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작에서의 모습}}}에 대한 내용은 [[자이젠 아키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자이젠 아키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자이젠 아키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작에서의 모습: }}}[[자이젠 아키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자이젠 아키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자이젠 아키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플레이 가능한 전설의 듀얼리스트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DM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어둠의 유희 | 카이바 | 조이 | 메이 발렌타인 | |
| | | | |
안수진 | 유희 | 사마준 | 다이나소 용만 | |
| | | | |
마해룡 | 어둠의 마리크 | 어둠의 바크라 | 키스 하워드 | |
| | | | |
이시즈 이슈타르 | 리시드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 모크바 | |
| | | | |
미궁형제 | 판도라 | 해골수스 | 에스퍼 로바 | |
| | | | |
전우혁 | 빛과 어둠의 가면 | 듀크 | 유별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DSOD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카이바(DSOD) | 모크바(DSOD) | 유희(DSOD) | 조이(DSOD) | |
| | | | |
안수진(DSOD) | 카미 | 세라 | 구만 | |
| ||||
바크라(DSOD)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GX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주다이 | 헬카이저 | 에드 피닉스 | 요한 안데르센 | |
| | | | |
만죠메 | 안젤라 | 크로노스 | 유벨 | |
| | | | |
한태인 | 강민 | 티라노 켄잔 | 사이오 | |
| | | | |
주다이/유벨 | 레이 | 짐 크로커다일 쿡 | 오스틴 오브라이언 | |
| ||||
패왕 주다이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5D's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유성 | 잭 아틀러스 | 크로우 호건 | 아나트 아키 | |
| | | | |
루아 | 루카 | 안티노미 | 우시오 | |
| | | | |
다크 시그너 키류 쿄스케 | 다크 시그너 칼리 | 다크 시그너 렉스 고드윈 | 키류 쿄스케 | |
| | | | |
칼리 | 셰리 루브란 | 플라시도 | 아포리아 | |
| | |||
패러독스 | Z-one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ZEXAL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유마 & 아스트랄 | 료 | 리오 | 이태호 | |
| | | | |
한소희 | 카이트 | III | IV | |
| | | | |
V | 오안나 | 기라그 | 아리트 | |
| | |||
미자엘 | 도르베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ARC-V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유야 | 유리 | 유타 | 유고 | |
| | | | |
송유미 | 세레나 | 루리 | 린 | |
| | | | |
권현승 | 도진호 | 레이지 | 최하늘 | |
| | |||
루마 | 데니스 맥필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VRAINS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플레이메이커 & Ai | 소울 버너 | Go강철 | 블루 엔젤 | |
| | | | |
리볼버 | 스펙터 | 고스트 걸 | 전승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EVENS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유가 | 루크 | 문인학 | 진로민 | |
| | | | |
나미미 | 진로아 | 서문네일 | 아사나 | |
| ||||
하유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GO RUSH!!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유디아스 벨갸 | 유상 | 유선 | 즈위죠 즬 벨갸 | |
| ||||
문인혁 |
파란색: 스피드 듀얼 룰을 사용하는 월드 주황색: 러시 듀얼 룰을 사용하는 월드 |
한국판 소개
LINK VRAINS를 운영하는 SOL 테크놀러지 사의 인간이며, 블루 엔젤인 전승아의 오빠이다. 전승아와는 피가 이어져있지 않지만, 돌아가신 부모님 대신 승아를 키워왔으며, 승아를 누구보다도 소중히 여기고 있다. 고스트 걸인 유진과는 오래 알고 지낸 사이. LINK VRAINS를 둘러싼 여러 사건에 의해 좌천과 승진을 반복하며 고생했다. 지금은 테크놀러지 사의 젊은 CEO가 되었다.
LINK VRAINS를 운영하는 SOL 테크놀러지 사의 인간이며, 블루 엔젤인 전승아의 오빠이다. 전승아와는 피가 이어져있지 않지만, 돌아가신 부모님 대신 승아를 키워왔으며, 승아를 누구보다도 소중히 여기고 있다. 고스트 걸인 유진과는 오래 알고 지낸 사이. LINK VRAINS를 둘러싼 여러 사건에 의해 좌천과 승진을 반복하며 고생했다. 지금은 테크놀러지 사의 젊은 CEO가 되었다.
