
● 79.21
● 11.82
● 161
● 90
● 0
● 1
● 0
● 29.78
● 79.21
● 10.82

연동형
의석수
× 연동률
적용
= 준연동형
의석수
● 0
● 29.78
● 79.21
● 10.82
50% ● 0
● 14.89
● 39.60
● 5.41
(합 59.90)
조정 여부
(60)
46 이하 →적용 안 함
46 초과 🚩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반올림
준연동형
의석수
× 조정
적용
= 조정
의석수
● 0
● 14.89
● 39.60
● 5.41
● 0
● 15
● 40
● 5
76.67%[32] ● 0
● 11.50
● 30.67
● 3.83
(합 46)
최종
의석수
● 0
● 11
● 31
● 4
(합 46)

5.1.1. 조국혁신당 미출범 시

조국혁신당이 존재하지 않고, 개혁신당만 존재했을 경우의 시나리오다. 편의상 조국혁신당의 비례대표 득표는 전부 더불어민주당에 단순합산하였다.
<rowcolor=#580009,#d2af6d> 정당 지역구 정당득표율 비례대표 총합 비율 실제결과 증감
{{{#!wiki style="margin: 0 -10px"
161석
50.94%
3+13석
177석
59%
187석
[33]
▼10석
{{{#!wiki style="margin: 0 -10px"
90석
36.67%
15+9석
114석
38%
108석
▲6석
[[개혁신당|
개혁신당
]]
1석 3.61% 5+1석 7석 2.33% 3석 ▲4석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
1석 - 0석 1석 0.33% 1석 -
[[진보당(2020년)|
진보당
]]
1석 - 0석 1석 0.33% 1석 -
254석 91.22% 46석 300석 100% 300석 ±0

[ 계산 | 펼치기 · 접기 ]
||<tablebordercolor=#ccc><bgcolor=#eee,#1f2023> 의석
할당
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61석, 비례 50.94%)
국민의힘(지역구 90석, 비례 36.7%)
개혁신당(지역구 1석, 비례 3.6%)||
비할당 새로운미래(지역구 1석, 비례 1.7%)
진보당(지역구 1석)
기타(지역구 0석, 비례 7%)

국회의원
정수
-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 연동
대상
300 2 298
연동
대상
× 정당 득표율[34] = 비율에 따른
의석수
298 ● 55.85%
● 40.2%
● 3.95%
● 166.43
● 119.8
● 11.77
비율에 따른
의석 수
- 지역구
당선인
= 연동형
의석수
● 166.43
● 119.8
● 11.77
● 161
● 90
● 1
● 5.43
● 29.8
● 10.77

연동형
의석수
× 연동률
적용
= 준연동형
의석수
● 5.43
● 29.8
● 10.77
50% ● 2.71
● 14.9
● 5.38
(합 22.99)
조정 여부
(23)
46 이하 🚩 →적용 안 함
46 초과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반올림
준연동형
의석수
● 2.71
● 14.9
● 5.38
● 3
● 15
● 5

남은 의석 23석은 병립형[35]으로 배분한다. 더불어민주당이 12.8455석, 국민의힘이 9.246석, 개혁신당이 0.9085석을 확보하게 되며, 각각 12석, 9석, 0석씩 배분하면 2석이 남기에 최대잉여법을 사용하여 소수부분이 가장 큰 더불어민주당과 개혁신당에 1석씩 추가로 배분하여 병립형으로 각각 13석, 9석, 1석씩 확보한다.
최종
의석수
● 16
● 24
● 6
(합 46)



[1] 물론 해외 중대선거구제 사례를 보면 도시 지역에서 더 많은 의원을 뽑는 것은 일반적이다. 모두 동일하게 N석씩을 뽑으면 농어촌 지역은 선거구가 너무 커지기 때문. 다만 도시 지역은 3명 이상을 뽑으면서 농촌 지역은 아예 소선거구제로 뽑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보통은 도시 지역 6명, 농촌 지역 3명과 같은 형태이다.[2] 더불어민주당 안[3] 선거관리위원회의 제안안[4] 연동배분의석수 145석(지역구 122석, 비례 23석)[5] 연동배분의석수 72석(지역구 61석, 비례 11석)[6] 연동배분의석수 83석(지역구 71석, 비례 12석)[7] 연동배분의석수 56석(지역구 48석, 비례 8석)[8] 연동배분의석수 98석(지역구 82석, 비례 16석)[9] 연동배분의석수 33석(지역구 28석, 비례 5석)[10] 연동배분의석수 30석(지역구 25석, 비례 5석)[11] 연동배분의석수 36석(지역구 31석, 비례 5석)[12] 연동배분의석수 47석(지역구 40석, 비례 7석)[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17] 연동배분의석수 56석(지역구 48석, 비례 8석)[18] 연동배분의석수 98석(지역구 82석, 비례 16석)[19] 연동배분의석수 33석(지역구 28석, 비례 5석)[20] 연동배분의석수 30석(지역구 25석, 비례 5석)[21] 연동배분의석수 36석(지역구 31석, 비례 5석)[22] 연동배분의석수 47석(지역구 40석, 비례 7석)[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A] 추첨을 통해서 의석 1석이 배분됨[31] 여기서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비율은 각 의석할당정당의 득표수를 모든 의석할당정당의 득표수의 합계로 나누어 산출한다.[32] =46/(0+15+40+5)[33]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의석수 합산[34] 여기서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득표비율은 각 의석할당정당의 득표수를 모든 의석할당정당의 득표수의 합계로 나누어 산출한다.[3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사용했던 비례대표 배분 방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