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카드 = "display:inline-flex;margin:5px .5px 0;width:min(calc(100%/6 - 1px), 80px);"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903,#903><#903,#90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10px 15px"
[[DEAD BY DAYLIGHT|[[파일: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height=20]]]]}}} ||
||<#000,#070c16> {{{#!wiki style="margin:0 -10px; max-width: 75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9pt;letter-spacing:-1pt;text-align:center;margin-top:5px;"
{{{#!wiki style=""
[[DEAD BY DAYLIGHT/시스템|[[파일:DBD Sys Icon.png|width=75%]][br]{{{#ddd 시스템}}}]]
}}}{{{#!wiki style=""
[[DEAD BY DAYLIGHT/DLC|[[파일:DBD DLC Icon.png|width=70%]][br]{{{#ddd DLC}}}]]
}}}{{{#!wiki style=""
[[DEAD BY DAYLIGHT/등장인물|[[파일:DBD Char Icon.png|width=70%]][br]{{{#ddd 등장인물}}}]]
}}}{{{#!wiki style=""
[[DEAD BY DAYLIGHT/살인마|[[파일:IconHelpLoading_killer.png|width=75%]][br]{{{#ddd 살인마}}}]]
}}}{{{#!wiki style=""
[[DEAD BY DAYLIGHT/생존자|[[파일:IconHelpLoading_survivor.png|width=75%]][br]{{{#ddd 생존자}}}]]
}}}{{{#!wiki style=""
[[DEAD BY DAYLIGHT/기술|[[파일:DBD Perk Icon.png|width=75%]][br]{{{#ddd 기술}}}]]
}}}{{{#!wiki style=""
[[DEAD BY DAYLIGHT/맵|[[파일:DBD Map Icon.png|width=75%]][br]{{{#ddd 맵}}}]]
}}}{{{#!wiki style=""
[[DEAD BY DAYLIGHT/게임 모드|[[파일:DBD Mode Icon.png|width=75%]][br]{{{#ddd 게임 모드}}}]]
}}}{{{#!wiki style=""
[[DEAD BY DAYLIGHT/의상|[[파일:DBD Outfit Icon.png|width=75%]][br]{{{#ddd 의상}}}]]
}}}{{{#!wiki style=""
[[DEAD BY DAYLIGHT/스토리|[[파일:DBD Story Icon.png|width=80%]][br]{{{#ddd 스토리}}}]]
}}}{{{#!wiki style=""
[[DEAD BY DAYLIGHT/아이템|[[파일:DBD Item Icon.png|width=85%]][br]{{{#ddd 아이템}}}]]
}}}{{{#!wiki style=""
[[DEAD BY DAYLIGHT/공물|[[파일:DBD Off Icon.png|width=85%]][br]{{{#ddd 공물}}}]]
}}}{{{#!wiki style=""
[[DEAD BY DAYLIGHT/도전과제|[[파일:DBD Achi Icon.png|width=87%]][br]{{{#ddd 도전과제}}}]]
}}}{{{#!wiki style=""
[[DEAD BY DAYLIGHT/추천 조합|[[파일:DBD Rec Icon.png|width=85%]][br]{{{#ddd 추천 조합}}}]]
}}}{{{#!wiki style=""
[[DEAD BY DAYLIGHT/문제점|[[파일:DBD Prob Icon.png|width=83%]][br]{{{#ddd 문제점}}}]]
}}}{{{#!wiki style=""
[[DEAD BY DAYLIGHT/기록 보관소|[[파일:DBDArchiveIcon.png|width=80%]][br]{{{#ddd 기록 보관소}}}]]
}}}{{{#!wiki style=""
[[DEAD BY DAYLIGHT/입문자 가이드|[[파일:DBD Guide Icon.png|width=80%]][br]{{{#ddd 입문자 가이드}}}]]
}}}{{{#!wiki style=""
[[DEAD BY DAYLIGHT/상태효과 및 숙련도 지표|[[파일:DBD Status Icon.png|width=80%]][br]{{{#ddd 상태효과 및[br]숙련도 지표}}}]]}}}
}}}}}}}}}}}} ||
#!if 기본 = "display:inline-block; margin:5px .5px 0;"
#!if 카드 = 기본 + "width:min(calc(100%/6 - 1px), 100px);"
#!if 미출시 = "border:2px dashed #531B6E;"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960023,#960023><#960023,#960023>{{{#!wiki style="margin:5px 15px;font-size:10pt;"
[[DEAD BY DAYLIGHT|[[파일: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height=20]]]]{{{#!wiki style="display:flex;justify-content:center;align-items:center;margin-top:3px;"
[[DEAD BY DAYLIGHT/살인마|[[파일:IconHelpLoading_killer.png|width=35]]]][[DEAD BY DAYLIGHT/살인마|{{{#ddd 살인마 일람}}}]]}}}{{{#fff 시리즈별 출시일순 정렬}}}}}}
||
||<:><#000,#070c16>{{{#!wiki style="margin:0 -10px;font-size:10pt"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
[[DEAD BY DAYLIGHT/살인마#오리지널 캐릭터|[[파일:DBDSurvivors_1.png|width=20px]][br]'''{{{#c00 오리지널 캐릭터}}}''']]}}}
{{{#!wiki style="letter-spacing: -1pt; text-align:center;border:2px solid #cc0000; margin: 5px 0 0"
## 오리지널 캐릭터
{{{#!wiki style=""
[[트래퍼(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Trapper.png|width=100%]] {{{#ff3265 트래퍼}}}]]
}}}{{{#!wiki style=""
[[레이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Wraith.png|width=100%]] {{{#ff3265 레이스}}}]]
}}}{{{#!wiki style=""
[[힐빌리(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Hillbilly.png|width=100%]] {{{#ff3265 힐빌리}}}]]
}}}{{{#!wiki style=""
[[너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Nurse.png|width=100%]] {{{#ff3265 너스}}}]]
}}}{{{#!wiki style=""
[[해그(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Hag.png|width=100%]] {{{#ff3265 해그}}}]]
}}}{{{#!wiki style=""
[[닥터(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Doctor.png|width=100%]] {{{#ff3265 닥터}}}]]
}}}{{{#!wiki style=""
[[헌트리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Huntress.png|width=100%]] {{{#ff3265 헌트리스}}}]]
}}}{{{#!wiki style=""
[[클라운(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Clown.png|width=100%]] {{{#ff3265 클라운}}}]]
}}}{{{#!wiki style=""
[[스피릿(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Spirit.png|width=100%]] {{{#ff3265 스피릿}}}]]
}}}{{{#!wiki style=""
[[군단(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Legion.png|width=100%]] {{{#ff3265 군단}}}]]
}}}{{{#!wiki style=""
[[역병(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Plague.png|width=100%]] {{{#ff3265 역병}}}]]
}}}{{{#!wiki style=""
[[악귀(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Oni.png|width=100%]] {{{#ff3265 악귀}}}]]
}}}{{{#!wiki style=""
[[데스슬링거|[[파일:DBDSelect_Deathslinger.png|width=100%]] {{{#ff3265 데스슬링거}}}]]
}}}{{{#!wiki style=""
[[블라이트(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Blight.png|width=100%]] {{{#ff3265 블라이트}}}]]
}}}{{{#!wiki style=""
[[쌍둥이(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Twins.png|width=100%]] {{{#ff3265 쌍둥이}}}]]
}}}{{{#!wiki style=""
[[트릭스터(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Trickster.png|width=100%]] {{{#ff3265 트릭스터}}}]]
}}}{{{#!wiki style=""
[[예술가(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Artist.png|width=100%]] {{{#ff3265 예술가}}}]]
}}}{{{#!wiki style=""
[[드레지(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Dredge.png|width=100%]] {{{#ff3265 드레지}}}]]
}}}{{{#!wiki style=""
[[기사(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Knight.png|width=100%]] {{{#ff3265 기사}}}]]
}}}{{{#!wiki style=""
[[해골 상인(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Skull_Merchant.png|width=100%]] {{{#ff3265 해골 상인}}}]]
}}}{{{#!wiki style=""
[[특이점(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Singularity.png|width=100%]] {{{#ff3265 특이점}}}]]
}}}{{{#!wiki style=""
[[미지의 존재|[[파일:DBDSelect_Unknown.png|width=100%]] {{{#ff3265 미지의 존재}}}]]
}}}{{{#!wiki style=""
[[조련사(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Houndmaster.png|width=100%]] {{{#ff3265 조련사}}}]]
}}}{{{#!wiki style=""
[[끄라스|[[파일:DBDSelect_Krasue.png|width=100%]] {{{#ff3265 끄라스}}}]]
}}}
}}}{{{#!wiki style=""
[[DEAD BY DAYLIGHT/살인마#라이선스 캐릭터|[[파일:DBDSurvivors_2.png|width=20px]][br]'''{{{#cc4a00 라이선스 캐릭터}}}''']]}}}
{{{#!wiki style="letter-spacing: -1pt; border:2px solid #cc4a00; margin: 5px 0 0"
## 라이선스 캐릭터
{{{#!wiki style=""
[[쉐이프|[[파일:DBDSelect_Shape.png|width=100%]] {{{#e77451 쉐이프}}}]]
}}}{{{#!wiki style=""
[[카니발(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Leatherface.png|width=100%]] {{{#e77451 카니발}}}]]