1. 개요
- 한국판 성우: 박성영
- 일본판 성우: 야마모토 쇼마
- 북미판 성우: 배릿 레디
2. 해금 미션
- 게이트 출현 조건:
- 캐릭터 해금 미션: 이벤트 "남매의 유대의 힘! 전승규"를 통해서만 획득 가능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미션1 | 이벤트 점수 880,000 포인트 획득한다. |
미션2 | 듀얼 월드(VRAINS)에 출현한 레벨 30 「블루 엔젤」를 상대로 승리한다. |
3. 대사가 나오는 카드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rowcolor=white>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 몬스터: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틴당글 하운드, 틴당글 인트루더, 틴당글 돌스, 틴당글 트리니티, 틴당글 엔젤, 틴당글 지레루스, 틴당글 아포스톨, 틴당글 베이스 가드너
4. 시작 덱
시작 덱 | ||||
| ||||
메인 덱 | ||||
SR 마계발 명계행 버스×2 | R 붉은 첩자×3 | R 푸른 첩자×3 | N 카드의 사신×1 | N 고르곤 에그×2 |
N 킬러의 손톱×2 | N 악마의 거울×2 | UR 영혼 엔탱글먼트×1 | R 어둠×1 | N 리버스 소울×1 |
UR 세트어퍼×1 | R 악마의 통곡×1 | |||
엑스트라 덱 | ||||
5. 레벨 업 보상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1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16 | R 나겔의 수호천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31 | |
2 | | 17 | | 32 | |
3 | R 나겔의 수호천 | 18 | SR 틴당글 베이스 가드너 | 33 | SR 틴당글 베이스 가드너 |
4 | | 19 | | 34 | |
5 | | 20 | | 35 | UR 틴당글 돌스 |
6 | | 21 | | ||
7 | | 22 | | ||
8 | | 23 | R 나겔의 수호천 | ||
9 | | 24 | | ||
10 | SR 틴당글 베이스 가드너 | 25 | UR 틴당글 돌스 | ||
11 | UR 틴당글 돌스 | 26 | | ||
12 | | 27 | | ||
13 | | 28 | | ||
14 | | 29 | | ||
15 | | 30 | |
6. 스킬
| |
레벨 업 보상 스킬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엑스트라 덱에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1장을 추가한다. ②: 자신의 LP가 3000 이하일 경우, 자신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일반 드로우 1장은 덱에서 무작위로 골라진 악마족 / 어둠 속성 몬스터가 된다. | <colbgcolor=white,#1C1D1F>레벨 1 달성 |
이 스킬의 ①②의 효과는 덱(엑스트라 덱은 포함하지 않음)에 어둠 속성 몬스터를 7장 이상 들어있을 경우에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만 사용할 수 있고, 각각 듀얼 중에 1번 사용할 수 있다. ①: 2턴째 이후에 패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달의 서」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패의 「달의 서」 1장을 덱의 맨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 레벨 13 달성 |
이 스킬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최초의 자신의 턴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에서 「틴당글」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덱 외에서 「메일의 계단」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틴당글」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자신의 패 / 필드의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틴당글」 카드와 「나겔의 수호천」을 합계 2장까지 묘지로 보낸다. ③: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뒷면 수비 표시의 「틴당글」 몬스터는 이 턴에,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 레벨 20 달성 |
캐릭터 전용 스킬 | |
이 스킬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발동할 수 있다. ●패의 리버스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내고, 그 몬스터보다 레벨이 낮은 「틴당글」 몬스터 1장을 덱에서 뒷면 수비 표시로 낸다. ●패의 「틴당글」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내고, 그 몬스터보다 레벨이 낮은 리버스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②: 2턴째 이후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는 이 턴에,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고, 자신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는 이 턴에, 「틴당글」 몬스터로서 링크 소재로 할 수 있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패의 「틴당글 하운드」 1장을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②: 상대 필드에만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덱으로 되돌리고, 패 / 덱에서 「틴당글 하운드」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낸다(표시 형식 변경 가능). | 랜덤 드랍 |
기타 스킬 | |
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은 엑스트라 덱에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가 들어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자신은 1500 LP 회복한다. 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300 올린다. 자신의 필드 / 묘지에 어둠 속성 몬스터와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고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링크 마커의 합계가 4 이하가 되도록 링크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자신의 묘지에서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되돌린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합계 × 100 만큼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내린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의 패 / 덱에서 「이세상 너머」 1장을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이 턴부터 발동 가능). | 랜덤 드랍 |
