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22:34:50

스프링트랩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클래시 오브 클랜의 함정}}}에 대한 내용은 [[점핑 트랩]]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점핑 트랩#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점핑 트랩#|]]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애니매트로닉스 자체}}}에 대한 내용은 [[스프링 보니]]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스프링 보니#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스프링 보니#|]]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DEAD BY DAYLIGHT에 등장하는 스프링트랩}}}에 대한 내용은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클래시 오브 클랜의 함정: }}}[[점핑 트랩]]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점핑 트랩#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점핑 트랩#|]]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애니매트로닉스 자체: }}}[[스프링 보니]]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스프링 보니#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스프링 보니#|]]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DEAD BY DAYLIGHT에 등장하는 스프링트랩: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애니매트로닉스(DEAD BY DAYLIGHT)#|]]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FNAF 제목.png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애니매트로닉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개인 제작
시리즈
Five Nights at Freddy's
(프레디, 보니, 치카, 폭시, 미스터 컵케이크)
Five Nights at Freddy's 2
(퍼펫, 토이 프레디, 토이 보니, 토이 치카, 맹글, 벌룬보이)
Five Nights at Freddy's 3
(스프링트랩)
Five Nights at Freddy's 4
(프레드베어, 스프링 보니, 나이트메어, 나이트마리오네)
Five Nights at Freddy's: Sister Location
(서커스 베이비, 발로라, 펀타임 프레디, 펀타임 폭시, 에너드)
Freddy Fazbear's Pizzeria Simulator
(스크랩 베이비, 몰튼 프레디, 스크랩트랩, 레프티, 헬피)
Ultimate Custom Night
공동 제작
시리즈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
(드레드베어)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
(글램록 프레디, 글램록 치카, 몽고메리 게이터, 록산느 울프, 보육 도우미, 미믹)
Five Nights at Freddy's: Secret of the Mimic
(미믹, 재키, 빅 탑, 간호사 돌리)
스핀오프 FNaF World
Freddy in Space 2
Five Nights at Freddy's: Into The Pit
(스프링 보니(ITP))
소설판 Fazbear Frights 시리즈
(스프링 보니, 엘레노어)
Tales from the Pizzaplex 시리즈
미분류 환각
(골든 프레디, 섀도우 프레디, RWQFSFASXC, 팬텀 애니매트로닉스)
혹스 애니매트로닉스
(퍼플 가이 애니매트로닉)
기울임체: 공개 예정 작품 }}}}}}}}}

스프링트랩
Springtrap
<nopad> 파일:Springtrap_프로필.png
FNaF 3에서 묘사된 모습
<colbgcolor=#3F3F13,#000000><colcolor=#ffffff,#3F3F13> 별칭 스프링 보니 (Spring Bonnie)
애프튼 (Afton)
스크랩트랩 (Scraptrap)
성별 불명[A]
종족 애니매트로닉스(언데드)
깃든 영혼 윌리엄 애프튼
소속 프레드베어의 가족 식당 (FNaF 4 시점)
애프튼 로보틱스 (FNaF SL 시점)
파즈베어 공포의 집 (FNaF 3 시#점)
23년도의 피자가게 (FFPS 시점)
모티브 동물 토끼
약 230cm[2]
성우 PJ 헤이우드 (PJ Heywood)[3]

1. 개요2. 정체3. 특징4. 작중 행적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I Always Come Back.
난 항상 돌아온다.
FFPS / UCN에서
Suffer now, like all who have stood before me!
고통받아라, 내 앞에 섰던 모든 이들처럼!
FNaF AR: SD에서
Five Nights at Freddy's 3에서 처음 등장한 애니매트로닉스.

해당 작품의 메인 애니매트로닉스이자 유일하게 환각이 아닌 실체가 존재하는 애니매트로닉스.[4] 기존의 이름은 스프링 보니였는데 윌리엄 애프튼이 스프링 보니의 스프링락 슈트의 구조 결함에 의해 압사되어 스프링트랩으로 바뀌었다.

