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5 09:28:40

윌리엄 애프튼

윌리엄 애프턴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윌리엄 애프튼|{{{#!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윌리엄 애프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black> 파일:FNAF 제목.png{{{+3 {{{#white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역대 주인공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NaF 1
(2014)
FNaF 2
(2014)
FNaF 3
(2015)
마이크 슈미트제레미 피츠제럴드
7일밤: 프리츠 스미스
공포의 집 경비원*
FNaF 4
(2015)
FNaF SL
(2016)
FFPS
(2017)
우는 아이
6~7일밤: 우는 아이의 형
에그 베네딕트마이클 애프튼
UCN
(2018)
FNaF HW
(2019)
FNaF SB
(2021)
윌리엄 애프튼?플레이어
바네사?
그레고리
RUIN: 캐시
FNaF HW 2
(2023)
FNaF: SoTM
(2025)
캐시의 아버지?*아놀드
• 팬덤이 추측하는 가설은 ? 표시.
• 비공식 명칭은 * 표시.
}}}}}}}}} ||

애프튼 일가
Afton Family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일가 목록 ▼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아버지 장남 차남
}}}}}}}}} ||

퍼플 가이
Purple Guy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부자 목록 ▼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아버지 아들
}}}}}}}}} ||

윌리엄 애프튼
William Afton
<nopad> 파일:IalwaysCUMback.png
<colbgcolor=#71009E,#000> FNaF 2의 미니게임(SAVETHEM)에서 묘사된 모습
<colcolor=#fff,#71009E> 본명 윌리엄 애프튼 (William Afton)[1][2]
이명
[ 이명|펼치기 · 접기 ]
스프링트랩 (Springtrap)[3]
스크랩트랩 (Scraptrap)[4]
퍼플 가이 (Purple Guy) (FNaF World)[a]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인종 백인
성별 남성
나이 70세 이상[6]
종족 인간 → 애니매트로닉스[7]
소속 애프튼 일가
프레드베어의 가족 식당 (FNaF 4 이전 시점)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 (공동 창업자)
애프튼 로보틱스 (FNaF 4 시점)
서커스 베이비의 엔터테인먼트 및 대여 (FNaF SL 시점)
직업 사업가 (FNaF 4 / FNaF SL)
기술자 (FNaF 4 / FNaF SL)
가족 아내 애프튼 부인
장남 마이클 애프튼
차남 우는 아이
엘리자베스 애프튼
성우 파일:호주 국기.svg PJ 헤이우드[8]
파일:미국 국기.svg 매튜 릴라드[9]
파일:일본 국기.svg 타니 아츠키[10]
배우 파일:미국 국기.svg 매튜 릴라드
테마곡 The Yellow Rabbit(실사영화)

1. 개요2. 특징3. 능력4. 작중 행적5. 평가6. 상품7. 콜라보8. 의문점
8.1. 애프튼 부인에 대해8.2. 양아버지 설
9. 여담


1. 개요

FNaF 시리즈메인 빌런이자 모든 사건의 시초.[11] 윌리엄 애프튼이라는 본명이 나오기 전까지는 팬덤에서 퍼플가이라고 불렀다.[a]

2. 특징

파일:프레디파일 퍼플.png 파일:스프링 보니 슈트 편집.jpg
설정집 프레디파일에서의 모습 스프링 보니 슈트를 착용한 모습[13]
파일:Springtrap_프로필.png 파일:스크랩트랩.jpg
스프링트랩 스크랩트랩
파일:Ws3br62.png
미니게임에서 묘사된 모습[14]
프레드베어의 가족 식당(Fredbear's Family Diner)의 경영자 /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의 공동 창업자 및 애프튼 로보틱스 LLC(Afton Robotics LLC)의 대표 및 산하 서커스 베이비의 엔터테인먼트 및 대여(Circus Baby's Entertainment & Rental)의 소유자. 즉, 4편과 SL의 애니매트로닉스는 이 인물의 작품이다. 슬하에 두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두고 있다.