}}}{{{#!wiki style=""
[[나이트메어(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Nightmare.png|width=100%]] {{{#e77451 나이트메어}}}]]
}}}{{{#!wiki style=""
[[피그(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Pig.png|width=100%]] {{{#e77451 피그}}}]]
}}}{{{#!wiki style=""
[[고스트페이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Ghostface.png|width=100%]] {{{#e77451 고스트페이스}}}]]
}}}{{{#!wiki style=""
[[데모고르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Demogorgon.png|width=100%]] {{{#e77451 데모고르곤}}}]]
}}}{{{#!wiki style=""
[[처형자|[[파일:DBDSelect_Pyramid_Head.png|width=100%]] {{{#e77451 처형자}}}]]
}}}{{{#!wiki style=""
[[네메시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Nemesis.png|width=100%]] {{{#e77451 네메시스}}}]]
}}}{{{#!wiki style=""
[[수도사(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Cenobite.png|width=100%]] {{{#e77451 수도사}}}]]
}}}{{{#!wiki style=""
[[원령(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Sadako.png|width=100%]] {{{#e77451 원령}}}]]
}}}{{{#!wiki style=""
[[마스터마인드(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Mastermind.png|width=100%]] {{{#e77451 마스터마인드}}}]]
}}}{{{#!wiki style=""
[[제노모프(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Xenomorph.png|width=100%]] {{{#e77451 제노모프}}}]]
}}}{{{#!wiki style=""
[[착한 아이|[[파일:DBDSelect_Good_Guy.png|width=100%]] {{{#e77451 착한 아이}}}]]
}}}{{{#!wiki style=""
[[리치(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Lich.png|width=100%]] {{{#e77451 리치}}}]]
}}}{{{#!wiki style=""
[[어둠의 군주(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Dark_Lord.png|width=100%]] {{{#e77451 어둠의 군주}}}]]
}}}{{{#!wiki style=""
[[구울(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Ghoul.png|width=100%]] {{{#e77451 구울}}}]]
}}}{{{#!wiki style=""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Animatronic.png|width=100%]] {{{#e77451 애니매트로닉스}}}]]
}}}
}}}{{{#!wiki style=""
[[DEAD BY DAYLIGHT/살인마/전설 캐릭터|[[파일:DBDSurvivors_3.png|width=20px]][br]'''{{{#448ec3 전설 캐릭터}}}''']]}}}
{{{#!wiki style="letter-spacing: -1pt; border:2px solid #448ec3; margin: 5px 0 0"
## 전설 캐릭터
{{{#!wiki style=""
[[룩씨(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Look-See.png|width=100%]] {{{#9bb0bf 룩씨}}}]]
}}}{{{#!wiki style=""
[[모르데오(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Mordeo.png|width=100%]] {{{#9bb0bf 모르데오}}}]]
}}}{{{#!wiki style=""
[[채터러(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Chatterer.png|width=100%]] {{{#9bb0bf 채터러}}}]]
}}}{{{#!wiki style=""
[[헝크(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Hunk.png|width=100%]] {{{#9bb0bf 헝크}}}]]
}}}{{{#!wiki style=""
[[윌리엄 버킨(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William.png|width=100%]] {{{#9bb0bf 윌리엄 버킨}}}]]
}}}{{{#!wiki style=""
[[제노모프 퀸(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Xenomorph_Queen.png|width=100%]] {{{#9bb0bf 제노모프 퀸}}}]]
}}}{{{#!wiki style=""
[[너티 베어(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Naughty_Bear.png|width=100%]] {{{#9bb0bf 너티 베어}}}]]
}}}{{{#!wiki style=""
[[착한 여자 아이|[[파일:DBDSelect_Good_Gal.png|width=100%]] {{{#9bb0bf 착한 여자 아이}}}]]
}}}{{{#!wiki style=""
[[에디(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Iron_Maiden.png|width=100%]] {{{#9bb0bf 에디}}}]]
}}}{{{#!wiki style=""
[[실제 형태|[[파일:DBDSelect_True_Form.png|width=100%]] {{{#9bb0bf 실제 형태}}}]]
}}}{{{#!wiki style=""
[[궁극의 조련사|[[파일:DBDSelect_Ultimate_Houndmaster.png|width=100%]] {{{#9bb0bf 궁극의 조련사}}}]]
}}}{{{#!wiki style=""
[[모델 후치(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Fuchi.png|width=100%]] {{{#9bb0bf 모델 후치}}}]]
}}}{{{#!wiki style=""
[[토미에(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Tomie.png|width=100%]] {{{#9bb0bf 토미에}}}]]
}}}{{{#!wiki style=""
[[카미시로 리제(DEAD BY DAYLIGHT)|[[파일:DBDSelect_Rize.png|width=100%]] {{{#9bb0bf 카미시로 리제}}}]]
}}}
}}}}}}}}}}}}
||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 |||
{{{#!folding [ 배경 사진 펼치기 · 접기 ] | |||
<colbgcolor=#D1D1D1,#151515><colcolor=black,white> 본명 | <colbgcolor=#D1D1D1,#151515><colcolor=black,white> William Afton 윌리엄 애프튼[1] | ||
이명 | 스프링트랩 | ||
성별 | 남성[2] | ||
출신지 | | ||
영역 | 메마른 섬 | ||
맵 | 프레디 파즈베어의 피자가게 | ||
속도 | 110% | 4.4m/s(일반) 115% | 4.6m/s(도끼 미소지 시) | ||
공포 범위 | 24m | ||
신장 | 작음 | <colbgcolor=#D1D1D1,#151515><colcolor=black,white> 평균 | <colbgcolor=#D1D1D1,#151515><colcolor=black,white> 큼 |
● | |||
난이도 | 쉬움 | 보통 | 어려움 |
● | |||
DLC | CHAPTER XXXVI | ||
성우 | PJ 헤이우드[4] | ||
고유 테마 (로비) | |||
고유 테마 (추격) | |||
이전 | 구울 | ||
다음 | 끄라스 |
1. 개요
DEAD BY DAYLIGHT의 Five Nights at Freddy's 챕터와 함께 추가된 40번째 살인마이자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등장인물 및 메인 빌런인 스프링트랩(윌리엄 애프튼)이다.
고유기술은 생존자가 이득을 얻을 때(발전기 수리 완료/살인마를 보며 숨기/문따기)를 살인마가 이득을 얻거나 방해하는데 특화되어있다.
2. 스토리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애니매트로닉스의 배경 이야기}}}에 대한 내용은 [[DEAD BY DAYLIGHT/스토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DEAD BY DAYLIGHT/스토리#s-1.2.17|1.2.17]]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DEAD BY DAYLIGHT/스토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애니매트로닉스의 배경 이야기: }}}[[DEAD BY DAYLIGHT/스토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DEAD BY DAYLIGHT/스토리#s-1.2.17|1.2.17]]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DEAD BY DAYLIGHT/스토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3. 고유 기술
||<table width=9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 구인HELP WANTED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 ||<table width=9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 유령 공포PHANTOM FEAR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 ||<table width=9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통제불능HAYWIRE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AD BY DAYLIGHT/기술#s-2.3.2.17|2.3.2.17]]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AD BY DAYLIGHT/기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dd0044,#dd0044 {{{#!folding [ 모바일용 펼치기 · 접기 ] | <tablebgcolor=black><tablewidth=100%> ||<table width=9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 구인HELP WANTED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9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 유령 공포PHANTOM FEAR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9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rowbgcolor=#000> 통제불능HAYWIRE {{{-1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 }}}}}} |
4. 무기 & 능력
| 피자 칼 (Pizza Knife) 무기 |
|
- 생존자 타격 시, 왼손의 손가락 두 개로 칼날을 잡아 피를 훑어낸다.
- 판자 파괴 시, 두 손으로 피자 칼을 잡고 내려 찍는다.
- 발전기 파괴 시, 발로 한번 차면서 부수고, 파괴 가능한 벽을 부술 땐 왼손으로 때리면서 부순다.
파즈베어의 공포 (Fazbear's Fright) 능력 |
|
고유 능력 및 기술(Power)
애니매트로닉스는 생존자에게 던질 수 있는 소방 도끼를 장비한다. 또한, 맵의 발전기 주변에 보안 문이 하나씩 생성되며, 총 7개가 배치된다.
