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1:39:0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열린민주당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사전투표일 : KST 2020년 4월 10일 ~ 11일 (매일 6시 ~ 18시)
투표일 : KST 2020년 4월 15일 6시 ~ 18시
진행
선거구 획정 (과정) 주요 이슈 후보자
선거방송 출구조사 · 예측조사 투표율 공약 · 토론
선거 광고 }}}
{{{#!wiki style="margin: -18px -11px -11px;"
여론조사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충청권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 전라권 (광주 · 전북 · 전남) · 영남권 (부산 · 대구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개표
지역구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비례대표 (후보)
결과 분석
정당별 <colbgcolor=#ffffff,#1f2023>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민생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민중당
지역별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선거기간 중 사건사고
차명진 세월호 유가족 망언 파동 · 대진연의 미래통합당 선거 운동 방해 사건
부정선거 음모론
주장과 반박 · 관련 반응 · 관련 사건 (월터 미베인의 주장)
관련 문서
제21대 국회 · 제21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반전형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3E98><colcolor=#FFFFFF> 역사 2020년
선거 지지 기반
21대 총선 후보자 · 총선 결과
관련 단체 열린정책연구원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20대 국회의원 · 21대 국회의원
}}}}}}}}}}}} ||

1. 개요2. 투표층 분석
파일:SSI_20200416133907_V.jpg
당선 꽃다발을 들고 있는 김진애, 최강욱, 강민정 당선인, 정봉주 전당원투표관리위 위원장, 손혜원 최고위원
"모든 것을 비우고 내려놓고 시작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국회 진입에 실패한 후보님들께 죄송한다. 제가 걸림돌이 되고 싶지는 않다. 비우고 비켜주는 것이 도리인거 같다"
정봉주 열린민주당 최고위원

1. 개요

비례 3석으로, 깜깜이 직전 여론조사에 비해 상당히 낮은 득표율을 얻었다.

선거 1주일 전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열린민주당의 비례대표 예상 지지율은 리얼미터 12.3%, 한국갤럽에서는 10%로 전망되었다. 이는 상당히 높은 지지율로 정의당보다도 많은 의석이 전망된 상태였다. 그러나 열린민주당의 이런 지지율은 사전투표가 시작(4월 10일)되자 고꾸라지는데, 사전투표 개표결과에서 열린민주당은 5.5% 정도, 선거일투표에서는 3.8%까지 주저앉아버렸다. 그야말로 마지막 1주일 동안 지지율이 반토막도 아니고 1/3토막 났다.[1]

반면 비슷한 성격[2]미래통합당의 자칭 위성정당인 한국경제당은 0.17% 라는 일부 원외정당보다도 낮은 처참한 득표율로 낙선하여 도로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2. 투표층 분석

비례대표 득표율을 보면 더불어시민당, 민생당과 마찬가지로 호남이 주 지지기반임을 알 수 있다. 시도별로 보면, 전북(9.02%)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얻었고 광주(8.18%), 전남(6.96%)에서도 선전했다. 시군구별로 보면, 김의겸 후보자의 고향인 군산(12.98%)에서 전국의 시군구들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고,[3] 그 다음으로 최강욱 후보자의 연고지인 전주(완산구 10.02%, 덕진구 9.11%)에서 10% 안팎의 득표율을 올렸다.[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지역구 투표 정당별 비례대표 투표 정당
지역구 투표 정당 정의 열린 시민 민생 국민 미래한국
더불어민주당 13.6% 7.4% 58.5% 3.5% 5.3% 3.3%
미래통합당 3.1% 0.4% 3.3% 1.0% 7.6% 69.9%
정의당 53.7% 3.1% 16.8% 1.5% 10.1% 3.9%
민생당 13.7% 4.1% 25.1% 24.8% 11.8% 8.4%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중 7.4%가 열린민주당에 투표했고, 나머지 정당 지지층에선 5% 미만이 열린민주당에 표를 던졌다. 특히 미래통합당인 경우는 단 0.4%가 열린민주당에 투표를 했다.

파일:21대 총선 비례대표 득표율.jpg

연령 별로는 40대 남녀에서 각각 8.7%, 6.7% 정도가 열린민주당에 비례대표를 던졌다. 그 다음은 30대 남녀, 50대 남녀, 18세 남녀 순이였다. 그리고 의외로 20대 여성의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득표율이 20대 남성과 엇비슷했는데, 이는 페미니즘이나 젠더 이슈 등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정의당이나 어느 정도 관심을 보이는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과는 달리, 열린민주당은 오로지 검찰개혁, 언론개혁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더불어민주당 강성 지지자들 중 일부가 비례대표에서 열린민주당이 아닌 더불어시민당에 투표를 한 것으로 보인다.


[1] 정의당은 그래도 비례대표 5석은 확보했다.[2] 두 당 모두 대형 정당의 자칭 위성정당을 표방하고 있다.[3] 김의겸은 출생 자체는 칠곡에서 했으나, 실질적으로 자라난 곳은 군산이다.[4] 최강욱은 전주 전라고 출신이다. 다만 본인의 고향인 남원에서는 7.92%로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얻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