거기에 사람을 해칠 수 있는 기능을 넣은 로봇까지 만들었다. 몰래 아이를 죽이고 천연덕스럽게 가게 경영을 하는 것으로 보아 얼마나 성격에 결함이 있는지 알 수 있다.[15] 게다가 죽은 자식을 어떻게 해보기 위해 이라며 다른 자식위험한 곳으로 보내는 대단한 아버지이다.[16]

그래도 자신이 만든 위험한 로봇에게 딸 엘리자베스를 가까이 가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보아, 딸은 소중히 여겼던 모양. 그러나 딸이 서커스 베이비한테 간 그날, 그가 설계해 둔 베이비의 기능으로 인해 딸을 잃었다.[17][18][19]

큰아들인 마이클을 모종의 이유로 자신의 회사 직원으로 투입시켰다.[20] 마이클은 엘리자베스의 영혼 구제에 성공한 줄 알았지만 후속작인 FFPS에서 베이비의 상태를 보아 사실상 실패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수년이 지나 폐쇄된 1편의 가게에 숨어들어 매일 밤마다 애니매트로닉스들을 안전실로 유인하여 해체시킨 뒤, 자신이 죽였던 아이들의 원혼에게 시달리다 스프링 보니의 슈트에 갇혀 죽게 된다.[21][22] 이후 스프링트랩으로[23] 약 30년 정도에 세월 간 방치되어 있다가 3편에서 공포의 집 어트랙션의 주인이 가져다 놓는 바람에 메인 애니매트로닉스로 등장해, 주인공을 공격하려 든다. 이후 파즈베어 공포의 집이 불타버렸을 때도 남몰래 살아남아 공포의 집을 빠져나온 뒤 잠적한다.

이후 FFPS에서 다시 등장하는데, 3편과는 디자인이 달라졌다. 결국 마이클과 헨리[24]에 의해 자녀들은 영혼이 해방되지만 윌리엄은 지옥에나 처박히라는 헨리의 저주를 듣고[25], 정말로 지옥에 떨어지는 최후를 맞는다.

SL의 공간적 배경인 서커스 베이비의 엔터테인먼트 및 대여와 4편 주인공의 집(겸 가게)이 동일한 장소임이 드러났으므로, 이로 인해 4편 주인공은 이 인물의 아들로 추측가능하다. 즉, 세 명의 자녀를 모두 자신의 로봇 때문에 잃은 셈.[26]

본인의 가족들과는 달리 인간 시절의 얼굴이 게임 내에서 제대로 공개되지 않은 인물이다. 스프링트랩 내부에 있는 머리의 모양으로 상상하는 거 말고는 알아낼 방법이 없다.[27] 아들인 마이클은 FNaF 4의 미니 게임, FNaF SL의 컷씬에서 생김새가 공개되었으나 윌리엄은 온몸이 보라색인 모습과 스프링트랩 이후의 모습 이외에는 시리즈 중 제대로 된 생김새가 나오지 않는다.[28] 소설판을 기반으로 한 코믹스에서는 얼굴이 나오는데 갈색 머리와 죽은 눈을 가진, 굉장히 똘끼 넘쳐 보이는 얼굴이다.

모습이 공개되지 않은 것과는 별개로 의외로 키가 큰 듯한 묘사가 있는데, FNAF 4편의 미니게임에서 직원에게 스프링 보니 슈트를 입혀주는 모습을 보면 직원보다 키가 훨씬 크게 나오며, 소설판에서도 키가 크다는 언급이 있고, FNaF HWDEAD BY DAYLIGHT를 통해 공개된 스프링트랩 슈트 모델링을 분석해본 결과 스프링트랩의 크기가 무려 230cm, 토끼 귀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205cm라는 어마어마한 거구임이 밝혀졌는데, 스프링 보니 슈트는 정황상 자기가 입고 다니려고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으니 윌리엄 역시 저 슈트의 사이즈에 맞춰 상당히 키가 컸을 가능성이 높다. 영화판에서 윌리엄의 배우를 맡은 매튜 릴라드 역시 193cm의 장신에 속한다. 즉 생전 아무리 못해도 190cm를 넘는 장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3. 능력

파일:gigawilliam.gif
클래식 애니메트로닉스들을 한방에 분쇄하는 윌리엄
Let's see how many times you can be pulled apart... and put back together again.
네가 얼마나 많이 분해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이 다시 재조립 할 수 있을지 보자구나.
FNaF AR에서 스프링트랩 대사