2. 정체

애프튼 일가
Afton Family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일가 목록 ▼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아버지 장남 차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black> 파일:FNAF 제목.png{{{+3 {{{#white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최종 보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NaF 1
(2014)
FNaF 2
(2014)
FNaF 3
(2015)
골든 프레디퍼펫스프링트랩
FNaF 4
(2015)
FNaF SL
(2016)
FFPS
(2017)
나이트메어
할로윈: 나이트마리오네
에너드애프튼
UCN
(2018)
FNaF HW
(2019)
FNaF SB
(2021)
프레드베어글리치트랩
DLC: 드레드베어
바니
번트랩
RUIN DLC: 미믹
FNaF HW 2
(2023)
FNaF: SoTM
(2025)
글리치트랩M2
평행세계 외전
FNaF world
(2015)
Freddy in Space 2
(2019)
Into the pit
(2024)
Animdude(애님듀드)L.O.L.Z.H.A.X스프링 보니
}}}}}}}}} ||

파일:purpleguyisspringtrap.gif


이스터 에그로 나오는 사진[ 펼치기 • 접기(혐오 주의) ]
|| 파일:springtrapx.png || 파일:Williamx.png ||


깃든 영혼은 프레드베어 가족 식당의 창업자 중 1명이자 실종 아동 살인 사건을 비롯한 작중 모든 사건의 원흉인 윌리엄 애프튼이다.

폐업한 1편의 피자가게에서 윌리엄이 애니매트로닉스들을 전부 해체시켜 버린 후 자신이 죽인 다섯 명의 아이들의 영혼에 시달리게 되고, 영혼들을 따돌리기 위해 스프링 보니 슈트에 들어갔지만 습기가 가득찬 날씨였기에 용수철 잠금 장치(Springlock)가 오작동했고[5], 그 결과 윌리엄은 풀린 내골격에 의해 산 채로 으깨져 죽었다.[6][7][8] 사인은 압사과다출혈. 그러므로 사장은 스프링 보니의 코스튬에 인간의 시체가 들어 있는 줄도 모르고 공포의 집에 직접 갖다놓은 것이다.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이 이미 '귀신 들렸다'라고 공인된 만큼 스프링트랩도 어떤 의미에서는 '윌리엄의 악령이 씌였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9][10]

파일 속 엔도 모델링[ 펼치기 • 접기(혐오 주의) ]
|| 파일:Springtrap_Endo_(Earless).png || 파일:윌리엄에프튼미라데바데.jpg ||


한편 슈트 내부의 시체를 보면 상태가 상당히 끔찍한데, 얼굴 부분을 묘사하자면 오른쪽은 턱 아래 있는 나사가 턱과 입천장을 뚫고 나와있으며[11], 양쪽 광대뼈와 관자놀이엔 나사가 하나씩 박혀있다. 오른쪽 광대뼈부터 입까진 철제 코스튬이 피부를 찢고 나와있다. 위쪽 머리는 찢어진 것인지 피부가 보이지 않고 코스튬이 나와있고, 애니매트로닉스의 눈알이 진짜 눈알 대신 붙어있다. 아마도 눈깔을 늘리고 있는 저 선같이 생긴 기계가 눈꺼풀을 위로 잡아당겨 눈을 빠지게 하고 애니매트로닉스 눈알을 붙여 넣은 듯하다. 몸통과 팔은 압축된 기계에 의해 보이지도 않는다. 심지어 몸속의 창자, 간, 심장같은 내장은 몸통 부분의 스프링락에 꼬이며 늘어나고 조여졌으며, 머리는 비정상적으로 팽창해 있는데 찢어진 듯한 윗쪽 머리에 기계 부품 같은 게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보라색 살갗을 벗겨내면 기계 부분에 압축된 두개골이 보일 것이다.[12][13]

