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작에서의 모습}}}에 대한 내용은 [[카미조 하루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카미조 하루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카미조 하루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작에서의 모습: }}}[[카미조 하루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카미조 하루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카미조 하루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플레이 가능한 전설의 듀얼리스트 |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DM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어둠의 유희 | 카이바 | 조이 | 메이 발렌타인 | |
| | | | | |
| 안수진 | 유희 | 사마준 | 다이나소 용만 | |
| | | | | |
| 마해룡 | 어둠의 마리크 | 마리크 이슈타르 | 어둠의 바크라 | |
| | | | | |
| 키스 하워드 | 모크바 | 이시즈 이슈타르 | 리시드 | |
| | | | | |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 미궁형제 | 판도라 | 해골수스 | |
| | | | | |
| 에스퍼 로바 | 전우혁 | 빛과 어둠의 가면 | 듀크 | |
| | | | | |
| 유별난 | 레베카 홉킨스 | 조앤 | 노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DSOD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카이바(DSOD) | 모크바(DSOD) | 유희(DSOD) | 조이(DSOD) | |
| | | | | |
| 안수진(DSOD) | 카미 | 세라 | 구만 | |
| | ||||
| 바크라(DSOD)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GX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주다이 | 헬카이저 | 에드 피닉스 | 요한 안데르센 | |
| | | | | |
| 만죠메 | 안젤라 | 크로노스 | 유벨 | |
| | | | | |
| 한태인 | 강민 | 티라노 켄잔 | 사이오 | |
| | | | | |
| 주다이/유벨 | 레이 | 짐 크로커다일 쿡 | 오스틴 오브라이언 | |
| | ||||
| 패왕 주다이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5D's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유성 | 잭 아틀러스 | 크로우 호건 | 아나트 아키 | |
| | | | | |
| 루아 | 루카 | 안티노미 | 우시오 | |
| | | | | |
| 다크 시그너 키류 쿄스케 | 다크 시그너 칼리 | 다크 시그너 렉스 고드윈 | 키류 쿄스케 | |
| | | | | |
| 칼리 | 셰리 루브란 | 플라시도 | 아포리아 | |
| | | |||
| 패러독스 | Z-one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ZEXAL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유마 & 아스트랄 | 료 | 리오 | 이태호 | |
| | | | | |
| 한소희 | 카이트 | III | IV | |
| | | | | |
| V | 오안나 | 기라그 | 아리트 | |
| | | | ||
| 미자엘 | 도르베 | 벡터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ARC-V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유야 | 유리 | 유타 | 유고 | |
| | | | | |
| 송유미 | 세레나 | 루리 | 린 | |
| | | | | |
| 권현승 | 도진호 | 레이지 | 최하늘 | |
| | | |||
| 루마 | 데니스 맥필드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VRAINS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플레이메이커 & Ai | 소울 버너 | Go강철 | 블루 엔젤 | |
| | | | | |
| 리볼버 | 스펙터 | 고스트 걸 | 전승규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SEVENS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유가 | 루크 | 문인학 | 진로민 | |
| | | | | |
| 나미미 | 진로아 | 서문네일 | 아사나 | |
| | | | ||
| 사리호 | 하유온 | 하유화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GO RUSH!!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유디아스 벨갸 | 유상 | 유선 | 즈위죠 즬 벨갸 | |
| | ||||
| 문인혁 | ||||
| 파란색: 스피드 듀얼 룰을 사용하는 월드 주황색: 러시 듀얼 룰을 사용하는 월드 |
한국판 소개
루크 즉 사룩희의 누나. 고하 제7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생으로 관악부 부장이다. 격투술에 관악의 호흡법을 접목시킨 「호흡(브레스)」의 달인. 아사나와는 어떠한 오해 때문에 거리를 두고 있지만, 어릴 때부터 서로를 「아사냥」 「리호냥」이라 부를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다. 자칭 「타이거」. 만약 리호라고 부르기라도 한다면...... 「타이거라 부르라고 했잖냐-!!」
루크 즉 사룩희의 누나. 고하 제7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생으로 관악부 부장이다. 격투술에 관악의 호흡법을 접목시킨 「호흡(브레스)」의 달인. 아사나와는 어떠한 오해 때문에 거리를 두고 있지만, 어릴 때부터 서로를 「아사냥」 「리호냥」이라 부를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다. 자칭 「타이거」. 만약 리호라고 부르기라도 한다면...... 「타이거라 부르라고 했잖냐-!!」
1. 개요
- 한국판 성우: 이세레나
- 일본판 성우: 카미죠 사에코
2. 해금 미션
- 게이트 출현 조건:
- 캐릭터 해금 미션: 이벤트 "싸움의 브레스! 사리호 등장!"을 통해서만 획득 가능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미션1 | 이벤트 점수 1,200,000 포인트 획득 |
| 미션2 | 듀얼 월드(SEVENS)에 출현한 레벨 30 아사나를 상대로 승리 |
3. 대사가 나오는 카드
|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 <rowcolor=white> 한국어 | 일본어 | 영어 |
- 몬스터: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신악귀 파곳 핑거, 수악귀 트럼펫 타이거, 연악귀 산세츠콘트라, 단악희 오피클레이모어, 진악희 튜바르디시, 돌악희 트럼펫톤파, 선악희 눈차클라리넷, 부악희 플루토마호크, 권악희 메리켄색소, 경악희 클럽넷, 관조악희 트럼보우, 호악희 호른 왕 유에, 휘악희 콘택트, 새비지 클로 타이거, 애꾸눈의 화이트 타이거, 오리엔탈타이거, 오리엔탈스태추
- 엑스트라 덱: 환환악귀 풀오르케스트라, 환환악귀신 트랜스갓브레스, 환환악희 액션멜로디, 부악희 튠플루토마호크
4. 시작 덱
| 시작 덱 | ||||
| | ||||
| 메인 덱 | ||||
| UR 맥스 레이더×1 | SR 암흑의 용기사×1 | SR 엘프 검사×2 | R 드리야드×3 | R 레서 드래곤×2 |
| R 외눈 거인×2 | R 실버 팽×2 | N 땅을 기는 드래곤×3 | N 전설의 검객 마사키×3 | N 리저드 솔저×3 |
| N 용의 기도자×3 | N 블루 포션×2 | N 돌풍×3 | ||
| 엑스트라 덱 | ||||
5. 레벨 업 보상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1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16 | SR 수악귀 트럼펫 타이거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31 | |
| 2 | | 17 | | 32 | |
| 3 | R 단악희 오피클레이모어 | 18 | | 33 | |
| 4 | | 19 | | 34 | |
| 5 | | 20 | UR 악희의 입김 | 35 | UR 악희의 입김 |
| 6 | | 21 | | ||
| 7 | SR 수악귀 트럼펫 타이거 | 22 | | ||
| 8 | | 23 | | ||
| 9 | | 24 | | ||
| 10 | UR 악희의 입김 | 25 | R 단악희 오피클레이모어 | ||
| 11 | | 26 | | ||
| 12 | | 27 | | ||
| 13 | R 단악희 오피클레이모어 | 28 | | ||
| 14 | | 29 | | ||
| 15 | | 30 | SR 수악귀 트럼펫 타이거 | ||
6. 스킬
| | |
| 레벨 업 보상 스킬 | |
【조건】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효과】 자신의 덱에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1장을 추가한다(4장 이상으로는 추가되지 않는다). | <colbgcolor=white,#1C1D1F>레벨 1 달성 |
【조건】듀얼 중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 【효과】패의 「퓨전」 1장을 골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하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 레벨 6 달성 |
【조건】 2턴째 이후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자신이 선공이라면 듀얼 중 1번, 후공이라면 2번까지).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 묘지의 「탐욕의 항아리」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덱 맨 위에 놓는다. 이 드로우 페이즈에 패가 5장이 되도록 자신이 일반 드로우를 할 경우, 대신에 패가 6장이 되도록 일반 드로우를 한다. | 레벨 12 달성 |
【조건】 몬스터가 몬스터(바람 속성/전사족 야수족)뿐인 덱일 경우, 2턴째 이후에, 패의 몬스터(전사족/수비력 2000 이상)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 묘지에서, 「휘악희 콘택트」 1장 또는 「퓨전」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이 턴에, 자신이 몬스터(전사족/수비력 2000 이상)를 통상 소환할 경우에 필요한 릴리스는 1장 줄어든다. | 레벨 18 달성 |
| 캐릭터 전용 스킬 | |
【조건】 2턴째 이후의 자신이 수악귀 트럼펫 타이거 일반 소환한 턴에,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의 묘지에서,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또는 「신악귀 파곳 핑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 랜덤 드랍 |
【조건】 2턴째 이후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이 턴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인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또는 「신악귀 파곳 핑거」 1장을 고른다. 이 턴에, 그 몬스터의 공격은 관통한다. 그 후, 텍 외의 「악희의 배급풍」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자신이 성공이라면 듀얼 중에 1번, 후공이라면 2번까지). | 랜덤 드랍 |
【조건】 2턴째 이후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자신이 선공이라면 듀얼 중에 2번, 후공이라면 3번까지). 【효과】 자신의 덱/묘지의 「악희의 연무」 또는 「일기관통」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덱 맨 위에 놓는다(「악희의 연무」는 듀얼 중에 1번까지). 이 드로우 페이즈에 패가 5장이 되도록 자신이 일반 드로우를 할 경우, 대신에 패가 6장이 되도록 일반 드로우를 한다. | 이벤트 보상[1] |
| 기타 스킬 | |
【조건】 듀얼 중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의 묘지에서 「구신의 인장」 1장을 골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 | 랜덤 드랍 |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수비력 2200 이상)가 있을 경우, 또는 상대 필드의 수비 표시 몬스터가 3장일 경우, 자신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의 묘지의 「수비봉인」 1장을 골라 덱 맨 위에 놓는다. | 랜덤 드랍 |