①: 이전의 자신의 턴 또는 상대의 턴에 자신의 필드 위에 있는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고, 해당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된 턴 이후의 자신의 턴의 메인 페이즈에 악마족 몬스터가 자신의 덱에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덱에서 악마족 몬스터 카드 1장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묘지로 보냅니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은 듀얼 중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의 레벨 5 이상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덱의 맨 아래로 되돌리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어둠 속성 몬스터가 9장 이상 들어있는 덱일 경우 듀얼 중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덱의 맨 아래로 되돌리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 랜덤 드랍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듀얼 중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악마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 랜덤 드랍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text-align:left;"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보다 적을 경우에 자신의 일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턴의 일반 드로우 1장은 덱 내의 「싸이크론」이 된다. 상대의 마법 & 함정 존 및 필드 존에 카드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스킬은 라이프 포인트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colbgcolor=white,#1C1D1F>트레이더 교환[1] |
패의 「령사」몬스터 또는 「빙의장착」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덱 외에서 「빙의각성」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스킬은 덱(엑스트라 덱 이외)에 「빙의장착-아우스」「빙의장착-에리아」「빙의장착-히타」「빙의장착-윈」이 존재하는 덱을 설정하고 듀얼을 개시했을 경우에,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2] | |
이하의 효과를 듀얼 중에 1번씩 사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3] | |
패의 「염무」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염무-「천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스킬을 사용한 듀얼 중에, 자신은 야수전사족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예외로 한다) 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4] | |
자신의 패 / 덱의 「벨즈」 몬스터를 1장씩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벨즈」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스킬을 사용하는 듀얼 중에, 자신은 「벨즈」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5] | |
패의 「세이크리드」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덱에서 「세이크리드」몬스터 2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이 「세이크리드」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할 경우, 「세이크리드」 몬스터의 레벨을 3~6으로서 취급할 수 있으며, 「세이크리드」 몬스터를 통상 소환할 경우에 필요한 릴리스가 없어진다. 이 스킬을 사용하는 듀얼 중에, 자신은 「세이크리드」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6] | |
자신은 패의 레벨 5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1장 드로우한다. 다음 자신 턴에, 자신은 이 스킬을 사용할 수 없다. 이 스킬은 원래 레벨이 5인 몬스터의 효과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턴에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7] | |
듀얼 개시시에, 덱에 「마요괴」 카드가 1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엑스트라 덱에 「마요괴」 몬스터 3종류[8]를 추가하고, 이 듀얼 중에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 및 언데드족 / 화염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추가로 이하의 효과를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자신 필드에 「마요괴」 싱크로 /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이 다른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를 5장까지 골라 묘지로 보낸다.(묘지로 보낸 몬스터는 특수 소환 가능). | 트레이더 교환[9]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덱(엑스트라 덱은 포함되지 않음)의 몬스터가 「섀도르」 몬스터 또는 마법사족 몬스터뿐인 덱에서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에서 「섀도르」 함정 카드 2장을 무작위로 골라 묘지로 보내고, 엑스트라 덱에 「엘섀도르 미도라시」 1장을 덱에 「섀도르 퓨전」 3장과 「섀도르크」 1장을 추가한다. 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섀도르」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린다. | 트레이더 교환[10] | |
듀얼 개시시에, 덱에 언데드족 몬스터가 10장 이상 존재할 경우, 엑스트라 덱에 「시라누이」 몬스터 4종류[11]를 추가하고 덱 외에서 「요도-시라누이」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언데드족 / 화염 속성 몬스터 이외의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추가로 이하의 효과를 듀얼 중에 1번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트레이더 교환[12] | |
이 듀얼 중에, 자신은 레벨 4 이하의 언데드족 /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패 / 덱에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또한,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6 이하의 언데드족 몬스터를 2장까지 묘지로 보낸다. 그 후, 덱 외에서 「언데드 리본」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붉은 눈의 불사룡황」 1장을 묘지로 보낸다(그 몬스터는 특수 소환 가능). 다음 턴의 종료시까지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레벨 7 이상의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트레이더 교환[13]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은 파충류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패에서 빛 / 어둠 속성의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는 속성이 다르고, 레벨이 같은 빛 / 어둠 속성의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 트레이더 교환[14]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덱(엑스트라 덱은 포함하지 않음)에 「검투수」 몬스터가 8장 이상 들어있는 덱에서,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은 「검투수」 몬스터 또는 야수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패의 「검투수」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 / 제외 상태의 「검투배척파」 1장을 자신 필드에 뒷면 표시로 놓는다. | 트레이더 교환[15] | |