특수 능력: 소방 도끼 (Fire Axe)
능력 버튼을 길게 눌러 소방 도끼를 조준할 수 있다.
조준된 상태에서 공격 버튼을 눌러 도끼를 던지거나, 능력 버튼을 떼어 취소할 수 있다.
도끼가 명중하면 대상에 박히며, 애니매트로닉스는 박혀 있는 도끼의 오라를 볼 수 있다. 또한 대상에 따라 추가적인 효과가 적용되며, 이는 도끼가 제거되기 전까지 지속된다.
사용된 소방 도끼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두 번째 능력 버튼을 눌러 회수할 수 있다.
- 도끼가 생존자에게 박힌 경우, 생존자에게 치료 불능
및 인지 불가능
효과가 적용되며, 생존자가 '도끼 제거' 액션을 완료하면 회수된다.
- 도끼가 환경에 박힌 경우, 반경 2m의 효과 영역을 생성하며, 이 영역에 들어선 생존자는 살인마의 본능을 발동시킨다.
소방 도끼에 명중한 생존자는 건강 상태를 한 단계 잃게 되며, 소방 도끼는 생존자가 빈사 상태에 진입하면 즉시 제거된다.
소방 도끼가 박힌 생존자에게 근접하여 공격 버튼을 누르면 애니매트로닉스는 해당 생존자를 즉시 붙잡아 둘러업는다.
맵 기능: 보안 시스템 (Security System)
맵에 생성된 보안 문은 생존자와 애니매트로닉스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애니매트로닉스가 보안 문을 통과하면 다음 효과를 얻는다:
- 감지 불가능
효과
- 이 효과는 보안 문을 나온 후 20초 동안 지속된다.
만약 생존자가 카메라 뷰로 애니매트로닉스를 포착하면, 이 효과는 즉시 제거된다.
특수 상호작용: 카메라 뷰 (Camera View)
각 보안 문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생존자가 문과 상호작용하면 카메라 뷰에 접근할 수 있으며, 모든 카메라를 순환하며 주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보고 있는 보안 문으로 순간 이동할 수 있으며, 애니매트로닉스를 포착해 오라를 드러낼 수도 있다.
특수 메커니즘: 배터리 전력 (Battery Power)
생존자가 카메라와 보안 문을 너무 자주 사용하면 제한된 배터리 전력이 소진되어, 시스템이 재부팅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애니매트로닉스는 배터리 전력과 관계없이 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특수 장소: 보안실 (Security Room)
애니매트로닉스가 보안 문에 들어가면, 맵에 있는 다른 어떤 문으로든 나올 수 있다. 이때 생존자가 문으로 이동하면, 애니매트로닉스는 해당 생존자를 즉시 붙잡아 둘러업는다.
능력 세부 정보(Power Trivia)
이동 속도
- 도끼 던지기 중: 2.6 m/s
- 도끼 던지기 충전 중: 3.68 m/s
- 기본 이동 속도: 4.4 m/s
- 소방 도끼 미소지 시 이동 속도: 4.6 m/s
- 소방 도끼가 환경이나 생존자에게 박혀 있는 경우, 애니매트로닉스는 이 속도로 이동한다.
소방 도끼
- 던지기 충전 시간: 0.9초
- 충전 취소 시간: 1초
- 도끼 회수 시간: 1.5초
- 투척 후딜레이: 2.25초
- 생존자 붙잡기 상호작용 시간: 4.2초
- 도끼가 빗나갔을 때 재충전 시간: 7초
- 도끼가 명중했을 때 재충전 시간: 10초
- 소방 도끼의 재충전은 던지기 행동이 시작되는 즉시 시작된다.
- 투사체 발사 시간: 0.25초
- 투사체 속도: 30 m/s
- 투사체 최대 사거리: 16 미터
- 환경 충돌 판정 반경: 0.05 미터
- 생존자 명중 판정 반경: 0.55 미터
- 아슬아슬하게 빗나감 판정 반경: 1.05 미터
보안 문
- 살인마 문 나가기 시간: 1.2초
- 살인마 문 진입 시간: 2초
- 살인마 순간이동 시간: 3초
- 생존자 문 진입 시간: 1초
- 생존자 순간이동 시간: 5초
- 보안 카메라 최대 회전 각도: 180°
- 사용 중인 카메라당 배터리 방전율: 7 차지/초
- 생존자가 문으로 이동 시 배터리 소모: 15 차지
- 배터리 최대 충전량: 100 차지
- 배터리 재부팅 시간: 45초
- 모든 생존자에게 살인마 오라 공개 지속 시간: 10초
- 감지 불가능 효과 지속 시간: 20초
5. 애드온
<rowcolor=White> 아이콘 | 이름 | 희귀도 | 설명 |
| <colcolor=White> 기름 가득한 종이 접시 GREASY PAPER PLATE | 평범함 | 만지는 모든 것에 달라붙는다. 아무리 비누를 써도 지워지지 않는다. |
| 구인 광고 HELP WANTED AD | 평범함 | 우리 모두는 가끔 도움이 필요하다... |
| 레스토랑 메뉴 RESTAURANT MENU | 평범함 | 코팅은 벗겨졌고, 딱딱하다. 얼마나 먹음직스러운가. |
| 상한 피자 ROTTEN PIZZA | 평범함 | 식중독은 웃어 넘길 일이 아니다. |
| 피자 포장끈 STREAMERS | 평범하지 않음 | 직원들은 그것들을 서까래 위에 던져 빠르게 장식하곤 했다. |
| 경비원의 배지 SECURITY GUARD'S BADGE | 평범하지 않음 | 배지는 소지자에게 특정 권한을 부여한다. |
| 찢어진 커튼 RIPPED CURTAIN | 평범하지 않음 | 파이럿 코브에서 가져온 것으로, 그곳에 살던 애니매트로닉스에게 인기다. |
| 파티용 모자 PARTY HAT | 평범하지 않음 | 파티는 아무리 애원해도 끝나지 않는다. |
| 사무실 전화기 OFFICE PHONE | 평범하지 않음 | 그는 경고의 의미로 메시지를 남기려 했으나, 그는 또한 오래가지 못했다. |
| 보니의 기타줄 BONNIE'S GUITAR STRINGS | 희귀함 | 조율이 맞지 않고 끊어지기 쉬운 낡은 줄. |
| 치카의 턱받이 CHICA'S BIB | 희귀함 | 미스터 컵케이크가 엉망이 되는 것을 막는 좋은 방법이다. |
| 폭시의 갈고리 FOXY'S HOOK | 희귀함 | 장난치는 용도보다 위협적인 듯한 해적의 갈고리. |
| 프레디의 모자 FREDDY'S HAT | 희귀함 | 가브리엘은[6] 잘못된 어른에게 믿음을 가졌다. 이제 그는 이 쇼의 스타가 되었다. |
| 퍼플가이의 그림 PURPLE GUY DRAWING | 희귀함 | 그는 단 10초만에 그림을 그릴 수 있다! |
| 전리품 가방 LOOT BAG | 아주 희귀함 | 가방을 열어서 안에 어떤 물건이 들어 있는지 살펴보아라. |
| 내장 CPU ENDO CPU | 아주 희귀함 | 연산 능력이 높을수록 효율은 높아진다. |
| 축제! 포스터 CELEBRATE! POSTER | 아주 희귀함 | 축제는 밤 늦게까지 계속된다. 아무도 남지 않을 때까지. |
| 컨트롤패널 접근 ACCESS PANEL | 아주 희귀함 | 경비실 문에 대한 통제권을 얻는 것은 임무를 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 |
| 핏빛 잔류물 IRIDESCENT REMNANT | 굉장히 희귀함 | 용해된 금속. 올바른 자의 손에 들어가면, 이는 영생의 열쇠가 된다. |
| 파즈코인 FAZ-COIN | 굉장히 희귀함 | 토큰 수집에는 대가가 따른다. |
6. 평가
게임 외적으로 그간 해외에서 가장 콜라보 요청이 많은 작품이었던 만큼 콜라보 소식이 매우 큰 화제를 불러모았으며 이를 입증하듯 데바데 최초로 테스트서버가 터져서 일부 유저들은 접속이 불가한 사태까지 벌어질 정도였다. 또한 훌륭한 모델링과 원작 성우 초빙은 물론이고 시리즈를 대표하는 요소인 점프 스케어와 CCTV를 각각 살인마의 능력과 생존자가 쓸 수 있는 기믹으로 구현하고, FNaF의 미디어 믹스인 소설, 영화, 외전 등에 등장했던 설정이나 요소들을 애드온 등에 넣는 등 팬들의 입장에서는 반가울 만한 부분이 많다.그러나 본편에서 무기인 칼은 쓰이는 묘사가 많이 없었고, 능력인 도끼는 원작에서 한 번도 사용한 적이 없는데다가 그 모티브 역시 2015년에 발표된 2차 창작 팬곡인 The Living Tombstone의 Die In A Fire으로 추정되는 만큼[7] 유저들은 이 캐릭터가 칼을 쓰고 도끼를 던지는 모양이 어색하다는 평을 내렸다. 도끼의 경우 FNaF 2차 창작 설정 등을 잘 수용하고 일부는 공식에 편입시키는 스콧 코슨의 행보을 고려하면,[8][9] 이번 도끼 역시 2차 창작이 공식적으로 편입된 사례로 볼 수 있지만, 이미 칼이나 도끼를 쓰는 캐릭터가 많은 데바데에서 fnaf만의 특색을 보여주기엔 다소 애매한 선택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2차 창작 쪽을 모른다면 출처를 알 수 없다는 모티브라는 점에서 상당히 호불호가 많이 갈리고 있다.