잔악한 면과 애니매트로닉스들의 흉측한 모습에 가려졌지만 명실상부 자타공인됐을 정도로 로봇들의 기술이 엄청나다. 일단 현대 아틀라스와 같이 최고급 성능의 휴머노이드만 겨우 가능한 움직임과 기능부터[29] 제작하였고, 그 결과 애니매트로닉스들은 인간과 다름없는 수준의 이동능력을 선보인다. 이 인물은 1980년대 혹은 그 이전[30], 즉 초고성능 애니매트로닉스들을 냉전 때부터 제작한 것이다. 특히 기능 면에서도 넘사벽인데, 거의 대부분 청각 능력이 인간과 비슷하거나 이상인 수준이며 문을 여닫거나 의심을 하고 위장하거나 하는 등 인간과 동일 수준의 지능을 지녔다. 이는 소름 돋을 정도로 철저하고 치밀한 계획으로 창조주인 윌리엄을 죽이려 한 에너드만 봐도 알 수 있다. 로봇이 인간인 척 위장하고 바깥세상으로 나가기 위해 분해장치인 스쿠퍼로 사람을 죽이고 내장을 비워낸 뒤 외피를 뒤집어쓰고 나가자는 생각을 하는 것부터가 문제. 다만 에너드가 원래 노린 윌리엄은 온데간데없고 마이클이 걸리는 바람에 죄 없는 마이클만 좀비로 변해버린다.[31][32]

두뇌 외에도 신체 능력 또한 뛰어나다. 공방에서 박혀 로봇이나 만들고 돈 관리나 하고 있었을 양반이 어째 운동선수 저리 가라 하는 힘을 구사한다. 생전에도 귀신 들린 애니매트로닉스 4대를 단신으로 부숴버렸다. 물론 기습이었다곤 하지만 몸 전체가 금속이고 2M가 넘는데다가 아예 성인 1명도 쉽게 살해해서 내부로 쑤셔 넣어 죽이는 녀석들을 제압한 것이다. 초속 14m/s인 폭시마저 빠르게 제압당할 정도.

외전작들에서도 이러한 초인적인 능력이 반영되는데 소설 3부작에선 출동한 경찰관을 단숨에 살해하는 위엄을 보여주고 실사 영화에선 권총을 든 바네사랑 테이저건을 든 마이크의 공격을 모두 무시하고 동시에 가볍게 제압해버린다.

스프링트랩이 되고나선 더 강화됬는데 제빠르게 복도를 이동하는가 하면 환풍구도 빠르게 지나갈 수 있다. fazbear fright에서 라슨 형사에 따르면 경주용 자동차급 속도로 빠르게 달릴 수 있다고 한다.

여기에 팬텀 애니매트로닉스들을 소환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는것으로 보인다.[33]

이 외에도 Freddy Fazbear's Pizza에서 아이들 5명을 죽였을 적 빼고는 정황상 단 한 번도 경찰에게 발각된 적이 없는 등[34] 주도 면밀하고 철저한 증거인멸 능력 역시 무시무시하다.

오죽하면 윌리엄 애프튼이 정부 기관에서 일했으면 게임이 폴아웃 시리즈가 될 수도 있었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35]

사업적 감각과 사람 조종에도 뛰어났는데,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면서 거대 기업으로 만들고,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에드윈 머레이을 파즈베어에 의존하게 만들고, 머레이 컴퍼니 직원들을 파즈베어 쪽으로 오게 회유시켜 점차적으로 머레이를 몰락시키면서 최종적으론 머레이가 가진 모든 것을 흡수했다.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윌리엄 애프튼/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애프튼/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애프튼/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There is only one thing left for me to do now. I'm going to come find you. I'm going to come find you...
제가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는 듯 하네요. 전 당신을 찾아 갈 겁니다. 내가 당신을 찾으러 갈 거라고...
FNaF SL의 마지막 컷신에서 마이클 애프튼이 윌리엄에게 말한 대사
Although, for one of you, the darkest pit of Hell has opened to swallow you whole, so don't keep the Devil waiting, old friend.
하지만, 너희들 중 1명은, 지옥의 가장 어두운 불구덩이가 자네를 집어 삼키기 위해 열렸으니, 악마를 기다리게 하지 말게나, 오랜 친구여.
FFPS의 엔딩에서 헨리 에밀리가 윌리엄에게 말한 대사
시리즈 내 모든 사건의 시발점이자 사실상 만악의 근원이며, 이를 방증하듯 작중에선 흔히 알려진 미치광이 살인마가 되기 전인 과거 시점에서도, 철저히 자신의 사업의 부흥을 위해서라면 안전성이든 우정이든 다 버리는 상사로서 최악의 면모를 보여줬고, 제대로 살인마의 길을 걷게 된 후로는 아이들을 마구잡이로 살해하고 다녔을 정도로 살인 자체를 즐겨왔던 것으로 보이며 그동안 철저하게 경찰들의 수사망을 피해 살아왔다.[36][37] 그 후 자신의 살해 흔적들을 지우기 위해 폐점한 가게 안에 몰래 들어가 애니매트로닉스들을 해체시켰다가 그 안에 들어있던 원혼들에게 쫓기게 되고 버려진 낡은 인형 탈을 입는 것으로 숨어보지만 내장된 용수철 잠금 장치가 고장나 끔찍하게 압사당한다.