이 스킬은 덱에 「섬도기동-인게이지」 가 들어있지 않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에 「섬도기동-인게이지」 2장을 추가하고, 「섬도희」 링크 몬스터 4종류[16] 중 엑스트라 덱에 존재하지 않는 몬스터를 1장씩 엑스트라 덱에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섬도」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 트레이더 교환[17] | |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한다. ②: 자신이 「클리포트」 몬스터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이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한 몬스터의 수 × 800 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 트레이더 교환[18]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듀얼 중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고, ③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은 「마굉신」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 / 상대의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자신의 패 / 필드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서 「마굉신」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패에서 「마굉신」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굉신」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 소환에 더하여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마굉신 그리므로」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19] | |
이 스킬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씩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은 「대행자」 「히페리온」 몬스터, 싱크로 몬스터, 일반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대행자」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이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20] | |
이 스킬의 ①②의 효과는, 덱(엑스트라 덱은 포함하지 않음)에 「충혹마」 몬스터가 12장 이상 들어있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이 엑시즈 몬스터뿐일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충혹마」 몬스터 1장을 낸다. ②: 듀얼 중에 1번, 2턴째 이후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충혹마」 몬스터, 「홀」 일반 함정 카드, 「함정 속으로」 일반 함정 카드 중 1장을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덱 외에서 「교활한 함정 속으로」 1장을 덱에 추가한다. 그 후, 「충혹마」 몬스터, 「홀」 일반 함정 카드, 「함정 속으로」 일반 함정 카드 중 1장을 덱에서 패에 넣을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21]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듀얼 중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엑스트라 덱에 「크로노다이버 리단」을 1장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크로노다이버」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사이킥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패에서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기계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상대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추가로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에 「타락천사의 계단」과 「반역의 타락천사」를 1장씩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타락천사」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패의 「향락의 타락천사」 또는 「열락의 타락천사」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되돌린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향락의 타락천사」 또는 「열락의 타락천사」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상대 필드에만 카드가 존재할 경우, 대신에 덱에서 「금지된」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은 덱(엑스트라 덱은 포함하지 않음)에 「진룡」 카드가 15장 이상 들어있고, 필드 마법 카드가 들어있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있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에 「드래고닉D」 3장을 추가한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은 「고스트릭」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고스트릭의 마녀」, 레벨 1의 「고스트릭」 몬스터, 「고스트릭」 필드 마법 카드 중 1장을 패에서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듀얼 중에 1번). 덱에서 「고스트릭」몬스터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낸다(표시 형식 변경 가능). 그 후, 덱에서 「고스트릭」 마법/함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뒷면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에 「드래그니티 글로」와 「드래그니티 보이드」를 1장씩, 엑스트라 덱에 「드래그니티 나이트-로물루스」 1장을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드래그니티」 몬스터 또는 수비력 2400 이하의 드래곤족/비행야수족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패의 「용의 계곡」 또는 「질풍의 드래그니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니티」몬스터 또는 「드래그니티」 장비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묘지로 보낸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③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은 「성각」 몬스터 또는 레벨 / 랭크가 5 이상의 드래곤족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패의 「소집의 성각인」 또는 「창조의 성각인」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성각」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엑스트라 몬스터 존 또는 상대 필드에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성각」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이 턴부터 발동 가능).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일반 드로우 1장은 덱의 「프라이드와 혼의 드래곤」이 되고, 그 이외의 자신의 패 / 덱 / 엑스트라 덱 / 필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내고, 자신의 제외 상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의 묘지의 카드가 25장 이상 존재할 경우, 그중에서 무작위로 25장 골라 그 같은 이름의 카드를 덱 외에서 상대 묘지로 보낸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고, 「프라이드와 혼의 드래곤」 이외의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패의 「프라이드와 혼의 드래곤」 1장을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 이벤트 보상[22] | |