콜라보인 데바데에서는 머리와 내장밖에 안 남아있던 원작과는 달리 비교적 온전한 시체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목부터는 내장 뿐이던 원작과 달리 몸과 팔다리 모두 멀쩡하게 있다. 반쯤 미라화되어 쪼그라든 윌리엄의 시체가 내골격을 대신하고 있는데, 어째서인지 손과 발이 존재하지 않는다. 코스튬 부품에 압축되어 버린 듯 하다. 그나마 시체가 멀쩡한 편이라 원작보단 덜 징그러우나 실사체 그래픽인 데바데에서는 상당히 시체가 리얼해서 이쪽도 징그럽긴 매한가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윌리엄 애프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애프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애프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발매 전에는 노란색과 더불어 골든 프레디의 사례가 있어서 Golden Bonnie (골든 보니)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스콧의 숨겨진 메시지로 골든 보니의 정식 명칭은 Springtrap[14]으로 밝혀졌다. 스프링트랩(Springtrap)이란 말 그대로 깜짝상자나 쥐덫 같이 스프링을 이용한 함정으로, 공포의 집 주인이 손님들을 깜짝 놀래키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붙인 이름인 듯하다. 설정상으론 4세대 프레디 파즈베어의 피자에서 애니매트로닉스의 외골격이나 건져오다가 스프링트랩을 발견해 공포의 집에 들여놓은 것.

3편 시점[15]에서는 낡아서 훼손이 심한 데다가, 녹이 슬어서 섬뜩한 인상이다. 게다가 입 부분의 부품이 날아가서 입이 찢어진 것은 덤. 다만 이런 훼손을 감안해도 일부 팬덤에서는 멋있다거나 심지어는 귀엽다는 평까지도 받는다.

원래는 스프링 보니라는 애니매트로닉스로, 프레드베어의 가족 식당 시절에 프레드베어와 함께 현역이던 단 둘뿐인 애니매트로닉스였다. 프레드베어가 노란색 곰이라면 스프링 보니는 노란색 토끼. 이 시절의 애니매트로닉스는 일명 스프링락 슈트(Springlock Suit)라고 불리는 특수한 슈트로, 내골격을 이용해서 인공지능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었지만 용수철 잠금 장치로 내부의 기계 장치들을 압축한 다음, 인간이 애니매트로닉스 복장을 입고 직접 움직일 수도 있었던 것이 특징이다. 다만, 용수철이 고장[16]나서 풀리게 되면 안의 부품들이 모두 원위치로 돌아가며 착용자가 부품에 압사, 관통당하는 대참사가 일어났던 모양. 스프링트랩이라는 이름은 용수철 문제로 사람 잡는다는 의미에서도 적절한 네이밍이다.