하지만 자신이 입은 인형 탈[38] 영혼이 빙의하여 살아났고, 여전히 사람을 위협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가 FFPS 시점에서 아들 마이클에게 발견되어 가게 안으로 들어가는데, 이젠 자신의 아들마저 죽이려고 달려들기까지 하는 패륜을 저지른다.

결국 그 모든 비극이 비로소 끝나고 자신의 아들, 옛 동업자동업자의 딸과 함께 불길 속으로 불타 사라진 후, 모두 안식을 찾고 성불한 다른 인물들과 달리, 윌리엄은 헨리가 그에게 내린 저주대로 지옥의 가장 어두운 불구덩이 속으로 떨어졌으며, 지금껏 자신이 만들어내 수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줬던 애니매트로닉스들에게 영원히 고통받는 비참한 말로를 맞게 되었다.[39]

성우 PJ 헤이우드는 대사들을 보고 윌리엄이 항상 정직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고 평했다.

6. 상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퍼플가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플가이#s-5.1|5.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플가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콜라보

7.1. DEAD BY DAYLIGH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의문점

8.1. 애프튼 부인에 대해

부인이 누구인지 알려지지 않았다. 때문에 마이클, 엘리자베스, 데이브가 양자, 양녀라는 설이 있고 본인이 직접 부인을 죽였다는 설도 있으며 그냥 등장만 안했을뿐 멀쩡히 살아있다는 설도 있다. 몇몇 팬들은 레나타 애프튼(Renata afton)이란 이름을 붙여줬지만 SL에 나온 드라마 여주인공의 이름을 따서 클라라(Clara)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윌리엄의 아내가 등장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자세한 경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황상 이혼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하다. 남편이 운영하는 회사의 로봇에게 자신의 아이를 둘이나 잃었고, 남편 본인은 지하실에만 처박혀 있으니. 이혼이라면 또다른 이유가 있다고 볼 수가 있는데, 윌리엄이 성격적으로나 인격적으로나 결함이 큰 인물인 만큼, 어떠한 식으로든 아내가 윌리엄의 본성 혹은 그동안 윌리엄이 저지른 범죄에 대해 알게 되어 이혼했을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윌리엄이 아이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살해하는 아동 살인범인 것을 생각해 보면, 아내 본인의 입장에서는 어떠한 식으로든 공포를 느끼고 피해야 했을 것이다. 하지만 윌리엄의 성격상, 자신의 비밀을 알아챌 가능성이 높은 부인을 순순히 이혼하게 두었을 리도 없다. 어쩌면 윌리엄이 부인을 죽였을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다. 아니면 다른 가족처럼 애니매트로닉스인 발로라에 빙의되었을 수도 있다. 발로라에게 아내의 기억과 영혼을 넣었다고 주장하는 Game Theory가 있을 정도.

자세한 추측과 설정은 애프튼 일가 항목의 3.1번을 참조.

8.2. 양아버지 설

The Game Theorists의 영상
21년 9월 19일, The Game Theorists의 영상에서 내놓은 3개의 가설 중 마지막 가설에서 윌리엄 애프튼이 어쩌면 마이클, 데이브, 엘리자베스의 양아버지일 수도 있다는 추측을 내놓았다. 이 가설에 의하면, Fazbear Frights 시리즈에 나온 모든 가족들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는데, 진짜 아버지가 가족을 버리고 나쁜 양아버지가 아버지 역할을 대신한다는 것이다.