본섭 출시 후 단 몇 시간 만에 동시 접속자 수가 10만 명을 돌파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증명했다. 결국 동접자 수가 바이오하자드 챕터 콜라보 당시 기록을 갈아치우며 120,717명이라는 새 기록을 세웠다. 이후엔 시간이 흐르며 생존자들이 대처법을 익히고,[10] 핵심 운영 애드온인 보니의 기타줄의 페널티가 문에서 나올 때의 감지불가능을 줄이는 것에서 아예 없어버리는 걸로 바뀌어 거품이 많이 빠졌다. 강하진 않은데 그렇다고 딱히 약하지도 않은 무난한 킬러 취급이다.
6.1. 장점
-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소방 도끼
소방 도끼의 사거리 자체는 짧으나 투사체 속도가 상당히 빠르고 헌트리스처럼 한번 맞추면 바로 타격이 가능해 대인전에 큰 도움이 된다. 게다가 헌트리스와 다르게 짧은 포물선을 그리기 때문에 생존자가 근중거리에서 구조물로 들어가도 예상치 못한 메테오를 날릴 수 있다.
- 도끼 미소지 시 올라가는 이동속도
애니매트로닉스의 기본 이동 속도는 4.4m/s로 헌트리스나 데스슬링거같은 원거리 살인마들처럼 이동속도가 조금 느린 편에 속한다. 그러나 애니매트로닉스가 상황에 관계없이 도끼를 소지하고 있지 않게 되면, 이동속도가 4.6m/s이 되기 때문에 설령 도끼를 생존자에게 맞추지 못하더라도 4.6m/s의 이동속도로 생존자를 쫒아갈 수 있으며, 비슷하게 도끼를 던지는 헌트리스가 특정 애드온을 장착하지 않은 이상 도끼를 모두 소진하면, 4.4m/s의 속도로만 쫒을 수 밖에 없는 걸 생각하면 이는 상당한 이점이다.
- 생존자의 행동을 봉쇄하는 납치 기능과 심리전에 유리한 소방 도끼
도끼가 몸에 박힌 생존자는 단순히 치료불능 상태에만 빠지는게 아니라 애니매트로닉스가 근접했을 때 공격키를 누르면 즉시 생존자를 붙잡아 점프스케어를 하고 마스터마인드처럼 생존자를 업어든다.[11]비록 마스터마인드처럼 재빠르게 생존자를 낚아채는 식의 플레이는 불가능하지만, 자유롭게 움직이는게 가능해 마스터마인드처럼 단순히 무빙으로 피할 수 없고, 붙잡힌 생존자는 저항할 수 없기에 판자 등을 이용해서 대항할 수도 없다. 특히 코앞에서 도끼를 맞는 상황일 경우 가불기에 가까운 수준으로 생존자를 빨리 잡을 수도 있다. 또한 빠른 재사용 대기시간을 이용해 도끼를 회수하는 즉시 도끼를 다시 던져서 맞추거나 순수하게 기본공격으로 타격을 넣는 등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심리전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 문을 이용한 제약없는 순간이동 및 납치
문을 이용해 7개의 문 중 하나로 순간이동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글로벌 로밍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 보안문 순간이동에는 제약이 없는데, 터널처럼 문의 위치는 랜덤으로 생성되지만 제노모프처럼 내부에서 직접 움직일 필요가 없다. 또한 나이트메어나 데모고르곤처럼 순간이동에 쿨타임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하다못해 안티 캠핑 시스템도 없어서, 갈고리 근처의 보안문으로 순간이동을 한다고 따로 패널티가 있지도 않다. 이런 제약 없는 순간이동은 비슷한 류의 살인마들을 전부 비교해도 독보적인 장점이다. 또한 생존자가 사용 중에 문으로 순간이동을 할 경우 자동으로 생존자를 들쳐업는 시스템이 존재하기에 드레지처럼 생존자를 순식간에 납치해버리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 준수한 성능의 애드온들
도끼를 회수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20% 감소하는 레스토랑 메뉴, 보안문의 이동속도가 15% 빨라지는 피자 포장끈, 도끼의 범위 내에서 생살 둘 다 7% 이속 증가 효과를 받는 폭시의 갈고리나 생존자가 도끼에 맞았을 때 생존자 살인마 모두 이속 및 창틀 넘는 속도가 각각 12%, 20% 증가하는 축제 포스터 등 상당수의 애드온들이 준수한 성능을 지녔거나 좋은 성능을 지녀 가성비 애드온부터 등급의 맞는 값을 하는 애드온까지 다양하게 분포해있다.
6.2. 단점
- 생존자도 이용 가능한 보안문과 살인마의 위치를 볼 수 있는 CCTV 기믹
특이하게도 애니매트로닉스의 보안문은 생존자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데 제약이 없는 애니매트로닉스와 달리 생존자는 횟수의 제약이 있지만, 문 순간이동 효과도 쓸 수 있기 때문에, 먼 거리를 굳이 직접 움직이지 않고 보안문을 활용해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생존자만 사용 가능한 기믹인 CCTV는 주변에 있는 애니매트로닉스를 볼 수 있기에 살인마의 위치를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며, 심지어 일정 시간 이상 보게되면 살인마의 오라가 드러나기 때문에 애니매트로닉스는 사실상 언제든 생존자에게 위치를 파악당할 리스크를 떠안고 가게 된다.
- 짧은 사거리의 도끼
차징할 수록 직선에 가깝게 던지는 헌트리스와 달리 애니매트로닉스의 도끼는 완전한 곡선형을 띄고 있기 때문에 헌트리스처럼 초장거리 타격은 불가능하며 사거리도 그렇게 길지 않다. 때문에 원거리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헌트리스나 데스슬링거와 달리 상당히 생존자와 붙어야 타격을 넣을 수 있다.
- 매우 큰
발소리와 키
보안 문의 효과로 감지 불가능을 긴 시간 동안 얻을 수 있지만 기계 특유의 쿵쿵거리는 묵직한 발소리를 가지고 있어 소리를 듣고 빠질 수 있고 심리전을 할 때 소리로 파악이 가능하기에 불리하다. 다만 지나치게 큰 발소리는 버그로 간주되어 9.2.1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또한 공식적으로 신장이 평균으로 되어있긴 하지만 막상 모델링의 크기 자체는 신장이 큼으로 판정되는 살인마들 수준으로 큰데다가 높게 솟아있는 토끼 귀 때문에 네메시스같은 살인마들보다 더 눈에 띄어서 구조물 심리전 역시 약한 편이다.