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트랩/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프링트랩/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프링트랩/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 Five Nights at Freddy's 4에서는 스프링트랩과 마찬가지로 스프링 보니를 기반으로 한 것이 등장하는데, 애니매트로닉스는 아니고 자그마한 인형이다. 이 인형은 플러시트랩(Plushtrap)이라고 불리고 있다. 설정상으론 스프링 보니의 봉제 인형 버전으로 추정된다.
  • 가까이 있을 때는 아니지만, CCTV에서 보면 항상 눈이 빛나고 있다. 3편의 배경이 공포의 집인 데다가 개장 전이라 조명시설이 매우 부실하고 스프링트랩이 어두워서 안 보이는 곳에 숨어다니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CCTV로 찾는 난이도를 조금 줄여주기 위해서라고 추정된다.
  • 스프링트랩이 창문 밖을 지나갈 때 모션을 보면 20세기의 기계[19]라고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정말 자연스럽다. 이는 윌리엄의 신체와 영혼이 깃들어서일 가능성이 높다. 일례 인형 괴담들을 보면 귀신이 씌인 인형이 매우 자연스럽게 돌아다니는 괴담은 흔하다.
  • FNaF SL에서는 커스텀 나이트에서 골든 프레디 모드를 V.hard로 깰 시 나오는 컷씬의 마지막 장면에서 스프링트랩이 등장한다. 이 독백이 게임에 중요한 떡밥이 되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한국에선 생소한 의견이겠지만 외국에선 게임 DEAD BY DAYLIGHT의 새로운 살인마로 출시를 원하는 반응이 굉장히 많다.[20] 데바데는 사연이 있거나 무자비한 살인마들이 생존자들을 추적하는 게임인데 이에 FNaF 시리즈에서 가장 어울리는 것이 바로 스프링트랩이고 살인마의 영혼이 깃든 로봇이란 설정이 매력적이기 때문. 그리고 2025년에 애니매트로닉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수 많은 유저들이 환호했다.[21]
  • 해외 유튜버 Dawko가 진행한 스콧 코슨의 인터뷰에 따르면 딱히 사전에 많은 것을 구상했던 건 아니고, 단지 게임을 위한 악당이 필요했기에 별 구상 없이 바로 모델링에 들어갔다고 한다. 원래 스콧은 시리즈를 3편으로 마무리하고자 했던 만큼, 시리즈의 최종 보스로서 급조된 빌런이었던 셈이다. 개인 제작 시리즈가 6편까지 나온 현재도 사실상 최종 보스 포지션이긴 하지만.
  • 모델링 과정에서 여기저기 손상되고 낡은 모습에 더해 내골격을 구성하는 윌리엄 애프튼의 시체까지 표현해야 했기에 유독 작업이 힘들었지만 정작 플레이어들이 그것까지 볼 일은 별로 없었다고 한다. 실제로 FNaF 3 인게임 내에서 윌리엄의 시체를 볼 일은 이스터 에그로 나오는 사진 2장이 거의 전부다.