이런 공통점이 24개의 이야기들 중 12개의 이야기에서 등장한다. 덧붙여 모두 한부모 가정으로, 양아버지 밖에 없는 가정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만일 이 가설이 사실이라면, 애프튼 부인은 나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FNaF SL의 드라마 중에서도 이에 대한 떡밥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흡혈귀 블라드가 자신의 연인 클라라에게 매 회차마다 하는 "이 아이는 내 아이가 아니다"라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다만 양아버지 설이 사실이라면 마이클이 어째서 윌리엄과 그렇게 닮았는지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친자식도 아닌 양자가 양아버지와 우연치 않게 도플갱어 수준으로 외모가 닮았을 확률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 때문에 양아버지 설을 미는 일부 팬들은 마이클은 친자식이 맞으나, 우는 아이와 엘리자베스는 양자가 아닐까 하는 식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9. 여담

  • 초기엔 Phone Guy(폰가이)와 동일 인물이 아니냐는 의혹도 있었으나 전혀 다른 인물이다. 폰가이는 1편 4일차에서 어떻게 죽었는지 묘사되고[40], 윌리엄은 외전작인 FFPS의 진엔딩에서 최후가 밝혀진다. 이러한 설정은 뒤늦게 영화에서 오마주된다.
  • 영국식 억양을 사용한다. 성우인 PJ 헤이우드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이여서 그런 것 같다. 유튜버인 Dawko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스콧과의 면접에서 처음부터 영국식 발음이 계획됐던 것은 아니고 이후 목소리를 연기할 때 추가한 설정이라고 한다.
  • 아들인 마이클 애프튼과 비슷한 면과 동시에 대비되는 면이 존재한다. 먼저 얼굴이 닮았을 것으로 추정되며[41] 보라색과 관련되어 있고, 둘 다 애니매트로닉스에게 한 번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적도 있다. 다만 죽는 과정과 살아난 과정에서 차이가 있는데, 윌리엄은 스프링 보니 슈트를 입었다가 죽었고, 마이클은 에너드에게 입혀져서 죽었다. 둘의 성격 또한 전혀 다른데, 윌리엄은 다시 살아나서도 사람들의 목숨을 위협한 반면, 마이클은 모든 일을 끝내기 위해 변장까지 해가며 사건의 뒷처리를 해왔다.
  • UCN에서 게임 오버를 당한 뒤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대사를 들어보면 의미심장한 대사들이 많은데 이 때문에 UCN의 주인공이 윌리엄 애프튼이라는 가설이 존재한다. 또한 UCN의 미니게임에 나오는 사운드를 배속하면 헨리와 마이클을 찾으며 무간지옥에서 비명을 지르는 윌리엄의 목소리가 들린다는 해석도 있다.

9.1. 2차 창작 관련

  • 성우의 영국식 억양이 인상깊었던 탓인지 용인 발음을 과장되게 말하는 영국인 빌런 밈적인 개그물이 있다.
  • 2차 창작 팬아트와 SFM 애니메이션에서는 나름 CEO답게 대체로 노란색 뱃지가 달린 보라색 와이셔츠와 검은 넥타이, 보라색 정장 및 바지를 입은 미형 청년~중년 남성으로 그려진다. 머리카락은 아들과 똑같은 갈색 머리이며 단정하거나 혹은 길이가 길어서 뒤로 대충 묶은 경우도 있다. 평상복은 물론 피부색마저 아예 보라색으로 그려질 때도 있을 정도로 이미지 컬러는 아들인 마이클 애프튼과 똑같이 보라색. 후에 발매된 소설 3부작의 코믹스판에서 공식 모습이 공개되긴 했는데 갈색 머리칼에 호리호리한 몸매, 죽은 동태눈을 가진 광기넘치는 외모인지라 흔한 미남 싸이코 악당일거라 예상한 팬들의 환상을 깨뜨렸다.[46] 윌리엄의 벗은 몸을 묘사할 땐 온몸에 기하학적인 붉은 자국이 가득한 경우가 있는데 스프링 보니 인형탈을 자주 쓰고 활동했기에 스프링 부품에 짓눌려 생긴 자국이라는 설정.[47] 이후 영화판이 개봉한 이후로는 영화판 윌리엄의 배우인 매튜 릴라드와 닮은 외모로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 때로는 토스트를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것은 SAVETHEM 미니게임에서 묘사된 윌리엄의 배지가 토스트처럼 생겼기 때문이다.
  • 윌리엄이 퍼플가이라고 불리던 시절, 퍼플가이에 대해 많이 밝혀진게 없어 온갖 추측이 난무하는 가운데 FNaF 2의 예고편 초반 부분을 역재생하여 들으면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의 가사가 "마이크가 모두를 죽였어(Mike Kill all)"라고 들리는 것에 착안하여 마이크 슈미트=퍼플가이라는 가설이 존재했었다. 물론 이는 단순한 몬데그린에 불과하지만, 우연히도 이후 작품에서 마이클이 윌리엄과 아주 닮았다는 것이 밝혀졌고, 윌리엄에게 죽은 원혼들이 마이클을 윌리엄으로 착각했을 수도 있기에 아주 틀린 말이 아니게 됐다.
  • The Living TombstoneDie In A Fire에서 도끼를 사용하는 묘사가 나온 후 주로 애니매트로닉스들을 해체할 때 도끼를 드는 묘사가 많이 생겨났다. 원작은 미니게임 형식이라서 그런지 무기 자체가 묘사되지 않았으나[48] DEAD BY DAYLIGHT에서 소방 도끼를 능력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사실상 정사에 편입되었다.
  • Squimpus McGrimpus의 "Finale"에서 윌리엄이 마이클에게 자신을 풀어달라고 외치는 (2:40) 부분이 밈이 되었다. 밈이 만들어질 시기에는 번트랩이 윌리엄 애프튼이라는 가설이 정설로 취급받았던 때였기 때문에, 번트랩이 등장하여 마이클을 외치는 장면으로도 유명하다.# 예시 1예시 2