- 구조물이 많거나 실내일 경우 취약한 도끼
다른 원거리 살인마들처럼 애니매트로닉스 역시 구조물이 많은 장소에서는 도끼를 맞추기가 힘들어진다. 물론 도끼가 완전히 곡선형인 점을 감안해 하늘에다 던져 생존자를 맞추는 식의 플레이로 어느정도 파훼를 할 수 있지만, 그마저도 실내맵에서는 그런식으로 던졌다가는 도끼가 천장에 박히기에 막히고, 도끼를 가능한 멀리 던지려면 어느정도는 화면을 올려야 하기에 실내맵의 천장이 낮을 수록 애니매트로닉스가 던질 수 있는 사거리도 줄어들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 악의 항목과 추격자 앰블럼의 점수을 얻기 어려움
현재 버그인지 역병처럼 능력 메커니즘상 발생하는 문제인지 애니매트로닉스의 도끼잡기로 생존자를 한번에 붙잡거나 도끼로 타격시 눕히든 부상상태로 만들든 그상황에서 원래같으면 얻어야하는 악의항목과 추격자 항목의 점수가 오르지 않는다. 랭크에 신경쓰는 유저들은 성가신 부분.[12]
7. 공략
8. 조합
9. 업적
현재 총 2개의 애니매트로닉스와 관련된 업적이 있다.<rowcolor=White> 아이콘 | 이름 | 조건 |
| Adept Animatronic 숙련된 애니매트로닉스 | 공개 희생제에서 애니매트로닉스의 3가지 고유 기술만을 사용해 무자비한 승리를 거두세요. |
| Jump Scared 깜놀 | 희생제에서 애니매트로닉스로 플레이하며, 경비실에 있는 생존자 15회 방해하기.[13] |
10. 패치 노트
9.0.2 패치 - 2025년 07월- {{{#!folding [ 애드온 패치 펼치기 · 접기 ]
- 피자 포장끈의 보안 문을 통한 이동 속도가 20%에서 15%으로 감소 (너프)
- 경비원의 배지의 감지 불가능 효과 지속 시간이 50%에서 25%으로 감소 (너프)
- 파티용 모자의 효과 영역 지속 시간이 50%에서 20%으로 증가 (버프)
- 보니의 기타줄의 감지 불가능 효과 지속 시간이 50%에서 100%으로 감소 (너프)
- 폭시의 갈고리의 효과 영역을 벗어난 후 3초에서 6초로 증가 (버프)
- 내장 CPU의 파괴 및 손상 속도가 25%에서 40%으로 증가 (버프)
11. 추격 음악
|
공포 범위 테마는 호평받고 있으며, 추격 음악은 뒤틀린 오르골 풍의 사운드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점으로 원작의 성격을 반영했는지 추격 음악이 매우 차분하다. |
12. 즉결 처형
|
누워있는 생존자에게 다가가 머리채를 잡고 나이프로 흉부를 찌른 뒤 들어올린다. 그리고 자신 앞에 등장한 몸에 톱날이 가득한 엔도스켈레톤에게 그대로 밀어넣는다.[14] 톱날에 그대로 갈리는 생존자를 보고 웃다가 죽어서 쓰러진 생존자에게 괴성을 지른다. |
13. 기타
- 애니매트로닉스는 기본 스킨이 원작 게임 버전이며, 영화 버전은 전설 스킨으로 나오는 것이 공개되었다.[15] 성우의 경우 기본 스킨은 원작에서 윌리엄 애프튼/스프링트랩을 맡았던 PJ 헤이우드이며[16], 전설 스킨은 FNaF 영화에서 윌리엄 애프튼을 맡았던 매튜 릴라드가 담당한다. 커뮤니티 디렉터 Eric Pope와 대화/레딧 이 외에도 Help wanted에 나왔던 글리치트랩(전설급), AR에서 스프링트랩의 스킨으로 나왔던 독성 스프링트랩과 광대 스프링트랩(매우 희귀함) 역시 스킨 중 하나로 나온다.
- 데바데의 모든 콜라보 중에서도 가장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는 그간 해외에서 유저들이 가장 원했던 콜라보이기도 했으나 실제로 프레디의 피자가게(FNaF) 시리즈가 타 작품과 콜라보했던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본작이 최초의 FNaF 시리즈와 타 시리즈의 대규모 콜라보 성사인지라 상징성이 큰 것도 있었다. 그리고 이런 폭발적인 반응을 보여주듯 데바데 최초로 PTB 서버가 터져서 일부 유저들이 접속 불가능해지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FNaF 콜라보가 정식 발매되자 2021년 6월, 바이오하자드 콜라보 당일 세웠던 105,093명을 넘어선 106,029명의 기록을 세워 신기록을 세웠다.[17]SteamDB 기록
- 한국 커뮤니티에서도 상당한 기대를 모았으나 막상 공개 후엔 여론이 다소 미적지근하다. 능력의 연출 자체는 멋들어지지만, 근본적으로는 원거리 공격, 맵 순간 이동 등 기존 요소를 짬뽕시킨[18] 것 뿐이라 출시 한참 전부터 동네방네 홍보한 콜라보치곤 신선하다는 느낌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에서 FNAF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감시 호러 게임 정도며, 영화는 그나마 본 사람이 많아[19] 존재 정도는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많으나 게임 이외의 매체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심할 경우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 많아서 스프링트랩이 왜 말을 하는 건지[20], 또 피자 칼과 도끼는 대관절 어디서 튀어나온 건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다.
- 원작에서는 순수하게 점프 스케어로 플레이어를 게임오버 시키고 그 이후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는 점프스케어와 함께 카메라에 노이즈가 끼고 게임오버 화면으로 넘어가 보여주지 않기에 무기를 딱히 들고다니지 않으나, 본작에서는 나이프를 들고 다닌다. 굳이 무기가 나이프인 이유에 대해서는 FNaF 월드의 퍼플 가이의 베기 스킬이 나이프로 나가는 것과 더불어 실사 영화에서 스프링트랩이 은색 나이프를 무기로 골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능력으로 소방 도끼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면 소방 도끼는 원작 어디서도 사용한 적이 없는 점이다. 이에 팬들은 2차 창작곡인 2015년에 발표된 The Living Tombstone의 Die In A Fire에서 애프튼이 애니매트로닉스들을 소방 도끼로 해체하는 연출에서 모티브를 얻어온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21][22]
- 마스코트인 프레디 파즈베어를 포함해서 시리즈 내에 여러 상징적인 캐릭터들이 많음에도 스프링트랩이 선정된 이유는 그가 시리즈 내에서 최악의 악인이고, 스콧이 강력하게 추천을 했기 때문이라고 개발진이 밝혔다. 원작에서 윌리엄 애프튼은 둘째 아들이 애니매트로닉스의 오작동으로 머리가 씹혀 죽는 사고가 발생한 뒤로부터는 아동살해를 일삼거나[24], 자기가 만든 애니매트로닉스를 사람을 죽일 수 있는 살육기계로 만드는 등의 이유등으로 사이코패스 살인마로 변모한 것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콜라보가 이루어진다면 스프링트랩이 될 거라는 예상을 많이 했으며 이를 개발진과 원작자 스콧 코슨도 알기 때문인지, 유저들의 예상대로 스프링트랩이 선택되었다.[25]
- 대기 모션 도중에 갑자기 괴로워하면서 손으로 입을 벌리는 행위를 하는데, 이는 원작의 이스터에그 사진 중 하나였던 스프링트랩의 이미지를 오마주한 것이다.
- 안에 인간의 시체가 들어있는 캐릭터답게 내부의 시체 역시 모델링이 되어있는데, 원작과는 꽤나 차이가 크다. 원작은 이가 굉장히 듬성듬성 나있으며[26] 눈꺼풀은 눈알이 빠질만큼 지나치게 벌어져있고, 머리도 이상하게 팽창되어 있으며, 몸체는 사실상 구현이 안되어있고 그나마 내장으로 보이는 부분들이 애니매트로닉스의 몸체에 칭칭감겨 있는 모습을 했기에 얼굴을 빼면 인간의 형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27] 데바데는 온전한 시체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눈알은 없지만 눈꺼풀이 벌어져 있지 않으며 코가 없고[28] 이가 몇개 빠지긴 했지만 대체로 멀쩡하다. 때문에 그나마 시체가 멀쩡한 편에 속하는 데바데측이 덜 징그럽다.[29] 이 외의 차이점은 엔티티의 영향인지 내골격에 있는 시체의 턱부분이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0]
- 능력의 이름인 파즈베어의 공포는 Five Nights at Freddy's 3의 무대인 장소의 이름이다.[31] 또한 퍽인 Help Wanted는 시리즈 내에서 등장하는 경비 구인공고문의 'Help Wanted'와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에서 따왔고 Phantom Fear는 3편의 주 방해요소이자 기믹으로 등장한 팬텀 애니매트로닉스에서 따왔으며, Haywire는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영화와 게임판을 기준으로 했지만 애드온 중 소설판에 언급된 설정인 렘넌트가 애드온으로 등장하거나 FNaF World에 나온 퍼플가이의 문구인 "날 그리는데 10초밖에 안 걸려!"라는 문구가 들어간 퍼플가이 그림 애드온, 프레디의 모자 설명에선 실종된 아이들 중 한 명인 가브리엘이 언급되는 등 다수의 작품과 관련된 요소들도 등장한다.
- 여러모로 데바데 최초의 기록들을 가지고 있다.
- 테스트 서버에 등장하면서 데바데 최초로 테스트 서버가 마비되었다.
