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정부 | 문재인 정부 | |||
2대 전충렬 | → | 3대 임채호 | → | 4대 윤종인 |
임채호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3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 임채호 林采虎 | Rheem Chae-ho | |
| |
출생 | 1958년 3월 29일 ([age(1958-03-29)]세)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1] 서평마을[2] | |
본관 | 나주 임씨[3] |
재임기간 | 제9대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김두관 도정) |
2010년 10월 25일 ~ 2012년 12월 19일 | |
제3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 (차관급) | |
2015년 5월 26일 ~ 2018년 5월 25일 | |
학력 | 진주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 77 / 학사) 시라큐스 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석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행정학 / 박사[4]) |
경력 | 제26회 행정고시 합격 행정자치부 자치제도과장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장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소 대전청사관리소장 행정안전부 제도정책관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김두관 도정) 경상남도지사 권한대행 지방행정연수원장 (제49대 / 박근혜 정부) 소청심사위원회 상임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 (제3대 / 박근혜 정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박근혜 정부시절 차관급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냈다.2. 생애
1958년 3월 29일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서평마을에서 아버지 임장택(林章澤, 1926.1.26. ~ 1963.7.5.)과 어머니 전주 이씨 이숙자(李淑子, 1926.3.6. ~ )[5] 사이에서 3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73년 3월 진주고등학교에 입학해 1976년 2월 졸업하였고, 1977년 3월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에 진학해 1981년 2월 졸업하였다.1982년 제26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하였다. 이후 경상남도청에서 공직을 시작하였다. 1991년 8월 미국 시라큐스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93년 5월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행정자치부에서 자치행정과장, 자치제도과장, 분권지원과장, 정부청사관리소 대전청사관리소장을 맡았고, 2010년 2월 행정안전부 제도정책관을 지냈다.[6]
2010년 10월 관리관(1급, 고공단 가급)으로 승진하여 경상남도 행정부지사로 이동하였다. 행정부지사 재직 중 김두관 경상남도지사가 제18대 대통령 선거의 민주통합당 경선 참여를 위해 사퇴하자 경상남도지사 권한대행으로 홍준표가 당선될 때까지 경남도정을 이끌었다. 홍준표가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자, 행정안전부 일반직 고위공무원으로 복귀하였다.
이후에는 같은 1급 보직인 지방행정연수원장과 소청심사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내다가 박근혜 정부에서 차관급 정무직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영전하였다[7]. 2015년 5월 부임하였고, 2018년 2월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국정관리학과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8년 5월 3년간의 임기를 마친 뒤 공직을 퇴임하였다.
3. 여담
- 저서로서 '지방재정위기' (2018), 번역서로서 '영국의 지방정부' (2008)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