[1] 총 여덟 편의 작품들에 출연하면서 작중 단 한 번도 본명이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으나, FFPS의 엔딩 크레딧에서 제대로 이름이 표시되었다.[2] 애프튼이라는 성씨는 애프턴이라고 발음할 수도 있다.[3] FNaF 3에서 불린 명칭.[4] FFPS와 공식 가이드북에서 불린 명칭이다.[a] 퍼플가이는 원래 팬덤에서 부르는 비공식 명칭이었지만 FNaF World에서 쓰이면서 공식 별명이 됐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6] 처음으로 가게를 세운 1983년 당시 가정을 꾸렸음을 감안하면 최소 30~40대였을 것이고, 같은 사업 파트너였던 헨리와 동갑이였을 확률이 높기에 40년대 중후반에서 50년대 초반생으로 추정된다.[7] 내골격은 자신의 시체이다.[8] 아들과 동일.[9] DEAD BY DAYLIGHT 전설 스킨 한정[10] 실사영화판[11] FNaF 시리즈의 태반이 이 인물이 저지른 일의 뒤처리이며 FNaF 3FFPS에서 직접 출연하여 아들을 비롯한 주인공들과 직접적으로 대적하며, 심지어 지옥으로 떨어지고 나서도 그의 행적을 흉내내는 개체가 있을 정도로 영향이 크다보니 메인 빌런이라는 명칭이 부끄럽지 않다.[a] [13] FFPS의 과일 미로 미니게임 종료 후 나오는 모습의 어두운 부분을 밝게 편집한 것이다.[14] 전부 다 생전의 모습으로, 각각 4편의 이스터에그 속 모습, 2편의 폭시 미니게임 속 모습, 2편의 SAVETHEM 미니게임에서의 모습, 3편에서 매일차 미니게임마다 나오는 해체 장면, 3편 5일 차 미니게임에서 스프링 보니 슈트 안에 갇혀 죽는 모습이다.[15] 그가 죽인 희생자는 확인된 것만으로 해도 6명이며, 그 중에는 자신의 친구이자 동업자헨리의 딸까지 있었다.[16] 기존에는 성격이 원래 멀쩡했다가 아들의 죽음 이후로 인성이 파탄났다는 게 정설이였으나 FNaF SOTM에서 밝혀진 진실로 원래부터 인성이 좋지 못했던것으로 드러나면서 완전한 악인으로 판명나게 된다.[17] 베이비를 포함한 SL의 애니매트로닉스들은 특수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평범한 애니매트로닉스였다면 아이가 들어갈 수 있을 만한 저장용 공간이나 커다란 집게, 목소리 흉내 기능 같은 것이 존재할 리가 없다.[18] 베이비에게는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기능이 있다고 언급되었는데, 아이가 혼자 있는 경우, 무조건 아이스크림으로 유인하여 살해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으로 보인다. 베이비가 아이들의 수를 항상 세고 있던 게 그 이유.[19] SL의 각 밤이 시작하기 전에 이 딸이 말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독백이 있는데, 아버지한테 베이비를 보고 싶다고 조르고 있는 것으로 봐서 베이비한테 못 가게 한 듯. 에너드한테 죽고 난 직후에도 이 딸의 독백이 나오는데, 베이비에게 아버지한테 자기가 여기 온 것을 말하지 말라고 말하고 있다.[20] 두 가지 이유를 추측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베이비에게 씐 딸 엘리자베스의 영혼을 구제하기 위해, 나머지 하나는 4편 5일 차에서 마이클이 저지른 일에 대한 징벌. 그러나 SL의 결말로 볼 때 엘리자베스의 영혼을 구제하려고 투입시킨 것은 확실하며, 이와 동시에 마이클에 대한 징벌 목적도 있었을지도 모른다.