5.1. 2차 창작 관련

  • 윌리엄 애프튼과 동일하다보니, 윌리엄에게 붙은 2차 창작 속성이 그대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스프링트랩을 웃기게 표현할 땐 용인발음을 과장하게 발음하는 영국인 이미지 등이 있으며, DEAD BY DAYLIGHT 콜라보로 생존자를 장난스런 톤으로 조롱하는 대사 여럿 생겨서, 유쾌하거나 쾌활한 이미지도 생겼다.
  • FNaF 3의 출시 이전, 여느 FNaF 캐릭터들이 그렇듯 정확한 이름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여러 가지 팬네임으로 불렸다. 노란색인 점을 통해 골든 프레디와 관련이 있을 거라 생각하여 골든 보니(Golden Bonnie), 오래되어 보이는 모습을 통해 다른 피자가게에서 수거해 왔을 거라 생각해 샐비지(Salvage), 빈 외골격 머리들이 담겨있는 박스의 티저 이미지를 보고 스프링트랩이 여러 애니매트로닉스들이 합쳐졌다고 생각해 하이브리드(Hybrid)라고 불렸었다. 그런데 우연히도 팬네임으로 불리던 이 세 가지 이름은 이후에 전부 어느 정도 들어맞게 되었다. 스프링트랩은 정말로 골든 프레디(프레드베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폐업한 피자가게에 방치되어 있었다가 구조(Salvage) 되었으며, 인간의 시체(영혼)와 애니매트로닉스가 합쳐진 애니매트로닉스이다.
  • 이미지 자체가 사납고 너덜너덜하다 보니 피에 젖었거나 담배와 술에 쩔어있는 퇴폐적인 2차 창작 팬아트가 많다. 커플링으론 보니, 토이 보니와 같은 토끼 형태의 애니매트로닉스와 엮이며, 시체 상태인 아들과 대결하는 식으로 엮인다.
  • 플러시트랩하고 같이 나올 때, 부자관계로 설정하는 2차 창작이 있다.
  • Die In A Fire가 나온 후에는 2차 창작에서 도끼를 사용하는 모습도 많이 보인다. 원작에선 도끼는 커녕 도구를 손에 쥐고 있는 모습 자체가 나온 적이 없는데, 정식으로 콜라보를 맺은 데바데에서 스프링트랩이 도끼를 사용함으로 사실상 도끼를 쓰는 것이 공식적으로 편입되었다.
  • DEAD BY DAYLIGHT 콜라보로 인하여 여러 밈들이 생겼다.
    • 살인마들하고 같이 엮이는 경우엔 보통 막 데바데로 와서 들떠있는 스프링트랩에게 살인마들이 데바데의 단점을 설명해주거나 미쳐 날뛰는 광경을 보고 스프링트랩이 벙찌는 식.[22] 하필이면 스프링트랩이 나오기 직전에 출시된 살인마가 스프링트랩과는 완전히 딴판에다가 호러라 하기에도 약간 쌩뚱맞은 카네키 켄인데, 오히려 이런 극과 극의 특징이 특이하게 느껴졌는지 카네키랑 엮이게 하는 영상도 있다.#[23]
    • 덤으로 플래시라이트로 살인마의 얼굴을 비쳐 잠깐 경직시키는 기능의 경우, 원작에서도 폭시 등의 애니매트로닉스를 상대할 때 쓰이는 기능이라 손전등 눈뽕에 당해 고통받는 모습이 나오기도 한다.
  • 스프링트랩과 델리아(Springtrap and Deliah)라는 여자아이와의 일상을 다룬 2차 창작 팬코믹이 있다.[25] 2017년에서 2020년까지 연재했지만 작가가 연재중단을 외치고 계정까지 삭제했지만 아카이브 및 영어로 더빙한 영상이 남아있다. Wattpad 아카이브 영어 더빙 유튜브
파일:LHUGUENY_FNAFMOVIE_GRAPE.webp
* 음악 유튜버 LHUGUENYFIVE NIGHTS AT FREDDY'S 3 THE MUSICAL라는 노래가 있는데, 중반부의 This attraction is great, so many guards I can Rape(이 어트랙션 참 좋은걸, 내가 강간할 수 있는 경비원들이 정말 많잖아)라는 여러모로 굉장한 가사 때문에 호불호가 엄청나게 갈린다.[26] 그 때문인지 This attraction is great, so many guards I can 🍇(grape)으로 순화해서 표현하는 밈이 존재한다. 포도, 혹은 포도주 애호가라는 밈이 붙은 윌리엄은 덤.[27] 이후 9년 뒤엔 FNAF MOVIE THE MUSICAL을 발표하면서 grape 밈을 사용했다.[28]
  • 국내의 애니메이션 유튜브 채널인 짤툰에선 허기 워기와 한판 붙는데 기습하려는 허기 워기를 단숨에 제압한다. 이후 대사 한 마디 하곤 찢어버리는 효과음과 함께 영상이 끝난다.[29]
  • Nerd core Partycon에서 JT MUSIC의 라이브 공연에 등장하게 관객들을 놀라게했다.