- 단독 챕터로 나온 캐릭터 중 최초로 고유 맵과 함께 출시된 캐릭터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피자가게가 프레디의 피자가게 시리즈에서 애니매트로닉스들 만큼 상징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추가한 것으로 보이며, 게임 외적으로는 굉장히 많은 해외 유저들이 오랫동안 바랬기에 피자가게 맵을 추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 데바데 최초로 픽 모션이 2가지나 되는 살인마다. 하나는 원작에서 화면 바로 앞에서 지나간 뒤 나오는 애니메이션과 옆에서 얼굴을 내민 뒤 나타나는 애니메이션을 가졌다. 하나는 원작에서 스프링트랩이 경비실 내부로 들어왔을 때 플레이어가 CCTV를 바라보고 있다면, 옆으로 빠르게 지나가는 애니메이션의 오마주이며, 얼굴을 내미는 행동 역시 경비실 내부로 들어오기 직전에 얼굴을 내민채로 플레이어를 응시하는 부분의 오마주인 것으로 보인다. 화면을 지나갈 때 노래를 잠시 흥얼거리는데 FNaF HW2의 발로라 갤러리 파트에서 발로라가 노래를 하던 멜로디와 유사하다.[32]
- 데바데 최초로 전설 등급의 스킨이 출시 당일 2개 이상 나온 캐릭터다.
- 특이점 이후로 오랜만에 등장한 기계 살인마다. 물론 이쪽은 안에 윌리엄 애프튼의 시체가 있기도 하고 애니매트로닉스에 영혼이 깃들어 움직이는 방식이기에 순수한 기계인 특이점과는 차이가 있다.
- 원령처럼 두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살인마인데[33] 딱히 두 장르를 기반으로 했다는 티가 나지 않는 원령과 달리 애니매트로닉스의 경우 기본 모습은 원작 게임을 기반으로 했고 함께 출시된 맵은 영화판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티가 상당히 나는 편이다.
- 챕터 공개 전에는 생존자 역시 여러 의견이 갈렸고[34]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는데, 최신작인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를 제외하면 그간 모든 시리즈의 주인공이 자신의 얼굴을 보인적이 없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살인마 단독 챕터로써 등장하게 되었다.[35]
- 엔티티가 스프링트랩을 데려간 시점은 Five Nights at Freddy's 3의 사건이 일어나기 직전이라고 한다. 원작 기준으로는 스프링락 슈트에 압사당하고 나서 안전실에 30년동안 방치된 후 공포의 집 관리자가 발견해 인게임 기준 2일차에 공포의 집에 배치되고, 이후 그곳에서 플레이어를 족치기 위해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데바데에선 이렇게 발견되기 바로 직전에 엔티티에게 끌려간 모양.
3편 주인공은 이득, 그렇게 망해버린 공포의 집[36]
- 인게임 표기는 신장이 평균으로 되어있지만 정작 모델링은 신장이 큰 살인마들과 비슷한 크기를 자랑하는 거구다.
- 원작과 달리 데바데에서는 생존자를 조롱하거나 장난스럽게 말을 하기도 하며[37] 웃기도 하는 등 사람을 죽이는데 굉장히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린이는 못죽이는게 아쉽긴 하겠다만[38][39] 사람을 마음껏 죽이도록 허락해준 것 때문인지 엔티티의 세계가 굉장히 마음에 든 듯하며, 이 때문인지 원작은 굉장히 진중한 느낌의 톤인데 반해 데바데는 즐겁다는 듯 톤이 좀 올라간 느낌의 대사들도 존재한다. 이 외에도 목소리 자체가 원작에서 나온 목소리와 비교해보면 훨씬 더 거칠고 굵직하며 힘이 들어가있는데[40], 아마 원작에서 스프링트랩이 대사가 생긴 시점은 6편 즈음으로, 스프링트랩이 깨어난 3편에서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시점에다, 본인도 3편의 공포의 집 화재 이후 길거리에서 몇년을 나돌아다니다 헨리와 마이클에게 발견되어 피자가게에 안치된, 즉 산전수전 다 겪은 상태인데 반해, 데바데의 스프링트랩은 30년동안 안전실에 방치되어있다 엔티티 덕분에 탈출해 속세로 다시 나온 셈이기에 굉장히 팔팔하고 들뜬 상태여서 이런 모양.
- 셀렉트 이미지는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에서 공개했던 스프링트랩의 이미지를 오마주한 것이다.
- 도끼를 던지는 토끼 애니매트로닉스라는 점에서 토끼 가면을 쓴 채로 손도끼를 던지는 헌트리스와 비슷하다는 반응이 많다. 그 외로는 이름이 프레디인 나이트메어와도 여러 방면에서 비슷한 부분이 많다.[42] 여담으로 피 닦는 애니메이션을 영화판에서 가져왔다보니 자연스럽게 고스트페이스의 오마주가 존재한다.
- 3편의 타임라인이 2017~2023년도 쯤이기 때문에[43] 라이센스 살인마들 중에서는 카네키와 더불어 가장 가까운 현대에서 온 살인마다.
- 원작의 디자인을 완벽히 반영하여 모델링 된 덕에 디자인으론 호평이 끊이질 않고 있지만, 사실 원작 모델링과 비교해보면 가슴팍 윗 부분에 달린 단추, 코스튬에 묘사된 배 부분 파츠가 없다거나, 찢겨져 나간 코스튬 부위의 위치나 모양이 미묘하게 다르다던지 등 소소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원작과 다르게 몸 군데군데에 핏자국이 보인다.[44] 모델링 외에도 점프스케어 시 원작 특유의 사운드는 내지 않고 성우인 PJ 헤이우드의 목소리를 변조시킨 독자적인 사운드를 낸다.
- 배경 이야기의 전개가 꽤 특이한 편인데, 보통 다른 살인마들은 '해당 캐릭터가 어째서 살인마가 되었나'에 초점을 맞추어 살인마가 되기 이전, 해당 캐릭터가 무엇을 하고 살았는지, 어떤 처지였는지 그 행적을 그대로 보여주지만, 애니매트로닉스는 이 살인마가 된 과정을 생략하고 '스프링트랩의 탄생'에 초점을 맞추어 살인마 윌리엄이 아이들의 원혼에게 쫓기다 스프링 보니 슈트를 입고 압사당하는 부분부터 시작된다. 이는 공식에서 윌리엄의 과거 이야기가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으며, 스토리를 곧이곧대로 설명하는 대신 떡밥을 통해 스토리라인을 추측하도록 하는 원작 게임의 특성상 공식이 아닌 데바데 측에서 윌리엄의 과거 이야기를 보여주기엔 많이 난감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인 듯 하다.
사실 개발자들도 몰라서 안집어넣은거다
13.1. 대사 모음집
특정 캐릭터와의 상호작용 대사가 있는 것은 아니나, 원작 작품들에서 등장한 다양한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대사나 인물, 혹은 2차 창작과 연관된 대사들도 존재한다.
AR_대사는 FNaF AR:SD에서 나온 대사들이다.
AR_대사는 FNaF AR:SD에서 나온 대사들이다.