【조건】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3장일 경우, 자신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효과】일반 드로우 1장은 자신의 덱에서 무작위로 골라진 일반 몬스터(레벨 4)가 된다. | 랜덤 드랍 |
【조건】 듀얼 중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 【효과】자신의 덱의 일반 몬스터(땅·물·화염·바람)를 무작위로 2장 골라 묘지로 보낸다. | 랜덤 드랍 |
【조건】 듀얼 중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 【효과】 패의 「해머크래시」 1장을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하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 랜덤 드랍 |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text-align:left;" | 이 스킬은 몬스터(공격력 2500 이상)가 마법사족뿐인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2턴째 이후에 패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 수비력 1700 이상)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의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골라 패에 넣고, 패의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 수비력 1700 이상)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낸다. | <colbgcolor=white,#1f2023>트레이더 교환[1][2] |
【조건】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가 있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 4턴째 이후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효과】일반 드로우 1장은 자신의 덱의 레전드 몬스터가 된다. | "유가" 레벨 6 달성 보상 | |
【조건】 4턴째 이후에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 6)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이 턴에, 자신은 직접 공격할 수 없고,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고른 몬스터는 2장만큼의 릴리스가 된다. | "루크" 레벨 12 달성 보상 | |
이 스킬은 일반 몬스터(수비력 1500 이상)가 5장 이상 있고 몬스터(레벨 4 이상)가 수비력 1200 이상뿐인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일반 몬스터(레벨 6 이상 / 수비력 1500이상)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골라,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600 올린다. | 트레이더 교환[3][4] | |
【조건】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2000 이상 적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효과】 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 "진로민" 레벨 12 달성 보상 | |
【조건】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가 있고 자신 필드에 앞면 공격 표시의 일반 몬스터(레벨 3 / 공격력 1000 / 수비력 400) 또는 일반 몬스터(레벨 1 / 공격력 0 / 수비력 1400)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은 패 1장을 골라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다음 자신 턴에, 자신은 이 스킬을 발동할 수 없다. | "문인학" 레벨 12 달성 보상 | |
이 스킬은 일반 몬스터(화염족 / 공격력 1300 이하)가 6장 이상 있고 몬스터(레벨 5 이상)가 몬스터(화염 속성 / 공격력 2400 이하 / 수비력 0)와 일반 몬스터(화염족)뿐인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없음. 【효과】 이 턴에 일반 소환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또는 앞면 표시 몬스터(화염족 / 공격력 1300 이하)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400 올린다. | 트레이더 교환[5][6] | |
【조건】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며,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적을 경우, 4턴째 이후의 일반 드로우 전에 발동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효과】 일반 드로우 1장은 자신의 덱에서 무작위로 골라진 가장 공격력이 높은 일반 몬스터(레벨 7이상)가 된다. 10번째 이후일 경우, 추가로 덱 외에서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한다. | 트레이더 교환[7][8] | |
이 스킬은 몬스터(레벨 5 이상)가 7장 이상 있는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2턴째 이후에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패의 「아기 흑룡」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자신의 덱 또는 자신 묘지에서 「붉은 눈의 흑룡」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400 내릴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은 효과 몬스터(레벨 7)로 공격할 수 없다. | 트레이더 교환[9][10] | |