[21] 정확히는 원혼들을 피하려고 스프링 보니의 슈트에 들어갔지만 그날 비가 와서 적은 자본으로 만들어진 건물에 물이 새는 바람에, 사람의 숨결에도 오작동을 일으킬 정도로 습기에 약한 용수철 잠금장치가 오작동을 일으켜 슈트가 슈트 모드에서 애니매트로닉 모드로 전환되며 윌리엄의 몸을 점점 조여 들어와서 뼈를 으스려뜨렸다.[22] 후에 나온 설정들에 따르면 스프링 보니는 윌리엄이 헨리와 협력하기 전에 개발한 애니매트로닉스이기 때문에 이런 구조였다고 한다. 윌리엄의 기술력이 부족할 때 만들어진 거라 이런 결함을 가지게 된 것. 에드윈 머레이가 습기를 보완해줄 개선본을 만들어줬으나 이것마저 파기시켜버렸다.[23] FFPS 발매 전까진 SL의 골든 프레디 엔딩 때문에 스프링트랩이 마이클인 것으로 논란이 있었으나, FNaF WORLD에서 스프링트랩은 살인마가 들어간 슈트라고 언급했던걸 근거로 이미 Game Theory를 비롯한 일부 팬들은 마이클이 스프링트랩이 아닐 거라고 예측했었다. 이후, 스콧이 레딧에 직접 댓글을 남겨서 마이클=스프링트랩 가설을 부정했다.[24] 예전 동업자이자 윌리엄이 죽여 퍼펫에 빙의한 소녀의 아버지[25] "하지만 너희들 중 한 명에겐, 지옥에서 가장 어두운 불구덩이가 너를 집어삼키기 위해 열렸으니 악마를 기다리게 하지 말게, 오랜 친구여."[26] 4편의 주인공인 둘째 아들은 프레드베어의 입질 사건으로, 딸 엘리자베스는 서커스 베이비의 오작동, 그리고 아래에 서술할 첫째 마이클은 에너드에 의해 좀비 같은 상태가 됐는데, 자아와 기억을 되찾긴 했지만 사실상 죽은 것만도 못한 상태가 되었다.[27] 두개골은 내골격이 관통한 걸로 생각되니, 살덩이 밖에 없다 볼 수는 있다.[28] 본인의 자식들의 얼굴로 어느 정도 얼굴 생김새를 유추할 수는 있다. 딸 엘리자베스는 금발녹안, 큰 아들 마이클은 갈발벽안 둘째 아들은 마이클과 똑같은 갈발이지만 눈 색깔은 흑안이어서 유추가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머리 색은 본인의 아들들처럼 갈발일 확률이 높고, 살해당한 아이들의 원혼들이 마이클을 윌리엄이라고 착각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얼굴은 마이클과 비슷할 것으로 추측된다.[29] 뛰고, 달리고, 장애물을 극복하거나 계단을 이용하는 것들이다.[30] 1세대 프레디 파즈베어의 피자(4편의 배경 연도) 이전에 프레드베어의 가족 식당이 있었다. 즉, 1970년대 후반부터 있었을 수도 있다.[31] 다만 에너드는 영혼이 빙의했거나 탈취한 에드윈 머레이의 미믹 코드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32] 월리엄이 떠난 뒤에 제작된 FNaF 2FFPS의 애니매트로닉스를 보면 이 세계관에는 헨리, 에드윈를 비롯한 애니매트로닉스 제작자들이 더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단 FFPS의 배경은 최소 2015년~2023년이라 그렇다 쳐도 2편의 배경은 1987년이다. 냉전 시절 이후인 만큼 기술은 발전했을지 모르지만 둘 다 제작 환경이 열악한 건 마찬가지니 도긴개긴이다.[33] 팬텀들은 스프링트랩이 움직이는 2일차 밤부터 등장한다. 또한 팬텀들을 자세히보면 스프링트랩과 같은 눈을 공유한다. Fazbear Fright의 "What We Found"에선 파즈베어 공포에서 일하는 허드슨이 스프링트랩의 시체를 만진 후 유령들이 보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2차창작에선 싸울 때 팬텀 애니매트로닉스들을 스탠드나 주령조술마냥 소환해서 상대를 방해하는 용도로 많이 묘사된다.[34] 소설판, 1편의 동쪽 복도의 환각에 대한 내용으로 인해 윌리엄은 분명히 용의자로 체포되지만, 추후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 이러면 용의자를 체포해도 윌리엄이 3편에서 활동하고 있는 게 설명된다. 