로비 및 매칭 대기 화면에 있을 시 | |
<colcolor=White> I Always Come Back. | 난 언제나 돌아온다. |
It's me. | 나야. |
Great atmosphere. | <colcolor=White> 멋진 분위기로군. |
I'm back. | 다시 돌아왔다. [AR_대사] |
I'm going to enjoy this. | 이건 아주 재밌겠는걸. |
I'm the fun one. | 나는 즐거운 사람이야. |
I am here. | 내가 왔다. |
I promise a fun time. | 재밌는 시간이 될 거야 약속하지. |
It is time. | 때가 되었다. [AR_대사] |
Let's start this party. | 파티를 시작하지. |
Play with fire, and you'll get burned. | 불장난을 치면... 화상을 입게 되지.[48] |
The darkest pit of hell is open for business. | 지옥의 가장 어두운 구덩이가 영업을 시작한다.[49] |
This will be entertaining. | 이건 재미있을 거야. |
Who will suffer first? | 누가 먼저 고통 받을겐가? |
You, will, fear, me. | 넌, 날, 두려워 하게 될거다. [AR_대사] |
생존자를 빈사 상태에 빠뜨릴 시 | |
Do you feel that? | 느껴지나? |
Don't move | 움직이지 마라. |
Exquisite | 장관이군. |
Ha! | 하! |
Lay there and suffer. | 거기에 누운 채로 고통받아라. |
There's no escape. | 탈출은 없다. |
There. | 옳지. |
Yes | 좋아. |
You will submit | 넌 포기 할 거다. |
생존자를 갈고리에 걸 시 | |
Farewell | 잘 가라. |
Go on, Scream. | 계속해, 소리를 질러. |
Goodbye. | 잘있어. |
Insolent welp. | 애송이가. |
It will end soon | 곧 끝날 거다. |
Up you go. | 올라가라. |
Wait there. | 거기서 기다려라. |
You belong here. | 넌 여기에 있어야 해.[51] |
You will see... | 곧 알게 될거다... |
Your struggle will end soon | 네 놈의 발버둥도 곧 끝날 것이다. |
즉결 처형 시 | |
And now, you're mine. | 이제 넌 내 것이야. [AR_대사] |
Ba-Bye. | 잘 가. |
Die. | 죽어라. |
Game over. | 게임 오버. |
Here's a Fazbear special. | 여기 파즈베어 스페셜 메뉴다. |
I'm so sorry. | 정말 미안해. [53] |
I can taste your fear. | 네 공포가 느껴지는군. [54] |
I have claimed you. | 넌 이제 내 차지다. |
I know! So fun. | 나도 알아! 즐겁다는 걸. |
Let's pull you apart. | 널 갈기갈기 찢어주마. |
No one will save you. | 널 살릴 사람은 없어. |
No pizza for you. | 너에게 줄 피자는 없어. |
No prize for you. | 너에게 줄 상은 없어. |
Pathetic. | 애처롭군. |
Scream all you want. | 실컷 비명 질러라. |
Scream louder, please. | 더 크게 소리질러줘. |
Watch the show everyone! | 모두 공연에 주목해라! |
Who ordered the special? | 스페셜 피자 주문한 사람? |
You're mine now. | 넌 이제 내 것이다. |
Your time, is up. | 네 시간은 끝났어. |
희생제 시작 시 | |
You will not be spared. You will not be saved. | 넌 용서받지 못할 것이고. 넌 구원받지도 못할 것이다. [55] |
Your fear... will consume you. | 네 두려움이... 널 좀먹을 것이다.[AR_대사] |
I'm here to claim what is left of you. | 난 네게 남은 것들을 가지러 왔다.[57] |
I love the smell of fear | 난 공포의 냄새가 너무 좋아. |
This will be fun. | 이건 재밌을 거야. |
Fear will destroy you. | 공포는 널 파괴하리라. |
Prepare to suffer. | 고통에 대비하라. |
I will find you. | 내가 널 찾아내주마. |
Hide if you wish. | 원한다면 숨어봐라. |
It's real. It's happening. | 사실이야 일어나고 있어. |
None of you stand a chance. | 너희들 중 누구도 기회를 얻을 수 없다.[58] |
Fear and death. Perfect. | 공포와 죽음. 완벽해. |
The fear is palpable. | 두려움이 느껴진다. |
Suffer now, like all who have stood before me. | 지금 고통받아라, 내 앞에 섰던 모든 사람들처럼.[AR_대사] |
It is not your flesh that sustains me. It is your fear. | 나를 지탱하고 있는건 너의 살이 아니라, 너의 공포다.[AR_대사] |
I will make you suffer! Suffer like so many of the others. | 내가 널 고통스럽게 만들테니! 다른 많은 이들처럼 고통받아라.[AR_대사] |
I know you are near. | 네가 근처에 있다는 걸 알아. |
I smell fear. | 공포의 냄새가 난다. |
No one shall be spared. | 그 누구도 구해질 수 없다. |
I will make you all suffer. | 너희 모두를 고통스럽게 만들겠다. |
Let the fun begin. | 재미있는 걸 시작하지. |
The party begins now. | 지금 파티를 시작하겠다. |
13.2. 전설급 의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란 토끼(DEAD BY DAYLIGH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란 토끼(DEAD BY DAYLIGH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글리치트랩(DEAD BY DAYLIGH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글리치트랩(DEAD BY DAYLIGH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정확히는 토끼 애니매트로닉스인 스프링 보니 안에 있는 시체와 영혼의 정체다.[2] 외골격이 되는 애니매트로닉스인 스프링 보니의 성별은 불명이다.[3] 다만 말할때 영국식 억양을 사용하는지라 영국계라는 추측도 있다. 원작에서도 정확한 출신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영국 억양으로 말한다. 해당 추측이 맞다면 본작에 같이 등장하는 살인마인 너스, 블라이트, 수도사와 함께 영국 혈통 출신인 살인마가 된다. 데바데 위키에서는 일단 영국계 미국인으로 표시되었다.[4] 원작 성우[예고편] 인게임 내에서는 볼 수 없고 원작과 달리 옷의 색깔이 다르고 넥타이를 하고 있지만, 2편부터 등장했던 애니매트로닉스인 벌룬보이가 피규어의 형태로 경비실에 놓여있다. 또한 트레일러에서는 원작처럼 스프링트랩이 경비실로 다가오다보니 실제 맵에는 존재하지 않는 복도가 추가되었다. 메그가 살해당할때 시계가 클로즈업되며 시각이 오전 6시가 되기 직전인데, 이는 원작에서 6시가 되면 게임을 클리어하는 점을 반영한 부분으로 보인다. 운만 있었으면 덮치기 전에 살았을 메그[6] 원작에서 프레디 파즈베어에 깃든 영혼의 이름이다.[7] 같은 아티스트인 The Living Tombstone의 Five Nights at Freddy's 1 Song은 실사영화인 프레디의 피자가게 엔딩에 사용되어 공식 OST로 인정을 받았다.[8] FNaF 신작 발표회 같은 것들이 나올 시기 쯤 되면 FNaF 유명 유튜버 라이브에 가끔씩 나와서 FNaF 팬들이 만든 걸 리액션을 해주는 등의 행보도 보여준다.[9] 2차 창작 문서의 인터넷 밈 단독 문단 등 여러 가지 사례가 있으나 유명한 사례로는 본래 프레디의 피자가게라는 제목은 한국에서만 쓰이던 제목이었으나 실사 영화와 최신 작품인 서큐리티 브리치에서 공식적인 한글 제목명으로 인정받았다.[10] 살인마가 문에서 나올 때 문 앞 패널이 깜빡거리는데 이때 미리 빼버리는 것. 살인마가 보안 문을 사용할 때 배경 소음이 갑자기 훅하고 사라지는 버그로 구분할 수도 있었으나 다행히 9.1.0 패치로 수정되었다.[11] 이 때문에 데드하드 심리전에서 큰 우위를 가진다.[12] 도끼잡기는 쉐이프의 묘비애드온으로 가능한 즉결처형과 동일한 상호작용키이며 쉐이프의 선례를 생각해보면 악의항목이랑 추격자 항목의 앰뷸럼 점수는 안들어오는게 납득은 되지만 도끼로 타격해서 부상상태나 빈사상태로 만드는 행동은 엄연히 타격이라서 점수가 안들어오는게 이상한 상황이다.[13] 25년 9월 기준으로 스팀 기준 달성률이 0.2%에 불과한 극악의 업적이다. 그도 그럴 것이, 생존자가 바보가 아닌 이상 몇십 판에 한 번 잡을까 말까기 때문에 블포작이 아닌 이상 클리어하기 엄청나게 어렵다.[14] 이 엔도스켈레톤의 모티브는 영화버전에서 등장한 회전톱이 잔뜩 달린 인형탈이 모티브인 것으로 보여진다.[15] 여담으로 영화버전의 스킨을 출시하게 된 이유는 원작자 스콧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 한편 영화 버전 스킨의 경우 마스크가 없어서 착용자인 윌리엄 애프튼의 얼굴이 그대로 드러나있다.[16] 연기톤은 후술하듯 FFPS, AR에 나왔던 스프링트랩의 보이스보다 훨씬 거칠고 굵직하다. 게다가 원작에서는 보여준 적이 없었던 장난스러운 톤의 대사도 존재한다.[17] 이후 9일 뒤에 9주년 기념으로 120,717명의 기록이 나오면서 또 신기록이 갱신되었다.