이 스킬은 몬스터 (공격력 1400 이상)가 바람 속성뿐인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없음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해피레이디즈」 또는 「해피의 애완 드래곤」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레벨]×100 올린다. 상대 필드에 공격 표시 몬스터가 없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수비 표시 몬스터 1장을 골라 앞면 공격 표시로 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11][12]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text-align:left;" | 이 스킬은 「해피레이디즈」 이 3장 있는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6턴째 이후에, 패의 몬스터(바람 속성/ 비행야수족 / 공격력 2100 / 수비력 0)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 묘지의 「해피레이디즈」 1장을 골라 패에 넣을 수 있다. 패에 넣었을 경우,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묘지로 보내고, 이 턴에, 상대는 전투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 <colbgcolor=white,#1C1D1F>트레이더 교환[13][14] |
이 스킬은 몬스터(레벨 4 이외)가 번개족뿐인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자신이 몬스터(레벨 7 이상 / 수비력 1600 이하)를 앞면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레벨]×100 내린다. 그 후,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1장 골라 앞면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15][16] | |
이 스킬은 몬스터(공격력 또는 수비력 1700 이상)가 몬스터(레벨 8 / 빛 속성 / 수비력 1600 이상)뿐이고 몬스터(레벨 5 이상)가 7장 이상 있는 덱일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상)가 없을 경우, 2턴째 이후에,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의 패의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의 「푸른 눈의 브라이트 드래곤」 1장을 패에 넣는다. | 트레이더 교환[17][18] | |
이 스킬은 몬스터(레벨 5 이상)가 효과 몬스터(화염 속성 / 화염족 / 수비력 0)와 일반 몬스터(화염족)뿐인 덱일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없음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600 올린다. 이 턴에 일반 소환한 몬스터(레벨 7 이상)를 골랐을 경우, 추가로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화염족 / 공격력 1300 이하)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 트레이더 교환[19][20] | |
이 스킬은 몬스터(공격력 1400 이상)가 식물족뿐인 덱일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없음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 땅 속성 / 식물족) 1장을 고른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 올린다. 이 턴에 특수 소환한 「화아 쿠노이치 에트랑제」를 골랐을 경우, 추가로 이 턴에, 그 몬스터의 공격은 관통한다. | 트레이더 교환[21][22] | |
이 스킬은 몬스터(공격력 1300 이상)가, 몬스터(전사족 / 공격력 2600 또는 2300)뿐이고, 5장 이상 들어있는 덱일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조건】 없음 【효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공격력 2300 이상)는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이 500 내려가고, 종족이 드래곤족이 된다. 4턴째 이후일 경우, 추가로 자신의 패 1장과 자신의 덱의 몬스터(레벨 7)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낼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 이벤트 보상[23] | |
이 스킬은 몬스터(레벨 7 이외 / 기계족)뿐인 덱일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조건】 2턴째 이후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공격력 2100 또는 2400)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그 후, 자신의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되돌렸을 경우, 자신의 덱 또는 자신 묘지의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 1장 또는 「퓨전」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각각 듀얼 중에 1장까지). | 트레이더 교환[24] | |
【조건】 몬스터(공격력 1600 이상)가 몬스터(빛 속성 / 전사족)뿐인 덱이고 몬스터가 전사족뿐인 엑스트라 덱일때,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턴 종료시까지 600 내린다. 그 후, 자신의 덱 또는 자신의 묘지의「퓨전」 1장을 골라 패에 넣을 수 있다. | 트레이더 교환[25] | |
【조건】 몬스터가 물 속성뿐이고 몬스터(레벨 2~4 이외)가 해룡족뿐인 덱일 경우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1장을 고르고, 그 원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2900으로 한다. 자신의 필드 존에 카드가 없을 경우, 추가로 또는 자신의 덱 또는 자신의 묘지의「바다」 1장을 골라 자신의 필드 존에 세트할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 트레이더 교환[26] | |