이 스킬의 ②③의 효과는 덱(엑스트라 덱은 포함하지 않음)에 땅 / 물 / 화염 / 바람 속성의 「드래곤메이드」 몬스터가 8종류 이상 들어있을 경우에 각각 듀얼 중에 1번씩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은 「드래곤메이드」몬스터밖에 레벨을 가진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패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메이드」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상대 필드에만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의 「드래곤메이드 릴랙제이션」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이 턴부터 발동 가능).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은 「대사신 레세프」 밖에 의식 소환할 수 없다. ②: 2턴째 이후에 패의 「고상의식술」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덱 외에서 일반 몬스터 2종류[23]를 1장씩 패에 넣는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통상 소환할 수 없고, 「대사신 레세프」 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의식 몬스터 및 의식 마법 카드의 효과밖에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③: 패의 의식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 외에서 「대사신의 의식」 1장을 패에 넣는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원래의 카드명이 「아라드와의 네크로즈」인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 10의 「네크로즈」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묘지에서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자신의 묘지의 「네크로즈」 카드를 2장까지 골라 패에 넣는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턴 동안에, 자신은 「알버스의 낙윤」, 마법사족 / 빛 속성 몬스터, 「스프리건즈」 몬스터, 융합 / 엑시즈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패의 「알버스의 낙윤」 또는 「스프리건즈」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알버스의 낙윤」과 레벨 4의 「스프리건즈」 몬스터를 각각 1장까지 묘지로 보내고, 「스프리건즈」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이 턴부터 발동 가능). 「알버스의 낙윤」을 패에서 묘지로 보냈을 경우, 추가로 덱에서 「스프리건즈」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턴 동안에, 자신은 「서브테러」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패의 레벨 4의 「서브테러」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지중계 샴발라」 또는 「서브테러의 결전」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이 턴부터 발동 가능). 패에서 세트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 / 덱에서 레벨 5 이상의 「서브테러」 몬스터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낼 수 있다(표시 형식 변경 가능). | 트레이더 교환 |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덱 외에서 「트라이브리게이드」 링크 몬스터 4종류[24]를 1장씩 특수 소환 가능한 상태로 제외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알버스의 낙윤」, 마법사족 / 빛 속성 몬스터, 레벨을 가진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융합 / 링크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②: 패에서 「트라이브리게이드 키트」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트라이브리게이드」 카드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트라이브리게이드」 링크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패에서 「트라이브리게이드」 몬스터 1장을 낼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 |
|
7. CPU
CPU (Lv.40) | ||||
메인 덱 | ||||
틴당글 돌스 ×1 | 틴당글 베이스 가드너 ×1 | 틴당글 지레루스 ×3 | 크롤러 글리아 ×1 | 크롤러 덴드라이트 ×2 |
크롤러 리셉터 ×1 | 틴당글 인트루더 ×1 | 틴당글 아포스톨 ×3 | 크롤러 랑비에 ×1 | 메일의 계단 ×2 |
성유물의 괴뢰 ×1 | 서브테러의 계승 ×1 | 틴당글 들로네 ×1 | 크롤러 파라디온 ×1 | |
엑스트라 덱 | ||||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1 |
7.1. 듀얼 보상
듀얼 보상 | |
레어도 | <colbgcolor=white,#1C1D1F> 보상 카드 |
UR | 틴당글 하운드, 세트어퍼 |
SR | 틴당글 지레루스, 벨즈 프레이스, 마계발 명계행 버스 |
R | 폭탄 벌레, 혼돈의 주술사, 왕족친위대, 악마의 통곡 |
N | 카드의 사신 |
8. 미션
| |
카드 슬리브: 전승규 | <colbgcolor=white,#1C1D1F>평생 미션[1] |
카드 슬리브: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 평생 미션[2] |
카드 슬리브: 남매의 유대의 힘! 전승규 전승규&블루 엔젤 | 이벤트 미션[3] |
카드 슬리브: 전승규 &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전승규&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 이벤트 미션(1차)[4] |
| |
플레이매트: 전승규 | 평생 미션[5] |
플레이매트: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 평생 미션[6] |
플레이매트: 남매의 유대의 힘! 전승규 전승규&블루 엔젤 | 이벤트 미션[7] |
플레이매트: 전승규 &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전승규&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 이벤트 미션(1차)[8] |
==# 평가 #==
==# 기타 #==
[1] "전승규" 레벨 5 달성[2] "전승규" 100회 듀얼[3] 이벤트 점수 88만점(1차), xx만점(2차) 획득[4] "전승규" 캐릭터를 사용하여 듀얼 5회 승리[5] "전승규" 레벨 12 달성[6]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100회 소환[7] 이벤트 점수 220만점(1차), xx만점(2차) 획득[8] 획득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