6. 관련 문서


[A] 깃든 영혼이 남성이고, 스프링트랩의 슈트는 원래 보니 시리즈의 소체이다. 보니는 수컷 토끼 애니매트로닉스로 제작되었으니 남성일 확률이 높다. 하지만 FNaF World에서 스프링 보니의 성별이 남자인지 여자인지에 대한 의문을 품는 로딩 메시지가 있다.[2] 데바데 모델링 기준#. 토끼 귀를 빼면 205cm로, 사람이 입도록 만들어진 슈트 치고는 덩치가 많이 큰 편인데, 생전 윌리엄의 키가 상당히 컸던 모양이다. FNaF 4 미니게임에서도 직원에게 스프링슈트를 입혀주는 모습을 보면 직원보다 키가 머리 하나 가까이 차이가 날 정도로 크게 나오며, 소설판에서도 키가 크다고 묘사되었고 영화판에서 윌리엄의 배우를 맡은 매튜 릴라드 역시 193cm의 장신이다.[3] 윌리엄 애프튼과 동일, FNaF 시리즈의 주인공인 마이클 애프튼 역시 이 성우가 맡았다. 둘의 연기톤 또한 비슷해서 마이클이 스프링트랩이라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4] 다만 이스터에그도 포함하면 CAM 8에 가끔씩 2편의 퍼펫이 나타나기 때문에 유일하지는 않다.[5] 3편에서 재생되는 테이프에는 스프링 보니의 코스튬의 내골격을 압축하는 용수철 장치는 습도 변화에 민감해서 숨을 쉬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는 대사가 나온다. 그런데 윌리엄이 코스튬을 입을 때는 비가 오고 있었고, 오랫동안 방치된 건물이라 비가 새고 있어서 습기로 가득찬 상태였으며 영혼들이 다가오지 못하는 것을 보고 웃어대면서 숨을 더 세게 내쉰 것이 용수철 장치의 오작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6] 바로 즉사한 것도 아니고 미니게임에서 보듯이 몸을 부들부들 떨어대고 있었으므로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극심한 고통을 느끼며 죽어간 것으로 보인다.[7] 팬덤에서 이를 참고하여 제작한 오디오 영상###과 팬 애니메이션 영상#이 있다. 단, 소리가 매우 사실적인 데다 매우 처절한 비명소리가 섞여 있으니 셋 다 시청 시 주의할 것. 윌리엄이 죽어가는 과정에서 프레디의 오르골 소리가 들리는데, 상당히 소름끼친다.[8] into the pit 비밀 오디오에 윌리엄이 죽는 순간을 녹음한것이 있다.# 오작동이 일어나고 윌리엄이 비명을 지르다가 갑자기 조용해지는데, 코스튬의 기계 부품이 윌리엄의 성대를 관통해서 비명조차 못 지르고 죽어간다는 매우 섬뜩한 추측이 있다.[9] 스프링트랩이란 이름 역시 단순히 '쥐덫'이 아닌 Springlock(용수철 잠금 장치) + Trap(함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스프링트랩과 윌리엄 애프튼의 관계를 생각해 본다면 적절한 네이밍.[10] 또는 스프링트랩은 윌리엄의 몸에 스프링 보니 슈트를 입힌 것이므로 어떤 의미로는 죽었던 윌리엄이 부활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11] 원작은 양쪽 둘 다 있었다.[12] 다만 시체의 색상은 작중마다 다르다. FNaF 3FNaF ARFNaF SB의 경우 시체의 색깔이 붉은색, FFPS에는 아이보리색, FNaF HW에서는 검보라색으로 되어있다.[13] 스프링트랩의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던 FFPS의 내골격은 외형이 상당히 다른데, 기존 내골격에서는 기계에 압축되어 보이지도 않던 팔, 다리 부분의 뼈나 근육이 남아있는 등 오히려 3편의 내골격 시체보다 온전한 모습이다. 그 대신 왼팔이 날아가버렸지만.[14] 스프링트랩을 기점으로 스프링 보니를 베이스나 모티브로 한 애니매트로닉스들은 전부 이름 끝에 트랩이라는 단어가 들어간다. ex) 스프링트랩, 플러시트랩, 스크랩트랩, 글리치트랩, 번트랩. 다만 스크랩트랩은 소설판 이름, 애프튼UCN 이름이다.[15] 무려 1편 이후 30년 동안이나 프레디 파즈베어의 피자의 안전실에 방치되고 있었다는 설정이다.