다만 달리 말하면 단 하나의 증거를 남기지 않고, 5명의 아이들을 죽였다는 소리다. 일각에선 실사영화판의 바네사나 바이오하자드 시리즈브라이언 아이언스처럼 경찰측에 공범을 심어놓았다는 추측도 있다.[35] 링크에서 삽입되어 있듯 프레디를 아프가니스탄에 투입하는 밈이 대표적인데, 놀랍게도 스콧에 따르면 실사영화 제작 당시 윌리엄이 미국에 군납하는 애니마트로닉스들을 만드는 지하 공장을 보여주는 삭제 장면도 있었다고 한다.[36] 그런데, FNaF 1환각에서 살해 용의자가 기소되었다는 내용의 포스터가 나오고, 유죄 판결이 확정되었다고도 나오지만, 이후에도 윌리엄은 아무 문제 없이 활동했다. 다른 기사의 내용을 살펴보면 아이들의 시체를 찾을 수가 없었다고 쓰여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증거 불충분으로 인해 풀려났거나 아니면 엉뚱한 용의자를 잡아서 윌리엄이 활동하는 데에 지장은 없었던 듯하다. 일각에선 아내나 헨리에서 뒤집어 쓴게 아니냐는 의견들이 있다.[37] 또한 실종된 아이들의 부모들이 마스코트 인형 안에서 피가 흘러나오는 걸 목격했다는 글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정황상 아이들의 시체를 인형 탈 안에 숨긴 듯하다.[38] 정확히는 인형 탈 안에 갇힌 시신에[39] 심지어 자기 자신에게도 공격당한다.[40] 무엇보다도 폰가이와 윌리엄은 성우가 다르다. 다만 이 가설이 나왔을 때 윌리엄의 본명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성우도 없었다. 윌리엄의 목소리가 처음 공개된 SL시절에는 이미 윌리엄=폰가이 설이 틀린 것이라고 밝혀진지 오래다.[41] FNaF SL 마지막 컷신에 나오는 마이클의 독백에서 그들이 자신을 아버지라고 생각했다고 말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 말의 뜻은 살해당한 원혼들이 빙의한 애니매트로닉스들이 마이클을 윌리엄으로 착각했다는 소리다.[42] 차이점은 버킨은 G바이러스에게 새로운 머리가 생기면서 신체통제권을 잃고 원래의 머리가 서서히 몸속으로 잠식당했지만 애프튼은 스프링트랩에 압사당했음에도 멀쩡하게 이성을 유지하고 조롱까지 하는 여유까지 부린다.[43] (시체 주의) DBD 한정으로, 블라이트 혈청으로 인해 신체 부분이 생성되었다는 설정의 스킨인 Blighted Springtrap(황폐화된 스프링트랩) 내부 시체 모습이 데바데의 윌리엄 버킨, 즉 G1 ~ G2 모습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다. 실제로 본 사람들도 이런 느낌을 받았다고 평을 한다.[44] 학살의 배후에 있는 자. 즉, 퍼플가이(윌리엄 애프튼)[45] Man 이나 Slaughter 자리에 다른 것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46] 다만 소설 3부작에서의 데이브는 원작의 윌리엄과 설정이 다르다. 그와 닮은 아들인 마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대표적 예시. 그래도 이 외모를 기반으로 한 팬아트도 많은 편이다.[47] 소설 3부작 코믹스판에서 나온 설정으로 데이브의 몸엔 스프링 보니의 내부 부품에 의해 생긴 자국이나 흉터가 가득하다.[48] 아무리 애프튼의 신체능력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인간이 맨손으로 금속 내골격으로 이루어진 애니매트로닉스들을 박살낼 순 없을테니 무기를 사용했을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