【조건】 몬스터(공격력 1600 이상)가 몬스터(공격력 2300 / 수비력 2100)와 일반 몬스터(레벨 5 이하 / 드래곤족)뿐인 덱일 경우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의 일반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600 올린다. 그 후, 일반 몬스터와 「융합」을 각각 1장까지 자신의 덱 / 묘지에서 골라 패에 넣을 수 있다(듀얼 중에 1번). | 이벤트 보상[27]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text-align:left;" | 【조건】 2턴째 이후에, 패의 「핸디레이디」 또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핸디레이디」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자신의 덱 또는 자신 묘지의 「시크릿오더」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 <colbgcolor=white,#1C1D1F>트레이더 교환[28] |
|
7. CPU
파일:듀얼링크스 사리호덱.png| CPU (Lv.40) | ||||
| 메인 덱 | ||||
| 신악귀 파곳 핑거 ×1 | 수악귀 트럼펫 타이거 ×1 | 간파의 하베이 ×1 | 관조악희 트럼보우 ×1 | 선악희 눈차클라리넷 ×1 |
| 호악희 호른 왕 유에 ×3 | 탁월풍의 비에토르 ×1 | 단악희 오피클레이모어 ×1 | 부악희 플루토마호크 ×2 | 경악희 클럽넷 ×3 |
| 애꾸눈의 화이트 타이거 ×3 | 권악희 메리켄색소 ×2 | 휘악희 콘택트 ×2 | 관통! ×1 | 악희의 배급풍 ×1 |
| 퓨전 ×1 | 악희의 입김 ×1 | 일기관통 ×1 | 원사이드 리버스 ×1 | 돌풍 ×1 |
| 진군의 나팔 ×1 | ||||
| 엑스트라 덱 | ||||
| 환환악귀신 트랜스갓브레스 ×1 | ||||
7.1. 듀얼 보상
| 듀얼 보상 | |
| 레어도 | <colbgcolor=white,#1C1D1F> 보상 카드 |
| UR | 환환악귀 풀오르케스트라, 환환악희 액션멜로디 |
| SR |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진악희 튜바르디시 |
| R | 물의 마도사, 천공룡 |
| N | 스파크, 레드 포션, 비슈와 란디 |
8. 미션
| | |
| 카드 슬리브: 사리호 | <colbgcolor=white,#1C1D1F>평생 미션[2] |
| 카드 슬리브: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 평생 미션[3] |
| 카드 슬리브: 사리호&중악귀 앙상블파이터 | 이벤트 미션[4] |
| 카드 슬리브: 타이거&드래곤 | 이벤트 미션(1차)[5] |
| 카드 슬리브: 리호냥&아사냥 | 이벤트 미션(2차)[6] |
| 카드 슬리브: [타이거 도장] 고하 제7초등학교 취주악부 부실 앞 | 이벤트 미션(2차)[7] |
| 카드 슬리브: [타이거 도장] 목인 (브레스) | 이벤트 미션(2차)[8] |
| 카드 슬리브: [타이거 도장] 사리호 | 이벤트 미션(2차)[9] |
| | |
| 플레이매트: 사리호 | 평생 미션[10] |
| 플레이매트: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 평생 미션[11] |
| 플레이매트: 사리호&중악귀 앙상블파이터 | 이벤트 미션[12] |
| 플레이매트: 타이거&드래곤 | 이벤트 미션(1차)[13] |
| 플레이매트: 리호냥&아사냥 | 이벤트 미션(2차)[14] |
| 플레이매트: [타이거 도장] 고하 제7초등학교 취주악부 부실 앞 | 이벤트 미션(1차)[15] |
| 플레이매트: [타이거 도장] 목인 (투지) | 이벤트 미션(1차)[16] |
| 플레이매트: [타이거 도장] 목인 (브레스) | 이벤트 미션(1차)[17] |
| 플레이매트: [타이거 도장] 사리호 | 이벤트 미션(1차)[18] |
9. 평가
10. 기타
러시 듀얼 쪽 듀얼리스트들 중에서는 처음으로 에이스 카드가 상점 카드로 풀리지 않은 경우에 속한다.별명이 타이거인 것을 의식하여 원작에서 쓴 적도 없고 악희/악귀 테마에 속하지 않은 카드라도 카드명에 '타이거'가 들어가거나 호랑이 모티브의 카드라면 보이스가 붙어 있다.
원작에서 이름으로 불렸다가 타이거라고 부르라며 정정하는 장면이 많았어서인지 획득 이벤트의 '추천 보상' 탭의 카드 설명에서도 '사리호, 아니 타이거의 에이스 몬스터' 같은 식으로 장난 섞은 서술이 되어 있다. 그 와중에 한 번은 '타이거, 아니 사리호의 악희 몬스터' 하면서 반대로 고치는 게 개그.[19]
[1] "사리호" 캐릭터를 플레이하여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3회 소환한다.[2] "사리호" 레벨 5 달성[3] "사리호" 100회 듀얼[4] 이벤트 점수 65만점(1차), 40만점(2차) 획득[5] "사리호" 캐릭터를 사용하여 5회 승리[6] "사리호" 캐릭터를 사용하여 5회 승리[7]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리코더 브레스」 모두 완료[8]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하모니카의 브레스」 모두 완료[9]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타이거의 브레스」 모두 완료[10] "사리호" 레벨 12 달성[11]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100회 소환[12] 이벤트 점수 230만점(1차), 100만점(2차) 획득[13] "사리호" 캐릭터를 플레이하여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1회 소환한다.[14] "사리호" 캐릭터를 플레이하여 "중악귀 앙상블파이터" 1회 소환한다.[15]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리코더 브레스」 모두 완료[16]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하모니카의 브레스」 모두 완료[17]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오카리나의 브레스」 모두 완료[18] 고조되는 브레스의! 타이거 도장! - 특훈 「타이거의 브레스」 모두 완료[19] 번역 실수가 아니라 일본판 원문에서부터 반대로 고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