[18] 정말 노골적으로 토구의 능력과 유사한지라 생긴 게 토끼라서 비슷한 토끼처럼 도끼를 던지게 만들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돌기도 했다.[19] 공포영화 + 게임 원작 영화 기준으로 71만명 정도라면 꽤나 선방한 수준이다.[20] 시스터 로케이션(2016)부터 애니매트로닉스들에게 대사가 생기기 시작했으며, 스프링트랩이 첫 등장했던 3(2015)에는 대사도 없었고 공격 방식도 짧은 환각과 달려들기가 전부였다. 물론 프레디 시리즈를 집중적으로 파고있는 팬들은 애니매트로닉스들이 대사가 생긴 건 10년도 되가는 사실이기에 거부감을 표하는 의견이 없다.[21] 또한 더 더욱 이 곡이 모티브일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 Die In A Fire가 나온 이후로 2차 창작에서 스프링트랩이 도끼를 쓰는 이미지가 대중화 되기도 했고, 곡에 너희들이 불타 죽었으면 좋겠다는 가사가 나오는데, 이 때문인지 소방 도끼의 외형과 던졌을 때 나오는 이펙트도 Fire Axe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가진 불이 붙은 듯한 소방 도끼의 모습을 하고 있다.[22] 비록 콜라보긴 하지만 이것이 공식 콜라보인 만큼 언급은 안하더라도 생전 윌리엄이 도끼를 쓰는 것이 공식적으로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원작에도 나오지 않은 2차 창작 요소를 능력으로 만들 이유는 없는데다가 원작자가 허락하지 않으면 불가능할 것이기에 스콧 역시 이 능력을 허락했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프레디의 피자가게 시리즈에서는 팬들이 붙인 부분이 정식적으로 공식에 편입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1편에서는 이름이 노란 곰이었으나 2편부터 팬들이 붙여준 이름이 공식 명칭이 된 골든 프레디의 사례가 존재하는 등의 원작자인 스콧은 2차 창작 설정을 잘 받아들이기로 유명하다.[23] 실사영화 1편에서 고스트페이스의 "나이프를 들고 손으로 나이프를 닦는 행동"을 오마주했고, 게임에서도 그대로 반영이 되었다. 더불어 고스트페이스의 공모자 역할을 했던 스키트 울리치도 2025년 말 개봉하는 프레디의 피자가게 2(영화)에서 헨리 에밀리 역을 맡는데, 윌리엄과 헨리가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의 공동 창업자라는 걸 생각하면 배우개그도 성립한다.[24] 여기에는 자기 회사의 동업자이자 친구의 딸도 포함되어 있다.[25] 이와 반대로 1편에 등장했던 4인방의 경우 스콧이 살인마로써 등장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한다. 실제 설정상으로 스프링트랩인 애프튼의 살해 대상이 되어 살해당한 무고한 어린 아이들일 뿐이며, 1편에서 주인공을 공격하는 것 조차 사람을 탈 없는 내골격으로 오인한 것에 비롯되기 때문에 스프링트랩처럼 고의적으로 사람을 죽이려고 한 것도 아니라, 살인마로 내기에는 여러모로 적합한 편은 아니다.[26] 사실상 서너개만 있는 수준이다.[27] 사실 원작의 스프링트랩 내부에 든 인간 시체가 이렇게 기괴한 모델링을 지니게 된 이유가 있는데, 원작자인 스콧 코슨이 원래 인간 모델링을 못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인간이 나오던 무명 시절의 작품이나 FFPS의 스프링트랩의 사례만 봐도 그렇다.[28] 콧구멍조차도 보이지 않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녹아내린 듯한 모습이다.[29] 물론 데바데 쪽은 더 리얼한 핏덩이 시체인지라 이러나저러나 둘 다 끔찍하다.[30] 원작의 경우 말은 가능했어도 외골격 안에 있는 시체의 턱이 움직이거나 하진 않았다.[31] 여담으로 이 공포의 집을 열려던 사장이 이튿날 망해버린 피자집에서 발견하고 데려온 애니매트로닉스가 스프링트랩이었다.덕분에 주인공만 개고생하게 되었다. 원작에서는 결국 6일차 이후 합선으로 불이 나 전소되었다.[32] 해외쪽에서는 흑사병을 주제로 한 마더 구스 중 하나로 알려진 Ring Around the Rosy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33] 애니매트로닉스는 게임과 영화판을 기반으로 하며, 원령은 소설과 영화판을 기반으로 했다.[34] 루머중에는 바네사가 나온다는 루머도 있었으며 스프링트랩과 오랜 악연을 지닌 마이클 애프튼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추측 역시 존재했다.[35] 개발진들의 QnA에 의하면 영화판의 주인공인 마이크 슈미트를 생존자로 추가하는 아이디어가 있긴 했으나 현재로썬 계획이나 확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36] 단 공포의 집이 망한 이유는 사장이 괜히 실감나는 연출을 하겠다고 무리하게 건물 설비를 하는 바람에 화재가 일어나 전소되어 망한 것이라 스프링트랩이 있으나 없으나 그대로 망했을 것이다.[37] 또한 생전 직업이 사업가라서 그런지 대사 중간중간에 파즈베어 특별 서비스를 언급하거나 선물이나 피자는 없다느니, 로비 화면에 있을땐 영업을 시작한다는 등 묘하게 비즈니스맨 느낌이 물씬 나는 대사를 치기도 한다.[38] 원작에서 윌리엄 애프튼은 성인은 한번도 죽인 적이 없으며, 아동 연쇄 살인마다. 작중에서 확실히 죽인 것으로 묘사된 것만 6명이며, 많게는 10명 이상 죽였을 가능성도 있다. 스토리에서도 엔티티가 윌리엄이 아동 살인마였다는 점을 이용해 아이들의 목소리를 흉내내서 스프링트랩을 유인한다. 참고로 원작에서도 벌룬 보이, 즉 아이의 목소리를 이용하여 스프링트랩을 유인하는 기믹이 있다.[39] 현실에서 아동 대상 범죄의 주요 동기 중 하나가 대상을 쉽게 제압할 수 있다는 것임을 감안하면 윌리엄 애프튼이 아동을 살해 대상으로 삼았던 이유는 단순히 살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쉬웠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즉 엔티티 세계에서의 윌리엄 애프튼이 보여주는 광기야말로 더 이상 손쉬운 살해 대상을 골라내고 증거를 인멸할 필요가 없어진 윌리엄이 모든 이성을 내던지고 남은 그의 원초적 인간성의 표출이라는 것.[40] 목소리가 굉장히 굵어져서 전작과 비교해보면 분명 같은 성우는 맞는데도 확연히 다른 느낌이 든다. 다른 성우를 예시로 들자면 클랜시 브라운의 목소리와 비슷하게 변했다.[41] 이 아이들은 전부 윌리엄이 생전 죽였던 아이들이기도 하며 추후 애니매트로닉스가 되어 게임의 주측이 되는 존재들이고, 미니게임인 Happiest Day에서는 각 아이들의 머리 위에 풍선이 하나씩 떠 있기에 총 6개의 풍선이 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42] 스프링트랩이 나오는 게임의 제목이 프레디의 피자가게다보니(정확히는 한국 팬덤과 FNaF를 모르는 해외 스트리머들 위주) 줄여서 프레디라고 불리며, 나이트메어는 이름이 프레디 크루거이다. 둘 다 아동 연쇄 살인마였고, 죽은 경험이 있으며 몸이 불에 탄 경험도 있다. 또한 살아나서도 살인을 해대는 등 비슷한 부분이 많다. 헌트리스 역시 여자 아이는 죽이지 않고 유괴한다는 점에서 묘하게 세 살인마가 아동 관련한 부분으로 비슷한 부분이 있다.[43] 3편의 사건 자체가 정확히 몇 년도에 일어난 것인지는 나오지 않았기에 정확한 시간대는 알 수 없다.[44] 대부분의 라이선스 살인마들 역시, 모델링을 새로 만들면서 원작과 약간의 차이점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니 스프링트랩 역시 비슷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본작에서도 디자인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3편과 헬프 윈티드, AR에서도 스프링트랩의 디자인은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이는 스콧의 요청사항으로 4인방이 모여있는 이미지에 프레디의 나비넥타이가 빨간색인 것 등 의도적으로 다르게 처리하였다. 관련 Q&A[45] 당연하지만 윌리엄은 1990년대에 사망했기 때문에 도쿄 구울이 뭔지 모를 가능성이 높다. 윌리엄이 막 깨어났을 시점은 2017년으로 추측되는때 이때는 도쿄 구울:re였다. 카네키 입장에서도 카네키가 엔티티에게 끌려온 시점은 (도쿄 구울 연재 시작일자를 기준으로 할 시) FNAF 시리즈가 나오기 전이기 때문에 스프링트랩이 뭔지 모를 것이다.[AR_대사] [AR_대사] [48] UCN 락스타 폭시 대사 변형[49] 엔티티에게 끌려온 시점에선 일어나지 않은 일이지만, 동업자였던 헨리가 어두운 불구덩이(The darkest pit)를 언급하며 저주했던 걸 생각하면 묘한 부분이다[AR_대사] [51] 게임계에서 유명한 랩 유튜버 JT Music의 프레디의 피자가게 2차 창작곡 중 You belong here라는 곡이 있는데, 애니매트로닉스의 대사가 여러 매체에서 나온 스프링트랩의 대사거나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대사를 가져온걸 고려하면, 이 대사는 2차 창작 곡인 You belong here에서 따온 대사로 보인다.[AR_대사] [53] 당연하지만 윌리엄 성격상 전혀 미안해하지 않을 것이기에(...) 묘한 느낌을 준다. 해당 대사가 즉결 처형시 출력되는 대사임을 감안하면 그냥 조롱+비꼼이다. 오역인건 아니지만 원문의 늬앙스를 좀 더 살려 의역하자면 "아이고 미안해라" 정도 되겠다.[54] FNAF AR 스프링트랩 대사 변형[55] UCN 나이트메어 대사[AR_대사] [57] UCN 나이트메어 대사[58] UCN 폭시 대사 변형[AR_대사] [AR_대사] [AR_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