[16] 용수철 잠금 장치가 사람의 호흡에 의한 미세한 습도 변화에도 반응할 정도로 상당히 민감하다.[17] 잘 들어보면 1편에서 CCTV 제어기를 올리고 내리는 소리의 속도를 약간 줄인 듯한 소리가 난다.[18] 스프링트랩의 신음소리는 라마의 울음소리를 사용해 만들었다고 한다. 한편 이 음성을 배속할 시 "Help me"(도와줘)와 비슷한 발음의 음성이 나오는데, 스프링트랩의 현 상태를 생각해보면 상당히 소름끼치는 부분이다.#[19] 참고로 스프링 보니/스프링트랩 자체는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전반까지 활동되었다.[20] 트위터 같은 SNS에서 주로 제작진들이 챕터와 관련된 떡밥을 올리곤 하는데 이때마다 대부분의 댓글이 프레디의 피자가게가 나오냐는 댓글이다.[21] 개발진 역시 인터뷰에서 여러 캐릭터들 중 스프링트랩을 선택한 이유는 그가 FNaF 시리즈 내에서 최악의 악인이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22] 데바데 세계는 엔티티라는 존재가 시공간을 뛰어넘어 존재할 수 있다는 설정 덕에, 인간이 아닌 괴물이나 귀신은 물론이고, 마법을 쓰는 존재도 있으며, 좀비, 리치, 드라큘라 등 상상의 존재들까지 나오는 그야말로 온갖 장르가 뒤섞인 세계이기 때문에, 실제 미국과 거의 비슷한 세계에서 온 윌리엄에게 있어선 벙찔만한 부분이 많긴 하다. 덤으로 윌리엄 입장에선 영화 캐릭터에 불과할 인물들이 엔티티가 다른 차원에서 데려왔다면서 자기 앞에 떡하니 존재하고, 본인보다 한참 미래 출신인 인물이 자기보다 훨씬 먼저 엔티티에게 끌려와 있는 등 여러모로 데바데 세계가 괴상하게 느껴질 법 하다. 물론 데바데 스프링트랩의 대사들을 살펴보면 본인은 그런건 아무래도 좋고 마음껏 살인이 가능해서 마음에 드는 듯. 사실 다른 살인마들 입장에서도 윌리엄은 동물 로봇 코스튬을 뒤집어쓰고 다니는 미치광이 언데드인지라 거기서 거기다. 곰덫 애호가 가면 vs 토끼탈쓴 페도 좀비[23] 여담으로 윌리엄은 도쿄 구울이 나오기 한참 전인 1990년대에 사망했고, 다시 깨어났을 시간대인 2017년~2023년 즈음에는 도쿄구울이 완결날 즈음이거나 이미 완결된지 꽤 지났을 시간대다. 카네키 입장에서도 카네키가 엔티티에게 끌려왔을 시점은 FNAF 시리즈가 나오기 몇년 전이다.[24] 가끔 나이트메어 폭시가 페이크 점프스케어할 때의 소리가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는데 애초에 4편의 점프스케어 소리가 1편과 3편의 혼합체라서 틀린 말은 아니다.[25] FNaF 로어를 완벽히 따라가지 않는다.[26] 유튜브 기준 좋아요 23만/싫어요 4.5만.[27] 게다가 와인 자체가 고급스러운 이미지도 있다보니, 위의 영국인 밈이랑 엮어서 쓰기도 한다.[28] 여담으로, 이후 FNaF 2차 창작 팬곡 중 막장 수준이 해당 곡과 버금가는 JACKIE'S BOX가 등장하게 된다. 당연히 이 곡도 저질스런 퀄리티와 가사 때문에 밈화되었다.[29] 하지만 허기 워기는 설정상 키가 5m가 넘는 거구의 괴물인데다가 팔을 휘두를 시 금속이 움푹 파이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완력을 가지고 있어 실제론 영상에서 처럼 순식간에 제압하는건 어려울 것이다.[30] 북미판 코믹월드 각종 굿즈 및 코스플레이어가 난무한다.[31] 해당 코스플레이어는 스프링트랩 뿐만 아니라 프레디 파즈베어, 트위스티드 프레디, 글램록 프레디 등등 다양한 FNaF 캐릭터들의 코스튬을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JT Music의 2023년의 Back for Another Bite, 2025년의 Hat Trick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32] 2023년에는 스틸 울 스튜디오에서 캐릭터 제작자 및 디자이너로 채용되었다.